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성
조직
구출
구제
조립
구원
기구
d라이브러리
"
구조
"(으)로 총 7,345건 검색되었습니다.
컴퓨터 속의 통역사 자동번역기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먼저 원어 문장을 보고 문법
구조
를 분석해 이를 한국어 문법으로 변환하고, 다시 이
구조
에다 조사나 연결어구를 붙여서 우리말로 문장을 생성해내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영어문장이 주어-동사-목적어의 3형식 구문으로 돼 있는 경우, 우리말의 주어-목적어-동사의 형태로 문법을 변환하고, 각 ... ...
① 시각 : 도로 상태 보며 핸들 조절하는 무인자동차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움직인다.MIT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개발하고 있는 휴먼로봇 코그는 인간과 비슷한 눈의
구조
와 시각 기능을 갖고 있다. 코그의 두 눈은 인간의 눈을 흉내내어 광각과 협각 2개씩 총 4개의 카메라로 구성돼 있다. 코그의 광각 카메라는 넓은 범위를 살펴보면서 움직임이 있는 영역을 검출할 수 있다. 또 ... ...
③ 추론 : 주인 취향 맞춰 비서 노릇 척척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위한 방법으로 등장한 것이 신경망(neural network)이다. 신경망이란 한마디로 인간의 두뇌
구조
를 모방한 컴퓨터다.일본은 신경망이 그 계산 원리와 방법 면에서 기존 컴퓨터와 전적으로 다르다는 점을 깨닫고 1992년부터 10년 계획으로 신경망을 바탕으로 한 컴퓨터 개발을 목표로 야심찬 프로젝트를 ... ...
우리 역사 속의 군함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사람)가 위치하고 포수는 상갑판에 위치했다고 증언하고 있다. 이 증언은 거북선이 3층
구조
로 1층은 수군의 침실과 군량 무기 창고로 이용됐으며, 2층은 노군과 사부가, 3층은 포요원이 위치해 전투시 포와 활 그리고 기동을 자유자재로 할 수 있었던 군선이었다. 거북선의 크기는 박문수가 지적한 ... ...
공룡 번성과 몰락의 시나리오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먹이 경쟁에서 뒤쳐져 점점 감소하다가 삼첩기 말에 멸종한다. 즉 발달된 다리
구조
와 먹이를 찾는 능력, 그리고 새로운 지역에 과감히 뛰어드는 공룡들은 원시 아르코사우르스와의 경쟁에서 쉽게 우위를 차지해 육상을 지배한 것이다.운석충돌로 덕본 셈?그러나 최근 공룡의 번성은 후기 삼첩기에 ... ...
곤충진기명기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연비가 좋은 고급 연료에 산소를 충분히 공급해 완전연소를 하는 셈이다.또 특이한 근육
구조
도 곤충의 놀라운 비행을 가능하게 했다. 곤충의 날개 근육은 크게 동기(synchronous)근육과 비동기(asynchronous)근육으로 나뉜다. 나비와 잠자리 등 대부분의 곤충에서 볼 수 있는 동기근육은 한번 신경 자극이 올 ... ...
산불 그 후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크게 달라졌기 때문이다. 지난 30여 년 동안 실시했던 조림과 사방사업 덕분에 우리 숲의
구조
는 자연회복력을 어느 정도 회복하게 됐다. 특히 소나무 숲 밑에서 때를 기다리는 아교목층의 참나무류가 번성하는 산지가 많아졌다. 그래서 산불피해지는 참나무류 맹아로 숲을 자연회복 시킬 수 있게 ... ...
간의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적도환 둘레에 있는 백각환을 사용해 시각을 측정할 수도 있다.간의는 적도좌표계의
구조
를 갖고 있기 때문에 적도에 수직방향인 극축은 지구의 자전축과 정확히 일치하도록 조정해서 설치해야 한다. 때문에 세종은 청동으로 된 간의 완제품을 만들기 전 나무로 간의를 만들어 한양의 북극고도 ... ...
② 청각 : 원하는 소리만 듣는다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쫓기는 한 사람이 휴대폰에 대고 “본부” 라는 말을 외치자 곧 헬리콥터가 나타나
구조
하는 상황이 연출됐다. 그러나 현재 수준에서 이런 일은 실현될 수 없다. 기계의 입장에서 ‘들을 때’ 시끄러운 소음 속에서 유독 사람의 말만을 인식할 수 없기 때문이다. 즉 기계로서는 주변의 모든 소리가 ... ...
10돌 맞은 월드와이드웹의 미래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고퍼, 아키와 같은 다양한 인터넷 서비스가 있었다. 그러나 고퍼와 아키는 디렉토리
구조
와 키보드로 일일이 쳐서 검색하는 방식으로 복잡하고 많은 정보 중에서 필요한 정보를 찾는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1980년 말 유럽핵물리연구소(CERN)의 팀 버너스리는 기존 인터넷 서비스의 단점을 ... ...
이전
518
519
520
521
522
523
524
525
5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