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도리
인륜
도덕
가치 체계
윤리신학
신학
윤리강령
d라이브러리
"
윤리
"(으)로 총 620건 검색되었습니다.
1. 1993년부터 인간복제 시작됐다
과학동아
l
1997년 04호
한 정부의 규제가 거세지고 있다. 윌머트 박사 자신도 “인간복제를 위한 연구는 비
윤리
적”이라고 말해 인간 연구가 실행될지에 대해 의문을 나타냈다. 7백여개의 생명공학회사들을 대표하는 생명공학 산업협회의 칼 펠트바움 회장은 “생명공학산업이 질병의 치료와 농업 발전을 위해 이용돼야 ... ...
과학
윤리
과학동아
l
1997년 02호
노력한다. 요즘 과학과 사회 제반 영역 사이에서 벌어지는 많은 대화에서는 과학의
윤리
적인 문제를 다루고 있다. 예를 들면 1994년 2월14일의 C&E 뉴스(화학과 공학 뉴스)에서는 이런 글이 소개됐다. “과학계는 위법행위에 대해 정면으로 대처해야 한다. 위법행위를 예방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 ...
4. 유전자 맹신론을 경계한다
과학동아
l
1996년 12호
해명돼야 할 것이다. 그리고도 인간복제 등 유전공학의 무한한 활용에는 여전히
윤리
·도덕적인 측면이 남게 될 것이다.환원론이란? 어떤 실체의 성질을 설명하는 것이 그것을 구성하고 있는 것들의 성질로 표현가능하다는 주장. 예를 들어 사람의 유전자의 구조를 알면 인간의 성격과 질병을 모두 ... ...
'생명공학재난' 경고
과학동아
l
1996년 11호
것을 방지하기 위한 처리방법과 기준을 설정하는 일이다. 또 사람 유전자의 경우 심각한
윤리
문제를 일으킬만한 실험은 사전에 제지받게 된다. 조만간 ‘실험지침안’ 은 생명공학과 관련된 국내 연구소나 병원, 제약회사 등에 적용될 계획이다.실험에서 완제품까지 규제 필요실험실의 안전성 ... ...
통신 민주주의 가능성
과학동아
l
1996년 11호
이동시킨다.PC통신사들이 제시하는 검열권의 근거는 전기 통신법, 정보통신
윤리
심의규정과 같은 법률과 함께 각사에서 정한 이용약관이다. 회사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긴 하지만, “건전한 통신 문화 정착과 효율적인 서비스 운영을 방해하는 게시물에 대해서는 회사가 제재를 가할 수 있다”는 ... ...
1. 사이버스페이스는 남녀평등의 사회인가
과학동아
l
1996년 11호
정학조치를 받고 미연방수사국(FBI)에 고발되고 말았다.우리나라의 정보통신
윤리
위원회가 ‘불건전정보신고센터’를 운영하면서 지난해 적발한 ID사용정지건수는 2백18건. 그러나 올해는 지난 5월까지 3백8건으로 대폭 늘어났다. ID정지의 대부분 이유는 음란정보 유포나 음란물 판매 등 주로 여성을 ... ...
3. 불임과 인공수정
과학동아
l
1996년 07호
것은 아닐까.김현주) 종교적
윤리
적으로 보면 정당하지 않겠지만, 어떤 면에서 종교와
윤리
역시 인간의 삶을 행복하게 만들기 위해 발생한 것이야. 아이가 없는 부부의 정신적인 고통을 덜어준다면 인공수정은 옳다고 생각해.수정란으로 의학실험 해도 되나이은영) 수정란은 의학 연구에 매우 ... ...
로봇, 사이보그, 그리고 안드로이드
과학동아
l
1996년 07호
미국 FDA의 규정에 의해 생명의 실험에 관한 연구 지원이 금지되었고 현재는 보다 복잡한
윤리
적인 문제 때문에 시행할 수 없지만, 인간 게놈 프로젝트가 완성되면 복제 인간도 가능할지 모른다.영화 '블레이드 러너'(Blade runner, 1982)에는 안드로이드와 공생하는 인간의 미래가 끔찍하게 사실적으로 ... ...
1. 당신의 정보는 안녕하십니까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다가오는 정보시대는 '유토피아'가 아니라 '또 다른 지옥'으로 전락할 수도 있다.해커
윤리
강령1. 컴퓨터에 대한 접근은 그 어느 누구에 의해서도 방해받아서는 안되며 완전한 자유를 보장받아야 한다.2. 모든 정보는 개방돼야 하고 공유돼야 한다.3. 권력에 대한 불신, 분권화를 촉진하라.4. 해커들은 ... ...
2. 해커로부터 온 편지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교류도 활발히 해야만 합니다.그리고 가장 중요한 것이 있습니다. 그것은 먼저 해커의
윤리
를 이해하는 것이지요. 단순한 호기심이나 범죄로서가 아니라 왜 해킹이 필요한가를 알아야 하는 겁니다. 똑같은 주먹도 쓰기에 따라서 깡패가 되느냐 협객이 되느냐가 다르듯이 말입니다. 무협 고수들이 칼 ... ...
이전
47
48
49
50
51
52
53
54
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