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미래"(으)로 총 7,810건 검색되었습니다.
- [나노영챌린지 2017] 물리학도들의 양자컴퓨터 도전기과학동아 l2017.11.30
- 아주대 팀(노기창, 손주이, 이현승 씨)은 팀원 모두 물리학과 학부생으로 이뤄졌다. 미래 컴퓨터 시스템으로 주목받는 양자컴퓨터를 구현하기 위한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시하고 그 가능성을 구현해 높은 점수를 받았다. 팀 대표를 맡은 노기창 씨(물리학과 4학년)는 “학교 수업과 논문 읽기 ... ...
- [나노영챌린지 2017] 뇌처럼 작동하는 컴퓨터를 위한 입체 메모리과학동아 l2017.11.30
- 나노기술의 미래를 이끌 젊은 과학도들의 축제 ‘나노영챌린지’가 6개월간의 대장정 끝에 막을 내렸다. 나노기술연구협의회는 나노영챌린지의 본상 시상식을 11월 23일 서울 강남구 라마다호텔에서 개최했다. 올해 처음 개최된 ‘나노영챌린지 2017’은 대학생과 대학원생들의 열기로 뜨거웠다. ... ...
- [초연결 초지능 사회③] 치료경험이 바뀐다 어린이과학동아 l2017.11.30
- 있는 미래를 선도적으로 개척하는 연구자와 기업인들이 있다. 이들과 함께 그려 본 미래의 삶을 살펴보자. "아야! 그렇게 하면 아파." 6주 전까지만 해도 5살 케빈은 자폐 치료용 로봇 '카스파르'를 못살게 굴었다. 코를 꼬집고 발바닥을 주먹으로 세게 내리치는 게 케빈이 세상과 소통하는 ... ...
- 코딩 서바이벌 인더문, 뜨거웠던 현장기록 과학동아천문대 l2017.11.29
- 차산업혁명 등 변화하는 미래 트렌드에 맞춰 코딩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2018년 초등학교 교과과정에 소프트웨어 교과목이 의무교육으로 편성된다는 소식도 들려온다. 이에 맞춰스크래치나 엔트리 같은 교육용 블록 코딩 도구를 사용한 소프트웨어 교육 프로그램들이 곳곳에서 진행되는 ... ...
- [초연결 초지능 사회②] 노인의 삶이 바뀐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11.29
- 있는 미래를 선도적으로 개척하는 연구자와 기업인들이 있다. 이들과 함께 그려 본 미래의 삶을 살펴보자. 올해 초, 콘시퀀셜 로보틱스는 노인 시설이나 어린이 시설을 찾아 미로를 선보였다. - Consequential Robotics 제공 혼자 사는 88세 노인 A씨. A씨는 거의 비슷한 하루하루를 살아간다. 아침에 ... ...
- VR콘텐츠 7억 뷰 ‘옴니버트’ 수익은 기술 사용료과학동아 l2017.11.29
- 창업자인 태국 출신의 브래드 파이산(32)도 그의 구글 동료다. 둘은 “동영상 콘텐츠의 미래는 모바일 VR에 있다”며 창업을 감행했다. 옴니버트의 나머지 직원 8명도 구글 등 쟁쟁한 IT 기업 출신이며 대부분이 기술자일 정도로 ‘기술 우선’을 기치로 삼는다. 러커 창업자는 “아직도 별도의 앱을 ... ...
- [초연결 초지능 사회①] 가족관계가 바뀐다 동아사이언스 l2017.11.29
- 또는 공유된 경험은 사람과 로봇 사이의 진정한 상호작용을 완성해 줄 거예요.” 요컨대, 미래에는 실내를 사각지대 없이 빈틈없이 메우고 있는 센서 기술이나 강력한 인공지능 못지않게 그것들을 적절히 활용해 인간과 교류하게 하는 게 중요하다는 것이다. 퍼스널 로봇 그룹은 테가 등을 ... ...
- 구글의 자신감, "AI, 트롤리 딜레마 없다...자율주행차, 사람보다 낫다"뉴시스 l2017.11.28
- 않은 일자리가 생길 것"이라고 예측했다. 아울러 "인공지능에 대한 우려는 굉장히 먼 미래에 대한 두려움"이라며 "현재 시스템에서 우려할만한 점은 없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기자간담회에서는 구글이 AI와 접목한 제품에 대한 다양한 발표가 이어졌다. 이삭 레이놀즈(Isaac Rwynolds) 구글 픽셀 ... ...
- [세상에 없던 연구, 평가는?] 일본, '113번의 기적' 만든 이화학연구소 편 과학동아 l2017.11.28
- iPSC)를 통한 재생의학이나 지난해 새로 개설한 인공지능(AI)센터 등을 통해 미래사회를 바꿀 기초과학 연구에 더욱 집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ㅡ 이 기사는 한국언론진흥재단의 지원을 받았습니다. ... ...
- 인명구조견용 ‘첨단 슈트’ 개발과학동아 l2017.11.28
- 구조견의 상태를 슈트로 시각화 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오노 카즈노리 일본 도호쿠대 미래과학기술공동연구센터 교수팀 등 공동연구팀은 구조견의 심전도와 활동량 등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달해 구조견이 적절한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돕는 웨어러블 슈트(아래 사진)를 개발했다고 11월 1일 ... ...
이전5225235245255265275285295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