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태양
손해
손상
햇빛
불리
훼손
상해
d라이브러리
"
해
"(으)로 총 13,047건 검색되었습니다.
[생활] 정체를 감추고 있는, x
수학동아
l
2014년 11호
유명한 말을 남긴 수학자이자 철학자 데카르트. 그는 알 수 없는 수를 기호 x로 표기
해
다음 세대의 수학자가 대수학을 한층 발전시킬 수 있도록 견고한 수학의 언어를 만든 셈이다 ... ...
[재미] 11회 지리산에 있는 벽돌집을 찾아라!
수학동아
l
2014년 11호
사…사실, 한수지는 제 누나예요. 흑흑. 어렸을 때 입양된 저는 누나를 찾기 위
해
일부러 3년 전 한국에 왔어요. 누나가 반장님과 헤어진 뒤에 실종된 걸 안 뒤부터 반장님을 원망했어요. 그래서 반장님에게 복수하려고 곁에 머물면서 사건을 일으켰어요. 흐으윽.하지만 어느 순간부터 반장님이 ... ...
[불규칙적인 움직임] 여러분, 브라운 운동 멈추고 정렬하세요!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날씨가 좋은 가을입니다. 하늘이 높고 맑은 날씨가 계속 되는 덕에 사람이 모이는 행사가 많습니다. 모 호수에는 거대한 오리가 나타나 사람 ... 할 때 브라운 운동을 멈추라고 이야기
해
보세요. 적어도 브라운 운동이 무엇인지 궁금
해
서라도 멈추고 쳐다볼 것입니다. …아니면 할 수 없고요 ... ...
[hot science] IQ떨어지는 인류, 혹시 바보가 되는 중?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몸집 자체도 작아지고 있어서 그저 상대적인 결과일가능성도 있다.정보 처리 능력에 대
해
서도 논란 중이다. 이 교수는 “3만 년 전 이후 문화나 문명의 복잡도를 생각했을 때 집단 전체의 정보처리 양은 늘었다”며 “하지만 작업의 분업화와 계급화로 오히려 개인의 정보처리 양은 줄어 들었을 ... ...
[교과연계수업] 내 몸이 탈수 상태라고? 물 마시기 프로젝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안녕하세요. 디사이언스입니다. 여러분은 하루에 물을 얼마나 마시나요? 하루에 2리터의 물을 마시는 게 좋다는 말을 많이 들었는데, ... ▶ 학생들이 각자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음료수에 어떤 유
해
성분이 들어있는지 확인
해
본다. ▶ 우리가 마시는 다양한 물의 종류의 특징을 설명한다 ... ...
INTERVIEW 2. 톰슨로이터가 지목한 한국인 후보들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한창 잘 나가다가 연구가 벽에 꽉 막힌 상황이었어요. 절벽 위에 서 있다는 느낌이 들었죠. 완전히 새로운 걸
해
야겠다 싶어서 도전한 게 제올라이트로 메조다공성 물 ... 노벨과학상 2014PART 1. 일본 노벨상의 비결PART 2. 물리학상PART 3. 생리의학상INTERVIEW 1. 올
해
노벨상 수상자들EPILOGUE ... ...
PART 2.Y가 사라진 세상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것이다. 그러나 진화적으로 성별이 하나가 되는 것은 문제가 많다. 같은 유전자를 반복
해
서 복제하기 때문에 스스로의 유전자에 갇혀버린다. Y 염색체가 사라졌던 과정과 비슷하다. 인류가 이를 깨달았을 때엔 이미 남성과 여성은 사라지고 헤르마프로디토스만 남은 뒤였다. 지금처럼 성별이 ... ...
무엇이 무엇이 똑같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주근깨가 귀여운 쌍둥이 자매. 그런데 사실을 알고 나면 깜짝 놀라게 될 거예요. 이 둘은 쌍둥이가 아니거든요. 그럼 자매냐고요? 자매도 물론 아니랍니다. 심지어 친척도 ... 수 있어요. 지구 어딘가에 있을 나와 닮은 누군가는 어디에서 무엇을 하고 있을까요? 상상만
해
도 재미있네요 ... ...
엘라티오르베고니아 VS 장미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친구 집에 갔더니 화분에 예쁜 장미꽃이 피어서 “장미꽃이다”하고 달려갔어요. 그런데 친구 어머님이 장미가 아니고 ‘엘라티오르베고니아’라는 거예요. 장미랑 똑같이 생 ... 세기 이후에 많은 품종이 만들어져 18세기 이전의 장미를 고대장미, 이후를 현대장미라고 구분하기도
해
요 ... ...
[포토뉴스] 수학으로
해
양 오염 막는다
수학동아
l
2014년 10호
멀리 떨어진 곳까지도 영향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을 보여 준다”면서, “국제적 이슈인
해
양 오염 문제를 두고 우리 모델이 실질적으로 활용될 수 있었으면 한다”고 말했다 ... ...
이전
525
526
527
528
529
530
531
532
5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