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일단"(으)로 총 2,67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해저 광구는 보물창고?!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4호
- 광구 위치 좀 알려 줘! 바닷속 화산을 발견하다!해저 광구를 탐사하기 위해 연구팀은 일단 열수분출공의 위치를 찾는 ‘지자기 탐사’를 시작했어요.지자기는 지구가 갖고 있는 자성을 말해요. 지구 외핵을 이루고 있는 액체 상태의 철이 움직이면서 자성을 만들지요. 그런데 해저광물은 그 ... ...
- 뇌 속 내비게이션의 길 찾기 전략 4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바로 가려낸다.전략 1 ‘내 위치’를 먼저 확인한다길을 찾으려면 무엇이 필요할까. 일단 내가 어디에 있는지 알아야 한다. 뇌에는 이렇게 내 ‘위치’를 담당하는 세포가 있다.대뇌의 좌·우 측두엽 안쪽에 깊숙이 자리한 해마는 CA1에서 CA4까지 네 가지 부위로 이뤄져 있다(125쪽 그림). 영국 ... ...
- [Culture] 이상한 용손 이야기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둘러대기 시작했다. 나는 너무 답답해서 어머니께 직접 물어 보았다. 그러자 어머니는 일단 약간 흘러내린 수영복을 끌어 올려 그 비늘 모양을 감추었다. 그리고는, “이거 어릴 때 수술자국이야. 켈로이드 흉터라는 게 생겨서 모양이 좀 이상하게 된 거야”라고 말씀하셨다.그리고 나서 두 분은 내가 ... ...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제 4화 엄마를 만나다수학동아 l2017년 04호
- 중 0000상태에서 6번만 돌려서 만들 수 있는 수는 0987이다. 하림은 조심스럽게 발을 뗐다. 일단 아까 납치범이 달려온 방향으로 거꾸로 거슬러 올라갔다.복도를 따라 철문이 죽 늘어서 있었다. 대부분은 손잡이에 녹이 슬어 있는 것으로 봐서 사람이 계속 드나들지는 않는 것 같았다. 하림은 엄마가 ... ...
- Part 1. 수학으로 본 작은 세상수학동아 l2017년 03호
- 떨어뜨리고 난리도 아니다.“으아, 이제 식탁 끝이야! 끝장이다!”“에잇, 이판사판이다. 일단 뛰어!”위기 상황에서 아이들은 선택의 여지가 없었다. 두 팔 두 발을 쫙 펼친 채로 차례로 뛰어내렸다. 그런데 이게 웬일? 다행히도 아이들은 다치지 않고 바닥에 착지할 수 있었다.계속 쫓아오는 ... ...
- [Issue] 반려앵무새, 사이테스 신고에 도전하다과학동아 l2017년 03호
- 해야만 한다는 사실을 알았다. ‘나는안 했는데…?’ 시쳇말로 ‘멘붕’이 찾아왔다. 일단 사이테스가 뭔지 알아보기 위해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검색사이트 N에 사이테스를 입력했다. 가장 먼저 나오는 사이트 주소를 누르자 영어로 가득한 해외 사이트로 연결이 됐다. ‘헉! 이게 뭐지?’ 나도 ... ...
- [Future] ‘마음의 창’을 열다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윙크 한 번에 멀리 떨어진 물체를 당겨서 볼 수 있다. 이 렌즈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일단 특수 안경을 함께 착용해야 한다. 안경테에는 윙크를 일반 눈 깜빡임과 구별하기 위한 센서가 장착돼 있다. 이 센서가 윙크를 검출하면 안경이 빛을 굴절시켜 렌즈의 가장자리에 도달하도록 한다.렌즈의 ... ...
- [특별 인터뷰] 지사탐의 꼬마 파브르를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3호
- 한 뒤 겨울잠을 자지요. 준서는 이 과정을 사진과 동영상으로 고스란히 담았어요.“일단 벌집을 찾고 싶다면 처마 밑이나 나뭇가지, 바위 밑 등을 잘 살펴보세요. 일하고 있는 벌을 따라가는 것도 좋은 방법이에요.벌들이 날개를 벌리고 빠르게 흔든다면 위협신호이니 가까이 가지 마세요. 벌들은 ... ...
- [Origin] 잠자는 사자는 과연 너그러운 걸까과학동아 l2017년 03호
- 평화로워서 그런 행동을 진화시켰을까. 아니라면 왜 그럴까.아프리카 초원의 사자는 일단 사냥해서 배가 부르면 며칠간 늘어지게 잠만 잔다. 바람도 쐬고 좀 돌아다닐 법도 한데, 왜 허구한 날 잠만 자는지 도통 이해하기 어렵다. 문화방송의 한 다큐멘터리 PD는 그 이유를 이렇게 설명했다. 만약 ... ...
- [Origin] 소리를 지배한 파충류, 지구를 접수하다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있었다. 공기를 울리는 음파보다 땅을 울리는 진동을 감지하는 데 더 적합했다.그러나 일단 육지로 올라오자, 파충류는 속귀를 발달시키기 시작했다. 음파를 듣기에 적합하도록 점점 복잡해졌다. 음파가 고막에 전달된 뒤, 연골을 통해 등자뼈로 전달된다. 등자뼈는 속귀가 있는 방인 미로골낭의 ... ...
이전47484950515253545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