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묵독
목독
방패
방패막이
사이
d라이브러리
"
간
"(으)로 총 9,156건 검색되었습니다.
뇌지문으로 거짓말 탐지할 수 있나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2002년 1월호에 발표했다.불안한 심리는 눈에서도 읽을 수 있다. 국립과학연구소는 조만
간
눈동자 움직임(EOG)의 변화로 거짓말 여부를 가리는 검사장치를 선보일 계획이라고 밝혔다. 최효택 실장은 “인체는 심리 변화에 따라 몸 상태도 함께 바뀌기 때문에 이를 활용하면 어떤 종류의 탐지기도 만들 ... ...
RNA로 유전병 고친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있는 점을 생각해보면 그리 머지않은 장래에 RNA를 이용해 질병을 치료하는 등 RNA
간
섭을 통해 새로운 생명공학기술의 패러다임을 여는 시대가 오지 않을까 ... ...
X선 회절분석기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장비다. 보통 원자의 크기는 0.1-0.5nm(1nm=${10}^{-9}$m)밖에 되지 않는다. 따라서 원자
간
간
격이 매우 작은 박막이나 나노분말의 경우 X선처럼 파장이 0.01-1nm 정도로 짧아야 정확한 구조분석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최근에는 XRD가 단백질 결정 연구 등 나노 수준의 물질 연구에서 기본 장비로 활용되는 ... ...
01. 멀수록 강해지는 이상한 힘 규명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입자의 표준 모델(Standard Model)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최근에는 중성자, 양성자, 중
간
자의 질량을 컴퓨터로 계산한 값이 실험치와 비교해 5%의 오차범위 안에서 일치할 정도로 탁월한 연구 성과가 나왔다.또 이들의 연구로 인해 정립된 QCD는 전자기력, 약력의 이론과 자연스럽게 결합돼 전자기력, 약력, ... ...
2. 단 한 개의 바이러스도 검출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내는 인
간
의 코를 재현한 후각바이오센서의 개발이 가능하다. 필자의 연구실에서는 인
간
의 후각수용체분자를 이용해 코와 비슷하게 작동하는 후각바이오센서를 만드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냄새분자와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후각수용체가 1차 트랜스듀서이고, 이들 결합을 감지하기 위하여 2차 ... ...
세계는 지금 곤충산업 붐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능력을 인
간
이 조금만 더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다면 훨씬 더 신나고 즐거운 세상에서 인
간
과 곤충이 함께 살 수 있을 것이다.벌레는 평화수호자 종군 벌레에서 환경지킴이 벌레까지 흉측한 모습으로 사람들의 눈살을 찌푸리게 하는 벌레. 해충이 아닌 벌레도 집안에서는 불청객 취급을 당한다. ...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책임연구원 문대원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총 연구자 수가 1백80명에 달하는 이 사업은 과학기술부 신기술융합사업의 일환으로 10년
간
진행된다.세계적으로 생명과학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문 박사는 첨단기술을 확보하고 있는 생명과학 선진국과의 경쟁에서 뒤지지 않으려면 새로운 도전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단일 소자를 원자 ... ...
경쟁자 나타나자 '종의 기원' 서둘러 발표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법칙으로 해석됐다. 예를 들어 영국의 사상가 허버트 스펜서는 적자생존을 위한 개인들
간
의 극한투쟁을 사회 진보의 원리라고 주장하는 ‘사회 다윈주의’를 주장했다. 또 다윈의 이론은 인종 차별을 정당화하는 근거로 해석되기도 했다. 이처럼 다윈의 진화론은 과학계뿐만 아니라 사회 전반에 ... ...
상업 우주관광 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1인당 19만달러, 약 2억1천8백50만원)을 2007년부터 판매한다고 밝혔다. 지금까지 민
간
의 우주비행은 1인당 2천만달러(약 2백30억원)의 거액을 내야 했던 러시아의 우주선 소유즈호 우주관광이 전부였다. 한국에서도 최근 주부와 전도사 등 2명이 한 인터넷 쇼핑몰의 우주여행 행사에 당첨돼 2006년 ... ...
02. '죽음의 입맞춤' 유비퀴틴 발견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연구 목표는 여전히 단백질 분해에 ATP가 필요한 이유를 규명하는 것이었다.미국에서부터
간
세포추출물을 사용해 연구했던 허쉬코 박사는 1977년 미 하버드대 알프레드 골드버그 박사에게 힌트를 얻어 적혈구추출물을 사용해 보기로 했다. 세포 내 소기관인 리소좀 내에는 많은 단백질분해효소가 ... ...
이전
521
522
523
524
525
526
527
528
5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