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월"(으)로 총 17,670건 검색되었습니다.
- [Reportage] 영재학교판 두뇌 서바이벌 게임, 제2회 과학예술영재학교 수학교류전수학동아 l2023년 11호
- 9월 23일 토요일, 영재학교판 데블스 플랜인 ‘제2회 과학예술영재학교 수학교류전ʼ이 세종과학예술영재학교(세과영)에서 열렸어요. 인천과학예술영재학교(인과영)와 세과영은 수학을 매개로 다양한 활동을 함께 즐기기 위해 매년 수학교류전을 진행하고 있어요. 수학교류전은 수학동아리 ... ...
- [가상 인터뷰] 십자로 이어진 통나무, 인류 최초의 목조 건축물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역사상 가장 오래된 목조 구조물이 발견됐다. 로런스 바햄 영국 리버풀대 교수팀이 9월 20일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했다. doi: 10.1038/s41586-023-06557-9 연구 내용을 가상 인터뷰로 정리했다. Q 안녕하세요, 자기소개 부탁드려요. 저는 호미닌(hominin)이에요. 사람족이라고도 부르죠. 호미닌은 ... ...
- [기획] 노벨상의 패러디를 넘어서 이그노벨상과학동아 l2023년 11호
- 하버드대에서 발간하는 과학잡지 ‘있을 것 같지 않은 연구 회보’는 현지시간 9월 14일, 2023년 이그노벨상 수상자를 발표했다. 올해의 발표는 예년보다 좀 더 특별했다. 바로 6년 만의 한국인 이그노벨상 수상자가 나왔기 때문이다. 노벨상의 패러디로, 웃음 거리로 소비되곤 하는 이그노벨상. ... ...
- 좌절된 아이디어는 어떻게 (이그)노벨상을 받았나과학동아 l2023년 11호
- 화장실에 갈 때는 핸드폰을 들고 가니까요.” 박 박사의 설명이다. 좌충우돌 끝에 2020년 4월에 출판된 스마트 변기 연구는 학계는 물론 대중의 뜨거운 관심을 받았다. 기사 작성일인 10월 4일 현재, 논문 피인용수는 114번에 달한다. doi: 10.1038/s41551-020-0562-5 처음으로 이그노벨상 위원회에 추천을 받은 ...
- [최신 이슈] 40년 만에 달라진 서울 지하철 노선도, 그 뒤에 인지과학이 있다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눈을 질끈 감았다는 후문이다.권은선 서울시 공공디자인진흥팀장도 그 중 하나였다. 10월 5일 오후, 서울시청에서 만난 그는 “(노선도 디자인 개선은) 입사 시절부터 마음에 품은 목표였다”며 운을 뗐다. “이전 노선도는 정보량이 많은 데다가, 각 노선의 시작점과 끝점이 좌우에 일렬로 정렬돼 ... ...
- [이참결 독자가 쏘아올린 기사] 우주 팽창의 중심은 왜 존재하지 않을까과학동아 l2023년 11호
- ㅠㅠ) 질문까지 과학과 관련이 있는 이야기는 모두 이곳에 모입니다.기자가 수 개월간 과학동아 공식 카페에 ‘지박령’처럼 상주하며 느낀 점은 과학동아 독자들은 재밌는 특징이 있다는 것이었습니다. 여러분은 소소하고, 엉뚱한 ‘뜻밖의’ 질문에 대해 아주 진지하게 고민하길 좋아하는 ... ...
- [2039:화성 일 년 살기] 화성에서도 한국인은 김치를 담근다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챗(chat)GPT가 출시되며 전 세계에 AI 열풍이 불었던 기억이 난다. 그 후로 벌써 17년이란 세월이 지났다. 기능이 보잘것없었던 AI는 발달을 거듭해 이제는 인간을 돕는 수준을 넘어 인간의 중요한 조언자로 자리매김했다. 정조 과학기지에도 그런 조언자가 한 명(?) 있었다. 그의 이름은 ‘장금’. ... ...
- [DGISTX융복합 파트너] 경쟁상대가 아닌 협업의 도구 AI-인간 상호작용을 연구하다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새로운 기술이 매일 등장하는 게 가장 큰 어려움”이라고 말했다. “한동안은 6개월마다 새로운 것이 나온다고 할 정도로 새로운 웹 개발 프레임워크 등장 속도가 매우 빨랐어요. 제가 박사 학위 과정에서 배운 개발 도구는 이제 아무도 안 쓸 정도죠.” 아이러니한 건, 이런 어려운 상황이 재미를 ... ...
- 이유 2. 킬러문항의 수학 교육적 가치수학동아 l2023년 11호
- 수학 교육적으로 좋은 문제를 출제해야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2024학년도 수능 6월 모평 공통 22번 문항은 교육부가 ‘문제 해결 과정이 복잡한 문항’이라고 밝혔지만, 한국수학교육학회 회장인 고호경 아주대학교 교수는 오히려 ‘훌륭한 문제’라고 평했어요. 그는 “3차 함수의 기울기, ... ...
- [과학뉴스] 시조새만 조류의 조상일까? 롱다리 조류 공룡, 푸젠베나토르 발견과학동아 l2023년 11호
- 9월 6일, 베이징 중국과학원 척추동물고생물학 및 고인류학연구소와 푸젠 지질조사연구소 연구팀은 중국 푸젠성 정허현에서 1억 5000만 년 전 쥐라기 지층에서 발견된 신종 깃털 공룡, 푸젠베나토르 프로디지오수스(Fujianvenator prodigiosus)가 조류목에 속한다는 연구를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 ...
이전4849505152535455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