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증
공헌
증정
기부
증여
공연
제시
d라이브러리
"
기여
"(으)로 총 1,693건 검색되었습니다.
연료전지 2020년 실용화한다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핵심은 역시 촉매다. 이 부소장은 “에틀 촉매연구소가 미래 에너지와 환경보전에 큰
기여
를 할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김한빛 연구원이 촉매 기초연구에 필수인 초고진공챔버(UHV)를 작동시키고 있다. 초고진공챔버 내부의 기압은 10-11hPa다. ... ...
‘과학동아’ 청소년기자단 농촌진흥청을 가다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비가 자주 내리지 않는 곳에 특화된 가뭄저항성 벼 같이 척박한 지역의 식량문제에
기여
할 수도 있고 맛과 품질을 개선해 더욱 맛있고 감미롭게 할 수도 있으며 꽃의 개화수를 늘리거나 색을 화려하게 함으로써 상품성을 높일 수도 있는 대표적인 사례들은 GMO가 각광받는 21세기 산업인 것을 ... ...
오! 나의 과학선생님! Oh! my Science Teacher!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0호
갖게 될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보다 교육 환경이 열악한 나라의 과학 교육 발전에도
기여
할 수 있는 좋은 기회랍니다.첨단 과학 현장을 누비는 우리 선생님!미국항공우주국(NASA)과 유럽핵입자물리연구소(CERN) 과학자들이 한국 과학선생님을 만난다고?교육과학기술부에서는 중·고등학교 ... ...
[10월] 과동 데스크의 썰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내용이 그것이다. 가뭄저항성 벼와 같은 사례를 들어 식량 문제를 해결하는 데 GMO가
기여
하고 있다는 내용도 pickup 기사에서 거론된다. 어떤 유전공학적 메커니즘으로 GMO가 만들어지는지 간략히 살펴보는 것도 좋았을 뻔 했다. pickup 기사에서 아쉬운 점은 문장이 너무 길다는 것과 어떤 내용을 주제로 ... ...
우리 할머니는 아티스트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수명은 유전됩니다. 장수하는 가족에서는 장수하는 사람이 많이 나옵니다. 장수에
기여
하는 유전자도 여럿 알려져 있습니다. 그렇다면 인류의 장수는 진화의 결과일 가능성이 있습니다.언뜻 생각해 보면 당연해 보입니다. 오래 사는 게 좋은것이니까요. 그런데 잘 따져보면 좀 이상합니다. 장수가 ... ...
싱가포르 국립대 - QS 대학평가 아시아 2위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한국에서 비행기를 타고 6시간 정도면 갈 수 있는 싱가포르. 세계지도를 펴놓고 싱가포르에서 한국까지 컴퍼스로 찍은 다음 싱가포르를 중심으로 원을 그려 ... “학생들이 리더십을 갖고 영향력 높은 연구와 공동체에 대한
기여
를 통해 아시아와 전세계에
기여
할 수 있었으면 합니다.” ... ...
야구 최강 타순 어떻게 정할까? 마르코프 연쇄
수학동아
l
2012년 09호
이닝이 끝난다. 이를 마르코프 연쇄로 만들어 반복적으로 시뮬레이션하면 타자의 득점
기여
도를 알 수 있다.KAIST의 장영재 교수의 연구팀은 2010시즌 모든 구단의 매 경기별 선수의 타격과 주루 플레이 데이터를 모아 어떤 팀이 가장 효율적으로 타순을 짰는지 알아봤다. 마르코프 연쇄로 모델을 만든 ... ...
호흡을 이용한 전통과학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말한 것처럼 광합성을 할 수 있다.지구 최초의 생명체인 남세균이 산소발생에 결정적인
기여
를 했는지도 아직 확실하지 않지만, 한 가지 확실한 것은 20~25억 년 전 지구에는 그 이전보다 많은 양의 산소가 있었다는 것이다. 이러한 산소의 축적이 지구의 거대한 방어막인 오존층을 만들어 냈다. ... ...
[화성탐사 특별기획 2] 성큼성큼 화성 누비는 문어 로봇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개발해 소저너, 스피릿, 오퍼튜니티 같은 로버가 성공적으로 화성을 탐사하는 데
기여
했다. 우주 탐사에서 로봇과 인간은 어떻게 공존할 것인지, 큐리오시티처럼 바퀴 달린 차량로봇(로버)은 어떻게 진화해갈 것인지 살펴보자. 우주 로봇의 핵심 쟁점 네 가지우주 로봇에 관련해 핵심 쟁점이 4가지 ... ...
아인슈타인이 사랑한 냉장고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점이다. 제도 못지않게 여성의 생활을 개선해 주고, 사회적 지위를 높여 주는 데
기여
한 발명품이다.또 한 가지. 비유로만 쓰이던 ‘버그(컴퓨터 오류)’라는 용어가 실제로 마크II 컴퓨터에 앉은 나방 덕분에 더욱 유명해졌다는 식의 ‘쓸데없는’ 상식을 읽는 재미도 쏠쏠하다. 생각해 보면 과학이 ... ...
이전
47
48
49
50
51
52
53
54
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