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집필
저작
저술
작문
d라이브러리
"
쓰기
"(으)로 총 1,151건 검색되었습니다.
펜보다 키보드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있는 것도 문제다.김국 서경대 산업공학과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두벌식 자판을
쓰기
편하게 고치는 방법을 제안했다.기존의 두벌식 자판을 최대한 그대로 사용하되 시프트 키 대신 키 하나를 연속해서 2번 누르는 방법을 사용하는 안이다.연구팀은 먼저 백과사전에 있는 15만자에 사용된 초성과 ... ...
외국어 뭐하러 배우지?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바로 알아볼 수 있다. 하지만 사람 번역가는 오역을 하더라도 최종 문장은 말이 되게끔
쓰기
때문에 원문과 대조하지 않고서는 오역인지 모르고 지나가기 쉽다. 또한 자동번역은 번역자의 개성을 타지 않아 일관적인 결과물을 낸다.그러면 자동번역은 어디에 활용할 수 있을까. 자동번역이 한계를 ... ...
Part 3. 물 먹는 변기는 다이어트가 시급?!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물 낭비와 수질오염의 주범으로 눈총을 받을 수밖에 없다.대체 한 번에 얼마나 많은 물을
쓰기
에 문제가 되는 걸까? 가정용 수세식 변기의 경우 물통이 내장돼있기 때문에 변기의 물통 뚜껑을 열고 들어 있는 물의 양을 측정하면 변기의 용량을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12L~20L의 물이 들어 있다. 즉 ... ...
무한도전팀도 몰랐던 조정의 수학
수학동아
l
2011년 09호
방향성이 0이 되는 자리는 그림5와 같이 총 4가지다. ⑤는 1950년대에 독일 선수들이
쓰기
시작하면서 유명해져 ‘독일인’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2008년 베이징 올림픽 남자 에이트 경기에서 캐나다 조정팀은 이 방법을 이용해 우승했다. ⑥은 ‘이탈리아인’ 방법이다.조정과 카누, 누가 빠를까 ... ...
공책, 수학으로 가득 찬 '빈 책'
수학동아
l
2011년 09호
제본한 공책이 좋다. 이 공책은 종이가 한 장씩 따로 묶여 있다. 공책을 반으로 접어
쓰기
에도 편해 책상 위의 공간을 적게 차지한다.스프링 공책은 종이의 왼쪽이나 위쪽에 작은 구멍을 뚫고 스프링을 끼워 만든다. 스프링 지름의 크기는 1cm에서 수cm로 종이의 매수에 따라 다르다. 묶을 종이가 ... ...
[Culture Math] 분수 셈으로 만든 나만의 단소
수학동아
l
2011년 09호
대나무의 뿌리를 잘라내고 속을 제거한다.국립국악원 악기연구소의 연구원들은 수업에
쓰기
위해 직접 대나무를 자르고 속을 제거해 왔다. 방학을 맞아 세상에서 단 하나뿐인 나만의 단소를 만든 학생들의 표정이 밝았다. 국립국악원 유은선 국악연구실장은 “학생들이 직접 만든 단소로 우리 ... ...
직장을 넘보는 암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일이나 일상생활과 맞물려 있기 때문이다. 특히 공장이나 작업장은 유독 물질을 많이
쓰기
도 하고, 그런 물질을 직접 만들 때도 있다. 평소 발암물질이라고 생각하지 않던 의외의 요인이 암을 일으키는 경우도 있다.가정에 도사린 숨은 위험비스페놀 A(BPA)와 포름알데히드는 가정과 직장에서 만날 수 ... ...
주삿바늘 없는 독감 백신 나왔다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다. 생백신은 독성은 없지만 살아 있는 병원체를 약물로
쓰기
때문에 이 약물이 기관지에 묻으면 48시간 안에 바이러스에 대항하는 신호물질인 사이토카인이 분비된다. 사이토카인은 하나의 항원에만 대항하는 항체와 달리 면역체계 전체를 활성화시킨다. 따라서 다양한 ... ...
KTX와 중국 허셰, 누가 더 좋을까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중국 정부는 운행속도를 시속 350km에서 300km로 낮췄다. 전문가는 ‘최고속’이란 말을
쓰기
위해 억지로 성능을 높인 것 아니냐는 의문을 제기한다. 최고 속도를 억지로 높이는 일이 가능할까.KTX가 시속 300km 인 이유고속철도와 일반철도의 차이점을 명확하게 구분하라면 전문가들도 고개를 ... ...
수학적 원리 알면 새 주소가 보인다
수학동아
l
2011년 08호
영국은 1666년 런던에서 대화재가 일어난 뒤, 도시를 복구하는 과정에서 도로명주소를
쓰기
시작했다. 도로명주소의 편리성이 알려지면서 현재 대부분의 나라가 도로명주소를 도입했다. 북한 역시 1960년대부터 도로명주소를 쓰고 있다. tip 새 주소 읽는 법도로명은 그대로 읽고 ... ...
이전
48
49
50
51
52
53
54
55
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