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통
회전
반복
싸이클
자전거
주파수
사이클
d라이브러리
"
순환
"(으)로 총 1,317건 검색되었습니다.
[통합과학] 메탄하이드레이트 추출과 CCS기술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따른 압력 증가로 메탄하이드레이트 생성이 활발해진다. 열린계인 지구 내에서 탄소의
순환
중 메탄하이드레이트층에 갇히는 메탄의 양이 증가하며, 이는 대기 중 온실 기체인 메탄 양의 감소로 이어져서 지구의 평균 기온이 낮아진다. 즉 빙하기와 간빙기의 반복적인 변화와 메탄하이드레이트의 ... ...
외국에서는 수학공부를 어떻게 할까?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역시 모든 학생이 같은 수학을 배워요. 하지만 배우는 방식이 독특하답니다. 총 3번의
순환
과정을 거치며 수학을 단계적으로 공부하거든요. 7~11세까지 첫 번째 과정에서는 수를 계산하고 도형과 측정의 개념을 배워요. 11~13세까지 두 번째 과정에서는 수학의 각 분야를 전체적으로 공부하죠. 16세까지 ... ...
제시문에 기반해 명확한 답 찾기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현상이다. 단백질의 구조는 고분자화합물로, 효소는 반응속도와 분자구조로, 호흡이나
순환
의 원리는 기체의 법칙으로 설명할 수 있어서 오히려 화학 문제로 나올 확률이 높다. 생물 분야는 이런 부분을 제외하다 보니 유전법칙과 유전자 발현을 중심으로 한 논제가 주로 제시된다. 생물1 수준의 ... ...
도시의 미래를 꿈꾸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이같은 방식은 정치적 이유로 인해 도시에 살고 있는 시민의 입장이나 유기적인
순환
을 고려하지 않은 채 급격히 변할 가능성이 크다는 점에서 소통하는 자세가 중요하다고”고 말했다.▶권 교수는 “한국의 도시가 발전하기 위해서는 먼저 디자인을 고려해야 한다”는 지론을 다시 펼쳤다. 그는 ... ...
[지구과학] 편서풍 파동과 서안 강화 현상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해류가 흐른다. 북아열대
순환
은 서풍 피류와 북적도 해류가 만들어낸 시계 방향의
순환
이다. 서안 경계류와 동안 경계류에 바람이 만들어내는 상대 와도 또한 시계 방향으로 같다. 한편 서안 경계류는 저위도에서 고위도로 흐르는 해류이므로 행성 와도가 증가함에 따라 상대 와도는 감소해 시계 ... ...
바닷물 파래질수록 태풍 사라진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온도가 낮아진다. 해수 표면의 온도와 심해의 온도의 차이가 감소하면 해수가
순환
하는 패턴도 달라진다. 내니데시칸 박사는 “북태평양 아열대환류의 흐름이 변하면서 대기 중 공기의 흐름도 달라졌다”며 “태풍이 생길 만큼의 에너지가 발생하기 어려워진 것”이라고 설명했다 ... ...
같은 듯 다른 소리
수학동아
l
2010년 09호
소리가 난다. 상행선일 때는 ‘띠링 띠링 띠링’처럼 끊어진 소리를 낸다.상하행없이
순환
하는 2호선은 시계방향으로 도는 지하철이 올 때 연속음, 반시계방향에서는 끊어진 소리가 난다.하지만 역에 설치된 음향장비에 따라 소리가 다른 경우가 있다. 신호음에 대한 표준이 없고 소리를 다르게 한 ... ...
1994년 제프리 프리드먼 교수의 렙틴 유전자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과식한 쥐의 몸에서 “이제 그만 먹어!”라고 하는 신호분자, 즉 호르몬이 분비돼 혈관을
순환
해 결국 옆에 있는 쥐까지 식욕이 떨어지기 때문이다.또 ob 쥐와 정상 쥐를 병체결합하면 ob 쥐의 식탐이 줄고 체중도 준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정상 쥐의 식욕억제 호르몬이 영향을 미친 결과로 해석할 수 ... ...
꽃잎에 숨어 있는 과학의 신비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생성한다. 전기적 일을 마친 전자는 다시 염료분자의 본래 위치로 돌아오면서 전지를
순환
하게 된다. 1) [난이도 상] 다음의 물질 중 a는 R자리에 H가 올 경우 베타카로틴이라고 하고, OH가 올 경우 루테인이라고 한다. b는 꽃잎 색소인 안토시아닌의 일부인 안토시아니딘이다. 이들이 색을 띠는 이유는 ... ...
[cool tech] 내 방 안의 아쿠아리움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공기방울과 물의 표면장력을 이용해 유기물을 거른다. 수조 속의 물은 스키머를 통해
순환
하는데, 이때 스키머가 작은 공기방울을 만들어 낸다. 공기방울은 위로 떠오르면서 물속의 유기물과 달라붙는다. 유기물이 붙은 공기방울은 끈적끈적한 거품으로 뭉치므로 이 거품을 걷어 내면 유기물을 ... ...
이전
47
48
49
50
51
52
53
54
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