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형상
모양
윤곽
외형
형식
생김새
폼
d라이브러리
"
형태
"(으)로 총 6,831건 검색되었습니다.
컴퓨터로 그리는 아이들의 세상 "나도 피카소가 될래요"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스케치북 : 동물 식물 음식 탈 것 등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환경을 18가지의
형태
와 6백여가지 밑그림으로 제공한다. 아이들이 좋아하는 24색을 선택할 수 있으며, 선택할 때마다 이름을 알려준다. 24색을 혼합해 다른 색을 만들 수도 있다.▲색깔을 갖고 싶어 : 색깔을 주제로 한 14분짜리 ... ...
1. 생물학적결정론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확실히 뒷받침하는 결정적인 단서는 되지 못한다.프랑스의 비네는 지능검사라는
형태
로 지능을 측정하려 했던 최초의 사람이다. 1904년 그는 지적장애아가 교육에 의해 지적장애를 개선할 수 있다는 전제 아래 장애아들을 찾아내기 위해 정신과 의사인 시몬과 함께 지능검사를 고안해 냈다.그 뒤 ... ...
뛰면서 하는 건강진단 스포츠의학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가장 적합한 운동프로그램이 제시된다. 이주립교수는, “운동처방을 위해서는 운동의
형태
강도 시간 빈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고 말한다. 골프장에서 사망할 수도예를 들어 심폐지구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운동으로 신체 내 큰근육을 장시간 사용하는 유산소운동을 생각하자. 조깅 ... ...
2. 유니코드, 논쟁에 종지부 찍을 것인가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바이트 조합형코드’는 1만1천1백72자의 조합 가능한 모든 현대 한글을 자소 분리가 쉬운
형태
로 배열해 놓은 ‘완성형 코드’라고도 할 수 있다. 진정한 의미에서 조합형 코드라 불릴 수 있는 것은 ISO 10646에 이미 포함돼 있는 초성 중성 종성 자모 조합에 의한 한글 코드다. ‘정음형’ 혹은 ... ...
2. 나의 젊은 시절 보금자리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너무 흡사했다. 기숙사에서 도서관으로 또 강의실로 왔다 갔다하는 것, 특히 수업 방식과
형태
등은 KAIST와 매우 비슷했다. 따라서 적응하는데 그리 큰 어려움을 격지 않았다.요번 학기에는 수업을 2과목 들었는데 한과목이 잡아먹는 시간이 이만 저만 큰것이 아니었다. 특히 중간 중간에 있는 ... ...
3. 사용자·프로그래머가 보는 한글코드 문제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자료를 마구잡이식으로 볼 사람은 아무도 없기 때문이다.누구나 자신이 원하는
형태
대로 자료가 정렬되기를 원한다. 2바이트를 고려하지 않더라도 일반적인 에디터에서 정렬되는 수준의 결과라면 만족할 만하다. 그런데 확장완성형의 경우 코드를 정렬해주는 함수를 사용하지 않는 툴이나 커스텀 ... ...
시속 2백km를 나는 셔틀콕의 비밀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자연스럽게 앞에 놓여 있는 발로 옮겨진다.한편 숙련된 선수들이 구사하는 스트로크
형태
는 수m 높이에서부터 상대편 코트 후방 깊숙이 수직으로 낙하하는 하이 클리어(high clear)라든가, 네트에 살짝 떨어뜨리는 헤어핀(hair pin), 빠른 속도로 마루 바닥에 내려꽂는 스매시 등이 있다.이 가운데 가장 ... ...
1. 컴퓨터에서 맥 못추는 '과학 한글' 왜 그럴까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저장하는 컴퓨터의 문자코드는 전압과 자기적 성질의 변화를 나타내기 쉬운 이진수의
형태
로 표현된다. 다만 컴퓨터에 저장돼 있는 내용을 사람이 알아볼 수 있도록 숫자가 글자의 모양으로 바뀌어 컴퓨터 화면에 나타나는 것이다.컴퓨터용 문자코드는 컴퓨터에서 어떤 문자가 어떤 숫자로 ... ...
'고대문명의 수수께끼' 그 감추어진 이야기들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모습이 된다. 이 사원의 건축 양식은 인도의 영향이 전혀 없지는 않았지만, 건물의
형태
나 석조장식 등을 살펴보면 크메르인들의 독자성을 발견할 수 있다. 특히 전장 7백60m에 이르는 제1 회랑 벽의 부조나 제2 회랑 내부의 화려한 십자형 기둥, 탑 등은 하늘의 요정 아프살라와 부채처럼 머리를 ... ...
1. 물체를 움직이는 정신작용 염력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미하일로바의 몸 주위에 형성된 미약한 자장대를 발견했다. 또한 미하일로바의 뇌파
형태
가 특이하다는 것도 관찰했다. 일반인은 머리 전반부와 후반부의 전압 차이가 3-4배 정도인데 미하일로바는 50배의 차이가 나타난 것이다.무엇보다도 가장 커다란 특징은 미하일로바가 염력을 사용해 테이블 ... ...
이전
516
517
518
519
520
521
522
523
5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