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회복
복원
만회
재건
복귀
부흥
수복
뉴스
"
복구
"(으)로 총 529건 검색되었습니다.
고장난 신경세포
복구
단백질 찾았다
과학동아
l
2014.06.25
밝혀냈다. 이영수 아주대 교수 - 한국연구재단 제공 ATM은 지금까지 이중나선 절단의
복구
에만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지만 신경세포의 퇴화를 막는 기능을 갖고 있다는 사실을 알아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연구팀은 이번 성과를 신경질환 치료 물질 등을 개발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 ...
피 안 멈추는 혈우병, iPS세포로 해결
과학동아
l
2014.06.15
질환 모델 세포를 만들었다. 이후 이 모델에 탈렌을 도입해 뒤집어진 8번 염색체를 원상
복구
했고, 8번 유전자의 혈액응고인자가 정상적으로 발현된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김동욱 교수와 유전체교정연구단장인 김진수 서울대 화학부 교수는 “이 기술을 활용해 혈우병을 치료할 수 있는 ... ...
일본판 황우석 사태?…자중지란 만능세포
동아사이언스
l
2014.03.11
임상연구 임박 줄기세포 연구는 알츠하이머 등으로 파괴된 신경세포를
복구
하는 데 우선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정도로 의미가 크다. 현재 성체줄기세포를 이용한 퇴행성관절염 치료제는 이미 활용되고 있다. 이런 줄기세포 연구로 가장 주목받고 있는 연구는 신야 교수의 유도만능줄기세포 ... ...
빛으로 부활한 마크 로스코
과학동아
l
2014.03.06
심하게 변색됐다. 1979년에 보호를 위해 창고로 옮겨지고, 1988년에는 ‘뉴욕타임스’가
복구
가 불가능하다고 보도했을 정도다. 그런데 최근 과학자들이 이 작품의 원본에는 전혀 손을 대지 않고 원색을 감상할 수 있는 디지털 증강현실 기술을 선보였다. 미국 하버드대 미술관 젠스 스텐저 박사팀은 1 ... ...
[광화문에서] 예배당에 모신 슈퍼컴퓨터
동아사이언스
l
2014.03.05
다스리던 ‘기로나 가문의 탑’이라고 할까. 19세기에 세워져 스페인 내전 때 파괴됐다가
복구
되어 예배나 교육 같은 성스러운 용도로 사용하던 공간이다. 세상에서 가장 아름답고 호화로운 슈퍼컴퓨터센터로 꼽히는 바르셀로나 슈퍼컴퓨터센터(BSC). 슈퍼컴퓨터가 예배당의 분위기와 어울려 ... ...
근육예찬
동아사이언스
l
2014.02.18
늘어나는 건 일종의 염증반응이기 때문에(벅찬 운동으로 근육세포가 손상을 입으면 이를
복구
하기 위해 주변의 위성세포가 몰려와 근육세포에 융합하면서 근섬유가 굵어진다) 지나치면 여러 스트레스 반응을 부르기도 한다. 사실 스피드스케이팅 선수들은 근육이 지나치게 발달한 상태로, ... ...
[헬스&뷰티]스트레스 불면증, 탁구-배드민턴 도움
동아일보
l
2014.01.22
때문에 기억력도 떨어진다. 사람이 자는 동안 단백질 합성이 촉진되면서 손상된 조직을
복구
하는데 잠을 제대로 못 자면 작동이 안돼 피부도 나빠진다. 잠을 충분히 못 자면 감기를 비롯한 감염성 질환에 잘 걸리고 잘 낫지 않는다. 이것도 면역기능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만성불면증의 경우엔 불면 ... ...
3만 2000대 컴퓨터 동시 피해입힌 사상 최악의 해킹
동아사이언스
l
2013.12.30
강력한 악성코드를 동원했기 때문에
복구
가 어려웠다. 데이터
복구
전문업체에 맡기면
복구
할 가능성은 일부 남아 있지만 상당수의 피해자들은 데이터를 살려내길 포기하고 컴퓨터를 초기화 시키는 것으로 문제를 일단락 지었다. 보안업체들은 당시 해킹을 특정 시간에 한꺼번에 실행시켜 ... ...
우리나라도 '슈퍼태풍' 안전지대 아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2.25
따르면 하이옌 상륙 하루 만에 이 지역에서만 100명 이상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복구
작업이 진행되면서 희생자 수도 늘고 있어, 이달 13일 기준으로 사망자와 실종자 수는 각각 6000명과 1770명을 넘어섰다. 전 세계 국가들과 민간단체의 구호물품 전달도 계속해서 이어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 ...
발암물질로 인한 DNA 손상, ‘이것’만 있으면 오케이!
동아사이언스
l
2013.12.19
발암물질에 의해 DNA의 이중나선이 끊어지면, ATM 단백질(노란색)과 TCTP 단백질(파란색)이 결합해 손상 부위에 인산기(P)를 부착한다. 그 후 각종 DNA 수리 단백질들이 인산기를 신호로 인식해 모여든다. - KA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생명체가 방사능이나 자외선 같은 ‘발암물질’로부터 스스로 DNA를 방 ... ...
이전
47
48
49
50
51
52
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