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솜씨
테크닉
재주
기량
서술
숙련
수완
d라이브러리
"
기술
"(으)로 총 12,250건 검색되었습니다.
꿈을 현실로 만들어 보자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그런데 프로그래밍의 기본은 수학이야. 수학을 잘 알고 프로그래밍을 하는 것과
기술
만 갖고 누군가의 도표를 보고 프로그램을 만드는 것은 근본적으로 달라.” 수학이 기본이라는 상담 선생님의 말에 P학생은 수학을 좋아하긴 하지만 공부를 많이 하진 않아서 걱정이라고 말했다. 상담 선생님은 ... ...
과학적인 미래 연구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습관을 가져야 한다. 사고과정을 통해 자신만의 탐구역량을 기를 수 있다. 새로운 과학
기술
에 대한 책이나 자료를 많이 찾아보는 자세도 중요하다. 신문이나 과학동아에 나오는 과학기사도 눈여겨 보자. 과학에 대한 정보가 잘 정리된 사이트도 많이 있다. 이런 사이트를 주기적으로 방문해 ... ...
사막에서 안개 모아 물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모아 본 결과, 1㎡의 그물망에서 하루에 1ℓ의 물을 얻을 수 있었다고 해요. 연구팀은 이
기술
이 깨끗한 물을 구하지 못해 힘겹게 살아가는 전세계 9억 명의 사람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답니다.물부족 국가에 살고 있는 가난한 사람들이 몇 시간씩 걸어서 마실 물을 구하러 가지 ... ...
오라! 행복한 수학이 있는 강연장으로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시키기’ 라는 주제의 강연을 펼쳤다. 이주호 교육과학
기술
부 장관의 ‘교육과학
기술
과 긍정의 변화’ 특강도 관심을 끌었다.사업단은 현재 전국을 순회하며 수학박사가 맛보여 주는 ‘수박맛 교실’ 을 열어 수학의 참맛을 전하고 있다. 11월 12~13일에는 국립과천과학관에서 ‘대한민국 ... ...
포물선을 그리며 날아가는 것들… 신기전 vs ANGRY BIRDS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활’ 의 주인공이 적을 향해 화살을 쏘는
기술
은 ‘곡사’ 라 불리는 가공된 상상의
기술
이기 때문에 이때의 화살이 그리는 궤적은 완벽한 포물선은 아니다. 포물선의 아름다운 곡선은 비단 영화나 게임속에만 등장하지 않는다. 일례로 큰 공원에 세워진 분수에서 찾아볼 수도 있다. 이 원리는 ... ...
과학으로 하이킥! 애니메이션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때문에 배경까지 만들 수는 없어. 그래서 홀로그래피 애니메이션이 나오기 위해선 좀 더
기술
이 발전해야 해.만화 소녀, 애니메이션 감독이 되다“역시 무적의 5인방은 참 믿음직스럽구나. 포도 친구들의 도움을 받아 어려움을 이겨내서 참 기특하고. 내가 제자들 하나는 잘 키웠어.”“제가 괜히 ... ...
펜보다 키보드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열마다 키의 각도를 조절한 것이다. 눈에 띄지 않는 부분까지 꼼꼼하게 처리한 키보드의
기술
은 지금도 발전하고 있다. 최고의 한글 자판은 어떤 조합일까키보드의 영문 자판은 대부분 쿼티(QWERTY) 배열로 돼 있다. 쿼티는 키보드 왼쪽 위에 연속해 있는 알파벳 여섯 글자를 딴 이름이다. 타자기 ... ...
[수학영재캠프] 낭만 올림피아드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커지거나 아니면 점점 작아지는 양이라야 할 겁니다. 이런 단조적인 불변량을 이용하는
기술
이 필요합니다.다행히 이런 이동에서 잘 알려진 양이 한 가지 있습니다. 각각의 사람이 있는 좌표(방 호수)의 제곱의 합Q가 그것입니다(네제곱의 합 등을 대신 써도 됨).k²+(k+1)² ...
수학과 다른 분야 융합한 고교생 전시회 열려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다른 학문을 융합한 전시회를 개최해 주목을 받았다. 9월 9일 서울 광신고에서는 과학,
기술
, 건축, 공학, 미술 속에 어떤 수학 원리가 있는지를 소개하는 전시회가 열렸다. 광신고 수학동아리 ‘수리과학연구반’ 학생 21명이 팀을 이뤄 직접 연구하고 만든 작품을 소개하는 자리였다.‘테트라포드’ ... ...
바다를 품은 영재교육의 장, 군산대 과학영재교육원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기여한 사람에게 주는 상이랍니다.저는 과학이란 삶을 바꾸는 틀이라고 생각합니다. 과학
기술
에 의존하게 하는 것이 아니라 과학을 이용해 삶을 더 행복하게 만드는 것이 과학의 역할이라는 뜻이지요. 그러기 위해서는 과학을 다루는 사람이 수학이나 과학뿐 아니라 인문학적 소양과 예술적인 ... ...
이전
521
522
523
524
525
526
527
528
5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