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역
지방
세계
이승
세상
고장
초록별
d라이브러리
"
지구
"(으)로 총 8,834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3 행성에서 생명체까지, 상상플러스 공간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포워드가 쓴 SF ‘용의 알’에는 중성자별에 사는 외계인 ‘칠라’가 등장한다. 칠라는
지구
에서 보면 용자리 꼬리 근처에서 관측되는 중성자별에 산다. 중성자별은 중력이 너무 강해 대기가 겨우 수mm 두께이고 산의 높이는 대략 1cm다. 칠라는 강한 중력의 세계에 적응해 납작하고 참깨씨만 하게 ... ...
뫼비우스의 띠 0.58:1의 비밀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관측할수없을 만큼먼우주로 나갔다가 돌아왔다.
지구
에서는 그를 맞이하기 위해
지구
방위대 총사령관과 각국의 취재진이 기다리고 있었다. 마침내 우주인1858호가 등장했고 취재진은 그와 총사령관이 악수하는 장면을 담기 위해 몰려들었다.총사령관이 먼저 오른손을 내밀자 우주인도 오른손을 ... ...
보면 오래 사는 별 노인성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쉽지 않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남쪽인 제주도 대정읍 지역의 위도가 북위 33° 근처다.
지구
가 기울어 자전하므로 이곳에서 볼 수 있는 별은 이론상으로는 적위가 -57° 이상인 별이다. 노인성은 적위가 -54° 40′이므로 우리나라에서 관측할 수 있는 별의 남쪽 한계에 있다. 하지만 지평선 근처의 별은 ... ...
강 돌고래가 사라진다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착륙선을 화성에 보내 착륙한 다음 착륙선이 화성에서 실행한 각종 실험 데이터를
지구
로 송신하는 데이터 릴레이(data relay) 역할을 했다 터보팬 엔진에서 압축기(팬)만을 통해 뒤쪽으로 배출되는 공기유량과 연소기 및 터빈을 통해 뒤쪽으로 배출되는 공기유량의 비율폐색혈관(閉塞血管)의 혈행재건 ... ...
PART2 양자역학과 상대론 검증하는 우주실험실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띄워 중력파를 검출하려는 프로젝트(LISA)를 진행하고 있다. 각 위성 간의 거리가 500만km로
지구
반지름의 780배에 이른다. 기본 원리는 LIGO와 같다. 즉 한 위성에서 다른 두 위성을 향해 레이저빔을 보내고 두 위성에서 돌아온 빔이 이동한 거리의 차이를 이용해 중력파를 검출한다. LISA는 위성 간의 ... ...
PART2 금융상품 탄생 시나리오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필요에 의해서였기 때문이다. 그래서 요즘은 뮤지컬이나 미술품에 투자하는 예술펀드나
지구
온난화와 맞물린 탄소펀드처럼 이색상품이쏟아진다.기초자산을 결정할 때 주의할 점이 있다. 환율이나 금리, 원유처럼 세계 어디에서나 품질과 가격이 동일한지, 수량이 풍부한지를 따져야 한다.김 팀장은 ... ...
ISS를 신나는 '과학교실'로 만든다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기대했던 실험을 하지 못하게 돼 아쉽다”면서도 “나침반 여러 개를 공중에 띄우면
지구
의 자기장을 입체적으로 보여 줄 수 있지 않겠냐”며 새로운 실험을 제안하기도 했다.한국항공우주연구원 우주인개발단 최기혁 단장은 “재미있고 의미있는 교육실험을 만들기 위해 러시아 측과 좀더 ... ...
미래 과학자 하나로 묶는 여름 축제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아이디어를 쏟아냈다. 송상헌 군은 “
지구
온난화의 심각성을 공유하고 생활 속에서
지구
온난화의 주범인 이산화탄소를 줄이는 구체적인 실천방안에 대한 열띤 토론이 이뤄졌다”고 말했다.‘과학 포럼 바자’ 시간에는 각자 탐구논문을 발표했다. 미국 코넬대에 입학할 예정인 새뮤얼 람지(18세) ... ...
지구
최초의 나무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9호
빗자루를 뒤집어 놓은 모양이에요. 나무 밑동에서 꼭대기까지는 잎이 전혀 없어요. 당시
지구
대기에는 이산화탄소가 지금보다 훨씬 많았어요.이 나무는 이산화탄소를 마시고 산소를 내뿜어 육지에 곤충이나 공룡이 살 수 있도록 했답니다 ... ...
지구
대규모 생물 멸종은 태양계의 공전 궤도 탓?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때문이라는 연구결과를 천체물리학지 ‘아스트로피지컬 저널’ 8월 1일자에 발표했다.
지구
는 생명체 종의 수가 지난 5억년 동안 6200만년마다 주기적으로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이때마다 종의 수는 약 90%가 사라졌다. 연구팀은 이런 대규모 멸종이 태양계가 은하 중심을 도는 궤도면에서 가장 높은 ... ...
이전
521
522
523
524
525
526
527
528
5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