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원수
적대자
경쟁 상대
적병
앙숙
원수지간
오랑캐
d라이브러리
"
적
"(으)로 총 5,301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2 건강에 좋고 맛있는 물을 찾아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없다고한다. 그러는데는 여러가지 원인이 있다. 환경청의 조사결과 팔당 물의 생물화학
적
산소요구량(BOD)이 1.4ppm이어서 2급수원지로 떨어졌다고 밝혔다. 또 노량진과 영등포는 4.1과 4.7이어서 3급으로 떨어져 이곳에서 취수한 물에 팔당물을 섞어 강한 약품처리를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보사부가 ... ...
PART1 오염의 실상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물은 생명의 원천이며 생명 그 자체라고도 할 수 있다. (과학동아'87 6월호 참조) 이런 귀중한 물이 산업화 과정에서 더럽혀져 이제는 거 ... 할 것이다. 또한 THM과 같은 위해성 물질의 평가·분석 작업이 활발히 이루어져 위생
적
이며 안전한 음용수를 마실 수 있는 사회가 이루어져야 할것이다 ... ...
시원한 맛속에 담긴 식품첨가물을 조심하자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있는 형편이다. 그러나 앞으로는 청량음료와 건강에 대한 올바른 인식으로 반생명
적
인 식품공해는 물리쳐야 될 것이다. 소비자보호단체는 계속 좋지 않은 청량음료 덜 마시기운동을 펴야겠고, 의사 등 전문학자들도 바른 인식을 심고 넓히는데 앞장서야 할 것이다. 또 될 수 있으면 천연100% 음료를 ... ...
최악의 공해에 최소의 대책도 없어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지닌 위험성에 대한 계몽교육을 철저히 시키고 매스컴들도 이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적
극 보도해야 한다. 흡연 자체도 폐암의 원인이 되고 있지만 석면에 노출된 사람이 흡연할 경우는 폐암에 걸릴 확률이 몇십배 더 높아진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무지 때문에 생명을 잃는 것도 심각한 ... ...
예방과 처치요령 최루가스, 어떻게 대처하나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최근 시국상황이 숨가쁘게 전개되면서 연일 대규모 시위사태가 발생하자 이를 진압하는 경찰이 막대한 양의 최루탄을 발사하고 있다. 이로 인해 시위에 참여하는 시민·학생 ... 난로불을 쪼이면 최루가스가 빨리 사라진다. △ 실내에 가스가 날아들어오면 촛불을 켜놓는 게 효과
적
이다 ... ...
넘실대는 전자파의 위험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만들어진 것이다. 흔히 소련은 전자기술에서 미국이나 일본이 크게 뒤져있다고 하지만
적
어도 군사및 첩보분야의 전자기술은 뒤져 있지 않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얘기이다. 유도 미사일과 도청분야에서 특히 뛰어난 기술을 갖추고 있다한다. 그리고 도청과 관련된 컴퓨터도 미국수준에 뒤지지 ... ...
희귀동식물의 보고 설악산의 생태계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절벽으로 둘러싸인 산림지대에 서식한다. 가파른 바위의 구멍에다 보금자리를 만들어
적
을 피하는 한편 생고무처럼 질기고 밀착력이 뛰어난 발바닥을 이용하여 기압절벽을 쉽게 오르내린다. 주서식지를 좀처럼 떠나는 법이 없는 귀소성이 강한 종류이다. 산양은 종 자체가 천연기념물 제217호로 ... ...
PART 2 지구와 물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하는데 이 구조는 환경으로부터 독립된 구조를 갖고 있는 것으로 이것을 코아서베이트액
적
(coacervate drop) 이라고 한다. 이 코아서베이트는 콜로이드의 한 형태인데 물에 친화성이 큰 친수성콜로이드로서 외계와 독립되어 있을 뿐 아니라 주위의 용액과 대립된 상태로 공존하는 특성을 지닌다. 더우기 ... ...
독일이 화학에서 선두를 차지한 까닭은? 기센대학과 「리비히」의 실험교육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공헌 뿐 아니라, 기센대학을 독일은 물론 세계
적
으로 유명한 대학으로 발전시킨 공
적
을 기념하기 위하여 리비히의 대리석상을 세웠다. 이 대리석상은 이곳의 유일한 기념물이다. 지금도 그 동상이 세워진 언덕을 '리비히 동산'이라 부르고 있다 ... ...
3차원 입체영상의 실현 홀로그래피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있다. 이와더불어 서울대학교 영남대학교 연세대학교 등의 각 대학들에서도 독자
적
으로 홀로그램용 기록매질의 개발 및 응용에 대한 연구를 계속하고 있으므로 앞으로 우리나라의 홀로그래피 개발 및 응용은 많은 발전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홀로그래피가 처음 출현 했을 때 많은 ... ...
이전
514
515
516
517
518
519
520
521
5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