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건축
구축
공사
건조
건립
설계
가설
d라이브러리
"
건설
"(으)로 총 1,955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한 달 만에 인공신장 만든다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과학자들은 지구가 포화되거나 방사능으로 오염되는 등 재해에 대비해 우주식민지를
건설
할 계획을 갖고 있다. 그 때 우주 환경에서 인간이나 동식물이 살 수 있는지를 미리 알아보는 것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우주관광 올해 처음 떠난다PART 1. 1억 원 우주관광 티켓의 비밀PART 2. 한 ... ...
차세대 레이저 가속기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전압으로 가속했을 때의 에너지)의 고에너지로 전자를 가속하는 데 성공했다. 현재
건설
중인 4세대 방사광가속기의 길이가 약 1km인 것과 비교한다면 얼마나 혁신적인 결과인지 알 수 있다. 이를 계기로 차세대 가속 연구결과가 쏟아져 나왔고, 고출력 레이저를 보유한 국가들은 앞 다퉈 레이저 ... ...
“집은 살기 좋은 작품”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3D 프린터로 찍어내는 집Q 건축학과를 졸업하면 어떤 진로를 가게 되나요?A 설계사무소,
건설
회사, 개발자문회사 등 건축과 관련된 모든 영역에서 리더로 활동할 수 있습니다. 영화 ‘건축학개론’은 다들 보셨죠? 실제 그 영화의 감독이 건축과 출신입니다. 공간에 대한 이해는 예술분야에서 가장 ... ...
[Knowledge] 녹색식물도 키우는 ‘ 화성 호텔’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최초의 화성기지는 착륙선을 중심으로 이미 도착한 여러 모듈을 결합하는 방식으로
건설
됐다. 각 모듈을 실은 착륙선은 각각 50t이 넘었기에, 착륙 과정에서 대기 마찰을 최소화하면서 안전하게 착륙하는 기술이 무엇보다 중요했다. 우리는 대기권에 진입한 후 순간적으로 팽창하는 풍선 형태의 ... ...
PART3 - 한반도 재난 해결할 토종 군집로봇 9마리해파리퇴치 로봇내년 마산만 누빈다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해파리퇴치로봇과 무인비행기가 하늘 과 바다에서 입체작전을 펼칠 겁니다.”명현 KAIST
건설
및환경공학과 교수의 말에서 자신 감이 느껴졌다. 지난 2010년 처음 해파리퇴치 군집로봇 인 ‘제로스’를 개발했을 때 “3년 뒤에는 바다에서 시험 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던 구두약속을 지켰기 때문인 ... ...
이제는 이소연을 보내줄 때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여전히 90분마다 한 번 지구를 돌고 있으며 중국은 독자적으로 우주정거장을
건설
할 계획이다. 한국의 유인우주 연구는 비교하기조차 부끄러운 수준이다. 지금은 한국 최초 우주인인 그녀를 비난할 시간이 아니라 그녀의 퇴장이 우리에게 던지는 의미를 다시 한 번 되새겨 볼 때다 ... ...
PART1 - 영화 속 거미군단이 온다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연 구도 활발하다. 해파리퇴치 군집로봇을 개발해 상용화 를 앞두고 있는 명현 KAIST
건설
및환경공학과 교수는 “실제로 해상에서 환경을 감시하거나 재난현장에서 조 난자를 탐색하려면 드론 역시 군집비행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공현철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항공우주미래기 술팀장도 ... ...
햄버거 한 입에 보노보는 눈물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이제는 아프리카까지 그 경향이 번지고 있었다. 문제는 아프리카에서 야자유 농장
건설
에 알맞은 지역 중 42%가 오랑우탄이나 침팬지 등 유인원의 서식지와 겹친다는 점이다. 이미 서식지 중 60%는 개발이 된 상태다. 특히 보노보의 타격이 심했다. 서식지 중 80%가 야자유 농장이 가능한 지역과 겹치기 ... ...
도시의 밑그림을 그리는 사람들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해결하거나 필요한 시설을 만드는 곳입니다. 세상의 밑그림을 그리고 싶은 학생들이
건설
환경공학부에 와서 잘 배우고, 지구를 살리는 지도자로 성장하길 바랍니다 ... ...
힘이 센 강철 로봇슈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7호
한 팔로 50kg, 두 팔로 100kg이나 되는 물건도 들 수 있답니다. 이 로봇을 이용하면 공장이나
건설
현장에서 무거운 재료를 직접 들어 옮길 수 있지요. 또 지진이나 쓰나미 같은 자연재해가 발생했을 때 무너진 집이나 나무, 바위 등에 깔린 사람들을 구할 수 있을 전망이에요. 두 팔로 번쩍 무거운 것을 ... ...
이전
48
49
50
51
52
53
54
55
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