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골
뼈대
뼈다귀
뼉다귀
뉴스
"
뼈
"(으)로 총 990건 검색되었습니다.
경남 진주에서 피부 자국까지 완벽한 공룡 발자국 화석 세계 첫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9.02.19
Q. 미니사우리푸스는 중국과 한국에서 발견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발자국 외에 몸
뼈
화석도 발견된 적이 아직 없는지요. A. 네, 아직 발자국만 발견되고 있습니다. Q. 논문에 따르면 발견된 발자국 화석 수가 수십 개가 되며, 이를 바탕으로 이 발자국이 어떤 큰 공룡의 어린 개체의 발자국일 ... ...
골수이식 부작용 줄이는 ‘T세포 공장’ 만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12
들어 있다. 하나는
뼈
가 재생될 때 필요한 생리활성단백질(BMP-2)로 기질세포를 모아
뼈
세포를 만든다. 이 단백질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스폰지젤이 점점 실제 골수처럼 견고해지도록 만든다. 또 다른 단백질은 골수에서처럼 스폰지젤 지지대에서도 T전구세포가 만들어지도록 돕는 신호전달물질(DLL4 ... ...
'90.5를 기억하라'…인간마저 위협하는 플라스틱의 역습
어린이과학동아
l
2019.02.09
플라스틱을 먹고 죽은 알바트로스 모습. 플라스틱을 먹고 죽은 새의 시체를 촬영했다.
뼈
와 함께 남은 플라스틱의 모습이 새가 받았던 고통을 전해주는 듯하다. Chris Jordan 벨기에 화학자 레오 베이클라이트가 1907년에 플라스틱을 발명한 이후, 제2차 세계대전을 거치며 본격적으로 플라스틱의 ... ...
남극 바다표범 꿀꺽 삼킨 2017년의 추억
동아사이언스
l
2019.02.07
새, 생선 따위를 잡아먹고 산다. 실제 이들의 배설물에서는 새 날개와 발, 생선
뼈
등이 자주 발견된다. 그런데 최근 레오파드 바다표범 배설물에서 USB메모리가 발견됐다. 원래 서식지보다 훨씬 북쪽에서 발견된 이 메모리에서는 2017년 어느 여행객의 휴가 사진과 영상이 발견됐다. 연구자들은 ... ...
국내 연구팀, 몽골에서 아기 신종 공룡 ‘고비랍토르’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9.02.07
사실을 확인했다. 이 교수는 “몸 길이 1.3m의 매우 작은 개체로, 이렇게 작고 어린 개체는
뼈
가 물러 화석으로 남기 힘든데 학계에 희귀한 사례를 보고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젊을 때 근력운동을 해두면 좋은 이유
2019.02.06
빈약하다. 이처럼 근육이 비싸게 구는 건 정말 ‘비싼 조직’이기 때문이다. 힘줄로
뼈
와 연결돼 있는 골격근은 필요에 따라 크기(두께)가 쉽게 변할 수 있게 진화돼 있다. 힘쓸 일도 없는데 근육량이 많으면 이를 유지하는 비용(칼로리 소모)이 부담스럽기 때문이다. 줄기세포는 평소 쉬고 있다가 ... ...
신경계만 남은 인간의 몸
팝뉴스
l
2019.02.05
여기에 당신의 생각이 보관된다. 행복과 슬픔 그리고 감각도 여기서 생겨난다. 장기와
뼈
와 근육 등 당신 몸의 나머지는 이것을 보존하기 위한 보조물에 불과하다.” 통렬한 느낌을 주는 설명이다. 해외 누리꾼 사이에서는 날카로운 지적이라는 반응이 많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 ...
뼈
만 만은 고슴도치 ‘화제’
팝뉴스
l
2019.02.04
큰 화제가 된 이미지다. 고슴도치의 유골을 보여준다. 모든 것이 사라지고 하얀
뼈
만 남았다. 등 부분의 가시가 남아 있는 것이 이채롭다. 사진은 미국의 한 박제사가 최근 인스타그램에 공개한 것이다. 화제의 사진은 SNS에서 큰 주목을 받고 있다. 댓글을 보면 해외 네티즌들은 복잡한 감정을 ... ...
“10만 년 전 러시아 동굴, 두 인류 공존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31
작품을 남겼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데니소바 동굴에서 출토된
뼈
로 만든 바늘과 이빨로 만든 장신구. 연구팀은 데니소바인의 작품으로 추정했지만, 아직 논란의 여지가 있다. -사진 제공 카테리나 ... ...
샤워가 가능한 3D 프린팅 깁스
팝뉴스
l
2019.01.26
제공
뼈
를 다치면 석고붕대를 한다. 흔히 ‘깁스’라고 부른다. 깁스를 하면 골절을 치료할 수 있지만 아주 불편한데 가장 큰 불편은 뭐니 뭐니해도 씻을 수 없다는 점이다. 몇 개월 동안이나 다친 부위를 씻지 않고 버텨야 치료가 된다. 위 사진은 미국의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주목받은 것인데 3D ... ...
이전
47
48
49
50
51
52
53
54
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