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월"(으)로 총 17,670건 검색되었습니다.
- 매번 다른 수학자와 밥 먹기, 오베르볼파흐 문제수학동아 l2018년 08호
- 하지만 테이블이 3개만 넘어도 답이 있는지 없는지 모르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2018년 6월 영국 버밍엄대학교 스테판 글록 박사, 펠릭스 요오스 박사, 김재훈 박사, 다니엘라 퀸 교수, 데뤼크 오스투스 교수는 참석자가 충분히 많기만 하면 항상 답이 있다는 걸 증명해 인터넷에 올렸습니다. 앞으로 ... ...
- 탐루엉 동굴 조난 사고의 기적, 생명을 구한 잠수의 기술수학동아 l2018년 08호
- 일어났다. 2018년 6월 23일 태국 치앙라이 탐루엉 동굴에서 실종됐던 태국 유소년 축구 단원과 코치 13명이 7월 10일 모두 무사히 구조됐다. 구조에 넉 달이 걸릴지도 모른다는 우려도 있었지만, 생존자들은 17일 만에 가족의 품으로 돌아갔다. 구조가 어려웠던 건 장시간 물과 사투를 벌이며 잠수를 해야 ... ...
- 하나를 가르치면 '0’을 아는 벌수학동아 l2018년 08호
- 증거는 좀 더 갖고 있답니다. 사람도 이해하기 힘든 수학 개념을 인지한다2018년 6월, 과학 학술지 ‘사이언스’에 꿀벌이 0의 개념을 이해한다는 논문이 실렸습니다. 연구팀은 그림으로 수를 표현한 종이를 이용해 벌이 더 작은 수를 선택하도록 학습시켰습니다. 동그라미가 더 적은 종이로 가면 ... ...
- [에디터 노트] 154.21초의 피, 땀, 눈물과학동아 l2018년 08호
- ‘나로호 전용’이었던 나로우주센터는 이제 ‘한국형발사체’ 개발센터가 됐다. 10월에는 한국형발사체의 심장이 될 75톤(t)급 액체엔진의 성능을 테스트하는 시험발사가 예정돼 있다. 이날은 시험발사 전 75t급 액체엔진의 마지막 연소시험이 열렸다. 목표는 140여 초. 엄청난 굉음과 함께 엔진이 ... ...
- [과학뉴스] 영구동토 속 미생물, 지구온난화 주범?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속에 서식하는 미생물 군집의 물질대사 경로를 규명했다고 국제학술지 ‘네이처’ 7월 16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스웨덴 북부 영구동토에서 채취한 200여 개의 시료 속에 있는 미생물 유전자 1500여 개를 분리한 뒤, 이들의 염기서열을 분석했다. 그 결과 연구팀은 그동안 잘 알려지지 ... ...
- [Culture] 곤충 웹툰 작가 ‘갈로아’가 해설하는 앤트맨과 와스프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시작한 공상과학(SF) 만화를 네이버 블로그에 올리기 시작했지요. 인기를 얻어 2016년 11월부터 1년간 레진코믹스에서 연재했답니다. 그 작품이 지난해 ‘SF 어워드’에서 대상을 받은 ‘오디세이’입니다. 이 만화는 우주비행사가 되고 싶은 주인공이 천문학자가 된 뒤 우주비행에 도전하는 ... ...
- [시사기획] ‘로켓의 심장’ 154.21초간 타오르다과학동아 l2018년 08호
- 00t으로 몸무게 70kg인 성인 2857명과 맞먹는다. 2021년 2월 첫 발사에서는 시험위성을 싣고, 10월에는 소형 과학위성을 탑재해 발사할 예정이다.한국형발사체 1단에는 75t급 액체엔진 4기를 하나로 묶은 300t급 액체엔진이 들어간다. 조 팀장은 “현재 한국형발사체의 1단과 3단에 해당하는 체계개발 모델과 ... ...
- [눈,코,입 심기] 내가 보이나요, 내 목소리가 들리나요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위해 바이오 잉크에 생분해성 플라스틱을 추가했다. 그리고는 생쥐에게 이식했다. 2개월 뒤 이식한 귀는 연골 조직이 모두 정상이었다. 주변에는 혈관도 새로 자라났다. 강교수는 “3D 프린팅한 귀 형상이 생체 내에서 살아 정상적인 기능을 하는지 확인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장기를 구성하는 ... ...
- [Issue] 난민에 관한 과학적 팩트 4과학동아 l2018년 08호
- 5월 자국의 내전 등을 피해 제주도에 입국한 예멘인 약 500명이 한꺼번에 난민 신청을 하면서 우리와는 무관할 것만 같았던 난민 이슈가 사회적 논쟁거리로 부상했다. 예멘 난민 수용을 반대한다는 여론과 난민법을 적용해 수용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동시에 나왔다. 7월 13일까지 진행된 난민법 개정에 ... ...
- [교과연계수업] 별이 되어 떠난 천재 과학자, 스티븐 호킹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8호
- 디사이언스입니다. 며칠 전 2018년 3월 13일(현지시각). 제2의 아인슈타인이라고 불리는 천재 물리학자인 스티븐 호킹 박사가 생을 마감했어요. 청년시절 루게릭병을 진단받고 시한부 판정을 받았지만, 불굴의 의지로 76세까지 삶을 이어오면서 위대한 과학적 업적을 남기고 포기하지 않는 도전의 ... ...
이전5155165175185195205215225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