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송
운송
운수
뉴스
"
이송
"(으)로 총 519건 검색되었습니다.
[채널A] 치명상 입은 환자 살리는 ‘스마트 안경’
채널A
l
2014.10.22
응급환자를 가정한 시연이지만 실제였다면 환자의 생사가 걸린 긴박한 상황.
이송
과정의 전문적인 처치가 회생의 관건입니다. [인터뷰 : 이승준/명지병원 응급의학과 전문의] 말로만 듣던 것보다 얼굴과 처치를 보면서 하기 때문에 수월하고 정확한 지도를 할 수 있고요. 실제로 미국에서는 ... ...
12월부터 에볼라 감염자 1주일에 1만 명씩 는다
2014.10.15
의료봉사 도중 에볼라에 감염된 뒤 에어앰뷸런스를 통해 8월 2일 미국으로
이송
된 켄트 브랜틀리 박사가 회복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유명세를 탔다. Z맵을 개발한 미국 맵바이오파마큐티컬사는 공정을 수정해 지금까지 소량밖에 만들 수 없던 생산량을 늘릴 것이라 최근 ... ...
‘질병 주식회사’에서 인류 멸망 바이러스 제조?
2014.08.24
캡처 제공 라이베리아에서 의료봉사 활동중 에볼라 바이러스에 감염돼 2일 미국으로
이송
된 켄트 브랜틀리 박사가 임상시험을 거치지 않은 신약 ‘지맵’을 투여 받고 완치됐다고 미국 CNN이 21일 밝혔다. 여전히 서아프리카에서는 사망자가 늘어나고 있지만(8월 20일 기준 2473명 확진, 1350명 사망) ... ...
‘지맵’ 에볼라 고칠 기적의 약 될까
과학동아
l
2014.08.05
제공 라이베리아에서 의료봉사 활동 중 에볼라 바이러스에 감염돼 2일 미국으로
이송
된 켄트 브랜틀리 박사가 임상시험을 거치지 않은 신약을 투여 받고 호전되고 있다고 미국 CNN이 5일 보도했다. 브랜틀리 박사뿐 아니라 에볼라 바이러스에 감염된 또 다른 미국인인 낸시 라이트볼 또한 신약을 ... ...
1976년 에볼라 역병은 어떻게 시작되었나
2014.08.04
조지아주 도빈슨 공군기지에 착륙해 애틀란타의 에모리대학병원 내에 있는 CDC로
이송
된 브랜틀리 박사가 방호복 차림으로 구급차에서 내리는 장면이 인상적이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몇몇 종교단체가 서아프리카로 의료봉사단을 보내겠다고 해 이들의 출국을 막아달라는 청원이 청와대 ... ...
레미콘 수명 5배 늘어난다
과학동아
l
2014.07.16
수입에 의존하던
이송
관의 수입 대체효과는 물론 해외 수출도 기대된다”며 “콘크리트
이송
관 이외에도 다양한 펌프 및 파이프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재료연은 이 기술을 국내 기업인 케이엠티에 이전했으며, 펌프카 제조사인 에버다임이 이 기술을 상용화 할 ... ...
KAIST 학생 숨진 채 발견
과학동아
l
2014.04.29
KAIST 학생 1명이 학교 내에 쓰러져 있던 것을 발견, 인근 병원으로
이송
했으나 결국 숨졌다. 경찰은 정황 상 자살일 것으로 보고 정확한 원인을 수사 중이다. 28일 KAIST 측에 따르면 KAIST 생명화학공학과 2010학번 김 모(21)씨가 기숙사 내 화장실에 쓰러져 있었다. 현장에는 타다 남은 번개탄 1개와 ... ...
[세월호 침몰]초음파 스캐너로 세월호 주변 조사
과학동아
l
2014.04.22
책임연구원은 “해저탐사용 로봇 ‘크랩스터’를 대전에서 사고 현장으로
이송
중”이라고 21일 밝혔다. 크랩스터는 길이 2.4m, 높이 2m, 무게 600㎏의 대형 로봇으로 6개의 다리를 이용해 최고 시속 2~3km로 바다 밑바닥을 전후좌우로 움직인다. 물 속을 헤엄치는 방식이 아니라 다리로 바닥을 짚고 ... ...
뇌출혈, 고혈압이 제1 원인… 적절한 운동으로 혈관건강 지켜야
동아일보
l
2013.12.16
혈관이나 큰 혈관의 출혈은 심각한 후유증이나 급사를 부를 수 있어 전문병원으로 빨리
이송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국내 뇌혈관 출혈질환 전문가인 김용배 강남세브란스병원 신경외과 교수와 대동맥질환 전문가인 이기종 흉부외과 교수의 도움말로 출혈성 혈관질환의 예방과 조기 진단을 ... ...
우주 시작의 비밀, 우리 위성으로 밝혀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0.28
3호를 대전에 있는 KAIST 인공위성연구센터에서 러시아 야스니(Yasny) 발사장으로 24일 자정
이송
작업을 마무리했다고 28일 밝혔다. 과학기술위성 3호는 2003년 발사한 과학기술위성 1호에 이어 우주관찰을 목적으로 한 우리나라의 두 번째 위성으로 우주관측용 적외선카메라를 탑재했다. ... ...
이전
47
48
49
50
51
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