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능
활동
영향
효과
힘
작인
작업
스페셜
"
작용
"(으)로 총 1,273건 검색되었습니다.
[랩큐멘터리] '뜨거운 지구' 기후변화의 임계점을 탐사하는 사람들
동아사이언스
l
2021.03.11
악화시키는 지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팀은 해양의 식물성 플랑크톤이나 육상 실무의 생리
작용
이 북극의 온난화를 얼마나 가속화시키는 지도 최초로 밝혔다. 이외에도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기후변화 예측 연구에도 집중하고 있다. 연구팀의 최종 목표는 ‘좀 더 ... ...
A형은 약하고 O형은 강하다?…혈액형으로 본 코로나 취약도
동아사이언스
l
2021.03.09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수용체 결합 도메인(RBD)’이 A와 B, O형 혈액과 어떻게 상호
작용
하는 지 실험했다. 그 결과 RBD가 다른 혈액형에 비해 A형 혈액에 더 잘 결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혈액은 적혈구 표면에 있는 항원 단백질의 유무와 조합에 따라 A형, B형, AB형, O형으로 분류된다. 예를 들어 A형 ... ...
[IBS 코로나19 리포트 시즌2] 자연에서 발견한 코로나19 치료 후보물질
2021.03.09
바이러스 생활사 중 하나 이상의 단계를 공략하는 전략을 취한다. 코로나19 치료제의
작용
원리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사스코로나바이러스-2가 숙주 내에서 활동하는 생활사를 먼저 들여다 볼 필요가 있다. 사스코로나바이러스-2가 우리 몸에 들어와 증식하는 과정 자세한 내용은 'IBS가 밝혀낸 ... ...
[표지로 읽는 과학] 면역
작용
에 상처까지 치료하는 대식세포
동아사이언스
l
2021.03.07
붙어있는 대식세포를 덮었다. GATA6+ 대식세포가 상처에 붙는 과정에서 별다른 화학
작용
이 관찰되지 않았다. 연구팀은 이것이 GATA6+ 대식세포가 화학적 메커니즘에 따라 상처 부위를 찾고 다른 GATA6+ 대식세포를 불러들이지 않고 복강 내부를 떠다니다가 우연히 상처 부위에 붙었다는 사실을 ... ...
워싱턴 의대 연구진 "기존 백신으론 변이 코로나 막기 어렵다"
연합뉴스
l
2021.03.06
빠르게 퍼지고 있는 이들 3개 유형의 변이 코로나는, 변이 이전의 원래 신종 코로나에
작용
하는 항체를 피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들 변이 코로나를 중화하려면 기존 백신을 접종했을 때보다 훨씬 더 많은 항체가 생겨야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변이 코로나를 중화하는 데 역부족이란 측면에선, ... ...
[이덕환의 과학세상] 텍사스 가짜 눈의 정체
2021.03.03
물론 승화의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적지 않은 시간이 걸린다. 거대한 빙하가 풍화
작용
으로 깎여나가는 것도 언 물이 승화하기 때문이다. 얼음의 승화 현상을 유용하게 활용하기도 한다. 덕장에서 얼어붙은 명태를 말려서 북어를 만드는 동결건조(freeze drying)가 바로 얼음의 승화를 활용하는 ... ...
[한 토막 과학상식] 초전도 현상 보이는 강상관계 물질 '훈트 금속'이란
동아사이언스
l
2021.03.02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팀은 “하나의 에너지띠만을 가정한 기존의 연구가 훈트 상호
작용
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다 에너지띠 시스템에서는 수정돼야 한다는 점을 제시했다”며 “동시에 물질 고유의 양자결맞음 에너지 스케일을 낮은 온도에서 전자구조를 통해 직접 관찰한 연구”라고 밝혔다. ... ...
2월 말부터 전세계 코로나 감소세 ‘주춤’...백신효과는 ‘아직’
동아사이언스
l
2021.03.02
사실은 고무적이라고 판단했다. 하지만 코로나19 백신이 실제 지역사회에서 어떻게
작용
하는지에 대해서는 세계적으로도 아직 정보를 축적해가는 단계라는 분석이다. 충분한 백신 접종을 통해 집단면역이 형성되는 시기까지는 감염 위험에 대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는 것이다. 이상원 단장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우리 몸에는 생체시계 네트워크가 있다
2021.03.02
아세틸전달효소임을 밝혔다. CLOCK이 DNA가 감긴 실패(히스톤)를 느슨하게 하는 후성유전학
작용
으로 Per와 Cry 같은 표적 유전자의 발현을 늘린다는 말이다. 그리고 NAD+를 비롯한 많은 대사산물 역시 체내 농도가 24시간 주기로 오르내림을 밝혔다. 생체시계와 후성유전학, 대사가 서로 밀접하게 관련돼 ... ...
[랩큐멘터리]밝혀지지 않은 생명현상의 미스테리를 추적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02
정보를 찾아내고 복원하는 단백질 효소들을 가지고 있는데 연구실은 이 효소들의 상호
작용
을 관찰해 오류를 복구하는 과정을 규명했다. 이 연구는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2016년 11월 17일에 실렸다. 단일분자 생물물리 연구실은 단일분자 이미징 기법을 이용해 세포에서 일어나는 여러 현상을 ... ...
이전
47
48
49
50
51
52
53
54
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