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수
실책
과실
틀림
과오
착오
오류
d라이브러리
"
잘못
"(으)로 총 2,349건 검색되었습니다.
[지식] 알고 쓰면 과학, 모르고 쓰면 사기 P-value
수학동아
l
2016년 06호
사용하자는 의미를 담은 성명서를 발표했습니다. 론 바서스타인 ASA 회장은 “P-value를
잘못
사용하는 사례가 많아지면서 통계학 전체를 의심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다”며, “P-value는 통계적으로 유용한 방법으로 제대로 알고 사용하면 많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사실 P-value에 ... ...
[Editor’s Note] 역설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통해 정규직으로 전환했다”고 알려왔습니다.독자 여러분께 혼란을 드린 점 사과드리며,
잘못
된 사실 보도로 피해를 입은 국가수리과학연구소 여러분께도 정중한 사과의 말씀을 드립니다 ... ...
[과학뉴스] 신생아가 행동 따라한다는 속설, 틀렸다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신생아가 부모의 표정과 목소리를 따라한다는 속설이 사실이 아닌 것으로 밝혀졌다. 호주 퀸즐랜드대 초기인지발달센터 버지니아 슬로터 교수팀은 생후 1~9주가 지난 신생아 106명에게 11가지 다양한 행동을 보여주고 반응을 관찰했다. 이때 연구팀은 웃고 찡그리는 표정을 비롯해 주먹을 쥐거나 검 ... ...
Part 2 비밀번호 무력화하는 백도어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됐던 부분이다. 아마 프로그래밍을 ‘좀 한다’하는 독자들도 위의 소스코드에서 무엇이
잘못
됐는지 찾기가 쉽지 않을 것이다. 위의 코드는 누군가 백도어를 만들기 위해 리눅스(Linux)의 소스 코드 한 줄을 교묘히 바꾼 것이다. 리눅스는 소스 코드를 완전히 공개한 ‘공개 운영체제’다. 누구나 소스 ... ...
[출동! 섭섭박사] 살아 움직이는 라바램프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5호
형광 물방울이 더욱 선명하게 보였답니다.실험에 참가한 친구들 중에는 양극과 음극을
잘못
연결하거나 구리선을 제대로 꼬아 주지 않아 전구의 불이 켜지지 않는 경우가 많았어요. 하지만 모두 포기하지 않고 차근차근 문제점을 찾아 해결해 나갔어요. 그 결과 실험에 참가한 20명의 친구들 모두 ... ...
Part 2. 기자가 도전해 본 디지털 생물학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체면이 말이 아니다). 아무리 이리 보고 저리 봐도 코드에는 문제가 없었다. 부품을
잘못
선택한 게 분명하다. 서로 연결이 되지 않는 유전자서열을 이어 붙이면 회로로써 기능하지 못한다. 다른 부품을 선택해서 다시 컴파일하는 작업을 두세 번 하고나니, 드디어 성공이라는 말이 떴다. 화면에는 ... ...
[특별 인터뷰] 파워에너지 팀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5호
등을 잡는 게 익숙지 않아서 적응하기 힘들기도 했습니다.탐사 구역에 가다가 길을
잘못
들어서 헤맨 적이 있는데, 그날 엄청 무서웠어요. 그리고 처음 개구리를 잡던 날은 미끈거려서 비명을 질렀는데, 이제는 오래 하다보니 적응이 돼서 개구리는 제가 가장 잘 잡을걸요?알면 알수록 지사탐이 점점 ... ...
[Knowledge] ‘과학계의 대나무숲’ 브릭, 스무 살 맞다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조언하는 사람도 많았고요. 하지만 이용자를 신뢰한다는 정책을 펴고 있어요. 누가
잘못
된 글을 올려도 연구자 집단의 자정작용이 해결해줄 수 있을 거라고 믿죠. 그리고 익명이 아니면 할 수 없는 말이 있잖아요. 누군가는 그걸 들어줘야 해요. 브릭의 소리마당에는 연구현장에서 겪는 심각한 ... ...
[Knowledge] 과학인가 사기인가 과학 데이터와 통계 논란(下)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그런데도 불구하고 많은 연구자들이 유의확률을 특정 가설이 참/거짓일 확률로
잘못
해석한다.연구자가 유의확률에 영향력을 행사해 연구가설을 지지하는 결과로 만들 수 있다는 점도 문제다. 두 가지 방법이 가능하다. 유의확률이 충분히 작아질 때까지 실험을 계속하는 방법과(실험 데이터를 ... ...
Part 2 무관심이 만든 자녀 학대. 어떻게 끊어낼 것인가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이 왜곡을 바로잡는 치료가 최우선이죠.”하 박사가 말했다. 인지적 왜곡이란
잘못
된 기억으로 인해 왜곡된 신념을 기반으로 현실을 이해하는 사고방식을 말한다. 예를 들어 어릴 적 신체적 학대와 함께 ‘넌 주워온 아이야’라는 학대성 발언을 지속적으로 들은 아이가 있다고 해보자. 이 아이는 ... ...
이전
47
48
49
50
51
52
53
54
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