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군인
병사
군대
장병
군부
졸병
전사
d라이브러리
"
군사
"(으)로 총 927건 검색되었습니다.
망원경으로 진짜 우주를 관측하다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거둔 갈릴레이는 베네치아 공화국에 그 망원경을 기증했다. 원로원은 이 새로운 기구를
군사
적으로 이용할 가능성에 기대를 걸었고 갈릴레이의 월급도 즉시 두배로 올려주었다.갈릴레이가 망원경을 만든 중요한 이유 중 하나는 하늘을 볼 수 있다는 것이었다. 17세기 초에는 과학계에 커다란 논쟁이 ... ...
빛으로 소리 전달하는 레이저통신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우주에서 레이저 통신이 수만km의 위력을 발휘하는 이유다. 현재 극도의 보안을 요하는
군사
용이나 근거리 산업용, 연구용으로 사용되고 있다.광통신은 바로 지상에서 이 레이저 빛을 머리카락 굵기 정도인 광섬유 속으로 보내 멀리까지 빛 신호를 전달하는 것이다. 광섬유란 빛을 통하는 유리질 ... ...
방사능 위험안고 해저 누비는 핵잠수함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적절하게 관리되지 못하고 있다.그런데도 핵잠수함의 사용후 핵연료는 핵무기 보유국의
군사
영역에 속해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감시감독을 받지 않으므로,러시아의 부실한 관리현황에 대해서 국제적으로 아무런 구속의 수단이 없는 것이 현실이다.이런 상황에서 과연 러시아가 쿠르스크호를 ... ...
고대 도시 폼페이의 부활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946년 개발된 애니악이 폭탄과 미사일의 탄도계산에 쓰였다는 점을 보면 초기 컴퓨터는
군사
적인 목적에서 개발됐다. 그러나 현재 슈퍼컴퓨터가 사용되는 분야는 일반인이 생각하는 정도를 뛰어넘어 점점 넓어지고 있다. 그 중 하나가 바로 문화와 관련된 일이다.가령 미켈란젤로가 그의 무덤 ... ...
1. 시간과의 끝없는 전쟁 기상예측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연산이 가능한 슈퍼컴퓨터가 피츠버그 슈퍼컴센터에 들어서게 돼 기상예측 등의 비
군사
적 분야에 이용될 예정이라고 한다.이웃나라 일본에서도 프론티어 프로젝트를 통해서 단위세포가 사방 1km 정도인 고분해능 전지구 예보모델을 슈퍼컴퓨터에서 운영할 예정이다. 세계는 지금보다 정확하고 ... ...
① 광속 우주선 타고 천체쇼 관람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수 있는 가장 크고 강력한 가상현실 시뮬레이터로, 지금까지는 미국항공우주국이나
군사
연구시설에서만 볼 수 있었던 것이다.여러 천체관을 다녀보았지만, 로즈센터의 천체관처럼 우주의 모습을 사실적으로 생생하게 보여준 곳은 없었다. 이 천체관이 개관과 함께 상영중인 우주 쇼 ‘패스포트 투 ... ...
Ⅲ. 지구 대기권 밖으로 나가자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NASA의SIRTF, 2000년대 중반에 발사될 일본의 IRIS등이 있다.참고로 적외선 우주망원경 기술은
군사
기술이다.성간물질의 지문 읽는 자외선망원경무거운 별들은 지화 초기단계를 거치면서 표면온도가 상승, 자외선에서 많은 에너지를 방출한다.이러한 자외선 복사는 별의 진화 연구에 중요하며, 그 ... ...
③ 정보통신 : 남쪽 기술과 북쪽 인재의 결합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조치인 바세나르 협약에 따라 북한에 펜티엄급 이상의 컴퓨터 수출이 금지되고 있다.
군사
적 목적으로 전용될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해서다. 이런 상황에 있는 북한과, 초고속통신망을 구축하며 정보화 사회를 추진해가는 남한은 서로 많은 차이를 가진다. 즉 정보통신 격차가 점점 더 심화되고 ... ...
고등학생들이 만든 호버크래프트 '희망 2000'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앞으로 나아가게 하는 원리로 동작된다. 1950년대 영국에서 개발된 이후 수상 인명구조와
군사
용으로 사용되다가 1980년대 이후 레저용으로 보급되고 있다. 국내에는 88서울올림픽 이후 레저용으로 수입됐다. 국산 호버크래프트는 땅위에서 20cm높이로 떠서 시속 60km로 날아가며 25도 정도의 경사면도 ... ...
혜성을 어떻게 찾을까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혜성의 대부분이 발견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작업에는 20-30인치급 슈미트 망원경이나
군사
위성 추적·감시용으로 만들어진 GEODSS로 불리는 구경 1m(F/2) 반사망원경이 빛에 민감한 CCD 카메라와 함께 사용된다. 필름사용에 비해 1/3 넓이밖에 찍을 수 없지만, 아주 짧은 노출시간에도 18-20등급의 별까지 ... ...
이전
47
48
49
50
51
52
53
54
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