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에네르기
힘
활력
원기
기력
파워
energy
뉴스
"
에너지
"(으)로 총 7,479건 검색되었습니다.
AI 음성인식 센서 "누구 목소리인지 구별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04
국내 연구진이 사람의 목소리를 구별하는 고성능 음성인식 센서를 개발했다. 최근 인기를 얻고 있는 음성인식 시스템 성능을 한층 끌어올릴 것으로 기 ... 같은 보안 분야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성과는 국제 학술지 ‘나노
에너지
(Nano Energy)’ 9월호에 게재됐다 ... ...
올해 노벨상 받은 광학집게로 신개념 광다이오드 소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10.04
원자나 살아 있는 세포 같은 매우 작은 물체를 붙잡을 수 있는 기술이다. 손 교수는 “
에너지
에 따라 진동수도 달라지기 때문에 한 광자에서 다양한 주파수를 만들 수 있게 된 것”이라며 “특히 이번 연구 성과는 올해 노벨물리학상 수상자들이 이룩한 업적이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말했다. ... ...
"빛을 도구로 쓰는 인류의 탄생”…노벨물리학상 발표현장 이모저모
과학동아
l
2018.10.03
우선 출력은 약하지만 펄스가 아주 긴 레이저를 만든다. 그 다음 증폭기를 이용해
에너지
를 키운다음, 다시 짧은 펄스로 압축시킨다. 그러면 펄스의 길이는 짧지만 그 힘이 훨씬 더 강해진 레이저를 얻을 수 있다. 이 기술이 등장한 이후 레이저의 강도는 다시 4~5년마다 두 배 이상씩 증가하고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레이저 기술 혁신 가져온 3人
2018.10.03
스트리클런드 교수가 쓴 1985년 논문에서는 펄스 폭이 2피코초 (ps·1ps 1조분의 1 초),
에너지
는 1mJ(1000분의 1J)에 불과했다. 지금은 펄스 폭은 펨토초(1000조분의 1초)나 아토초 (100경분의 1 초), 세기는 페타와트 (PW·1PW는 1000조W)에 이른다. 이런 극초단 초강력 레이저는 빛과 물질의 상호 작용을 ... ...
‘레이저 정밀기기 산파’ 노벨 물리학상, 3명 공동수상… 55년만에 여성도 영예
동아사이언스
l
2018.10.03
생물학, 의학 분야에서의 작은 입자 연구 등에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 원자 간 결합
에너지
를 측정하거나 바이러스와 같은 미생물 구조를 분석할 수 있다. 스승과 제자 관계인 무루 교수와 스트리클런드 교수는 수십 펨토초(fs·1fs는 1000조분의 1초) 이하의 찰나의 순간에 매우 높은 출력의 ... ...
노벨상 최고령기록 100세 육박…90살에서 96살로 껑충
동아사이언스
l
2018.10.02
0년전 상을 받을 기회가 있었지만 아쉽게 수상하지 못했다. 버락 오바마 미국 행정부에서
에너지
부 장관을 지낸 스티브 추 스탠퍼드대 석좌교수는 애슈킨 연구원이 만든 광학 집게를 이용해 원자를 포획하고 냉각하는 장치를 만들어 1997년 노벨 물리학상을 받았다. 당시 학계에서는 애슈킨 ... ...
노벨물리학상 광학집게·라식용 레이저 만든 美佛加 연구자 3명 수상(종합)
2018.10.02
레이저도 두 사람의 연구에서 나왔다. 초강력 레이저와 플라스마를 접목해 만든 고
에너지
양성자 빔은 암 치료에 사용되고 있다. 무루 교수와 스트릭랜드 교수는 한국을 방한한 경험이 있는 국내와 인연이 깊은 인물이다. 노벨상 수상자에게 주는 상금 900만 스웨덴 크로네(11억2400만원)는 애슈킨 ... ...
FT "신고리4호기 매일15억 손실"…원안위"원전 아직 미완 상태"
동아사이언스
l
2018.10.02
대한 정부의 승인이 떨어질 것이라 기대하고 있다. 문재인 정부는 오는 2030년까지 재생
에너지
를 전체 발전량의 20%까지 확대하고 2060년까지 완전한 탈원전을 선포했다. ... ...
의약품 부작용 사전에 막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02
모은다. 오준학 서울대 공대 화학생물공학부 교수와 곽상규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에너지
및화학공학부 교수 연구진은 다양한 분자를 감지할 수 있는 ‘카이랄성 구조의 유무기 초분자체’ 합성에 성공했다고 2일 밝혔다. 카이랄성은 분자 구조가 거울에 비친 것 처럼 서로 대칭을 이루고 있는 ... ...
밤에도 ‘열일’하는 태양전지 개발되나
과학동아
l
2018.10.02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태양전지용 반도체를 개발해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나노
에너지
’ 8월 17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차세대 반도체 물질로 주목받는 인듐갈륨비소(InGaAs)를 이용해 태양전지용 반도체를 개발하던 중 인듐, 갈륨, 비소를 일렬로 배열했을 때 압력을 가하면 전기를 ... ...
이전
523
524
525
526
527
528
529
530
5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