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향
효험
효능
결과
효력
작용
가치
d라이브러리
"
효과
"(으)로 총 6,539건 검색되었습니다.
여드름, 치료와 예방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것이 좋다. 피부표면의 세균수를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 이 경우 약국에서 당장
효과
가 있다고 아무 약이나 사다가 바르는 것보다는 전문의의 진단을 받는 지혜가 필요하다. 여드름의 상태와 종류에 따라 필요한 약제의 성분이 다르기 때문이다 ... ...
(2) 블랙홀·별들의 잔해가 어둠 속에 가득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1cm파를 잡아냄으로써 알아낸다. 지금 학자들이 우리은하 내에서 중성수소 21cm파의 도플러
효과
를 이용해 계산해낸 '암흑수소'의 총량은 눈에 보이는 별들의 질량을 다 합한 양보다 몇배 많다. 실로 엄청난 양의 중성수소가 '암흑물질'의 일원으로 은하계 내에 존재하고 있는 셈이다.중성수소 이외 ... ...
마늘, 암 예방·살균작용에 놀라운
효과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사람의 피부는 수분 보유량이 매우 적은데 이 입욕제에는 수분 보존도를 높이는
효과
가 있다는 것.이밖에 마늘이 가진 살균작용도 놀라울 정도. 이는 마늘의 알리신 성분의 작용인데, 간단한 실험으로도 증명될 수 있다.가령 떡에 곰팡이 포자(胞子)를 바른 뒤 며칠간 보존하는 실험에서 떡만 둔 경우 ... ...
아인슈타인 5대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주어진다는 획기적인 가설에 주어졌다. 빛이 물질에 닿으면 전자가 뛰쳐나온다는 '광전
효과
'는 이전부터 알려져 왔으나 그 현상이 이 가설에 의해 처음으로 설명 가능하게 된 것이다. 이른바 1905년의 3대 과학논문 중의 하나다.수상 당시 스웨덴 과학 아카데미의 보충설명에 따르면 "앞으로 확인되는 ... ...
피부와 태양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구입할 수 있는 각종 약들로 나타났다. 파라아미노벤젠산(PABA)이 태양광선을 막는데
효과
적이라는 것이 입증되었다. 그뒤 특별히 PABA에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을 위해서 다른 일광차단제가 제조되었다.피부암에는 여러가지 종류가 있다. 이중 가장 치명적인 것은 멜라닌세포나 색소 생성세포에 ... ...
그랜드캐년을 방불케하는 장엄한 아페닉 산맥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눈이 부시다. 따라서 전용 문필터(moon filter)를 써서 광도를 줄여 관측하는 것이
효과
적이다.반달을 지나면 달의 적도 아래쪽에 분화구의 여왕 코페르니쿠스 분화구가 아름다운 자태를 뽐내며 그 모습을 빛낸다. 잘 살펴보면 그 주위가 산맥으로 둘러싸여 있는 것을 알 수 있으며 그 경계에는 ... ...
메모리,
효과
적으로 사용하려면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386을 386답게, 486을 486답게 쓰는 방법은 무엇인가. 많은 메모리가 달린 PC를 샀다해도 그 관리법을 모르면 XT에 불과하다. 도스 매뉴얼에서도 가르쳐주지 않는 메모리 활용법을 알아본다.컴퓨터가 많은 사람들의 사랑을 받는 가장 큰 이유는 컴퓨터의 유연성과 사용의 용이성 때문일 것이다. 컴퓨터는 ... ...
기기묘묘한 식물들의 화장술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나있는 유도선을 이용하여 암술이 있는 꽃의 내부로 끌어들인다. 그러나 밤에는 이것도
효과
가 없으므로 저녁에 피는 일부 쥐손이풀과 식물 달맞이꽃 장구채종류는 빛의 파장 차이를 이용한다. 곤충들의 경우 자외선을 볼 수 있는 기능이 있으므로 꽃 바깥쪽보다 안쪽을 진하게하여 곤충을 ... ...
한국조류보호협회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새 소리 못듣는 인간의 삶 상상할 수 없다"지난 3월 한국조류협회는 국내에서 이미 멸종된 것으로 추정한 백두산의 텃새 호사비오리를 강원도 철원 민 ... 회장은 개개인의 자연보호도 좋지만 국내 굴지의 기업들이 자연보호에 앞장선다면 보다 빨리 큰
효과
를 기대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 ...
블랙홀 탐험과 두뇌속 상상여행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점이다. 가까이서 보아도 사물이 매우 작게 보이는 현상이 일어나는데 이를 '걸리버
효과
'라고 부른다. 즉 거인이 아주 조그만 난장이들을 보고 있는 상황과 마찬가지. 이는 단순히 커다란 물체를 조그만 모형으로 만들어 보는 것과는 전혀 다른 느낌을 준다. 평상시 인간의 고정된 시각과 관념을 ... ...
이전
525
526
527
528
529
530
531
532
5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