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세계"(으)로 총 2,458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인류세의 시작, 콜럼버스일까 핵폭탄일까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시기다. 당시 사람들은 유럽에서 아메리카뿐만 아니라 아프리카, 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전세계를 누비기 시작했다. 하지만 사람의 이동은 시작에 불과했다. 이를 통해 수많은 동식물이 직간접적으로 사람과 함께 대륙횡단을 시작한 것이다. 3억 년 전에 초대륙(판게아)이 분리되기 시작한 이래로 ... ...
- [Tech & Fun] 내 몸을 이루는 미생물에 관심을 가져보세요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비슷하다.2000년대 초반 인간 게놈 분석이 마무리 단계에 들어섰을 때 과학계는 물론, 전세계인이 축배를 들었다. 그 여파로 지금도 DNA 연구가 유행이다. 모든 질병은 물론, 성격과 행동까지도 DNA의 영향으로 분석하려는 연구가 치열하다. 그러나 저자는 “인간 몸의 90%를 차지하는 미생물을 고려해야 ... ...
- Part2. ‘알파크래프트’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주최하는 학회의 특별행사로 열리기 시작해 현재는 학회의 어엿한 주요 분야가 됐다. 전세계에서 15~20개 팀이 해마다 참가를 하고 있다. 세종대 팀도 2011년부터 ‘젤나가(Xelnaga, 스타크래프트 세계에서 모든 생명체를 만든 신적인 존재)’라는 이름으로 참가 중이다. 2014년부터는 IEEE ... ...
- Part 2. 우주는 거대한 플라스마 실험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이용해 오로라를 관측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이처럼 우주 플라스마를 이해하기 위해 전세계가 경쟁적으로 뛰어 드는 이유는 우주 공간이 거대한 플라스마 실험실을 만들어 주기 때문이다. 지상에서는 만들기 어려운 플라스마 현상을 직접 측정함으로써 별의 탄생과 소멸을 이해하고, 산업에 ... ...
- [Knowledge] 협력과 배신, 그 아슬아슬한 줄다리기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제일 짧은 사람(정확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선발하는 토너먼트 형식으로 치러졌죠. 전세계의 경제학자, 수학자, 컴퓨터공학자들이 몰려들어 다양한 전략을 제시했지만, 우승한 알고리즘은 어이없게도 가장 단순한 팃포탯(Tit for tat) 전략이었습니다. 우리나라 말로 ‘눈에는 눈, 이에는 이’라는 ... ...
- [News & Issue] 아름답고 섬뜩한, 체르노빌의 곤충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0년 전인 1986년 4월 26일 발생한 체르노빌 원전사고는 전세계를 충격에 빠뜨렸다. 7000명이 넘는 사람이 죽고 반경 30km가 죽음의 땅으로 변했다. 하지만 충격은 오래가지 않았다. 우크라이나 정부는 그 이후로도 십수 년 동안 체르노빌에 남은 원전을 그대로 운영했다. 5년 전부터는 원전을 관광지로 ... ...
- [News & Issue] 2020년, 암흑물질 잡는 특별한 망원경이 온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비영리 회사를 통해 운영되고 있다. 미국 스탠퍼드대, 프랑스 IN2P3 등 전세계 22개 대학과 연구소에서 100명이 넘는 과학자가 참여하고 있다. 한국도 올해 안에 MOU를 맺고 협력할 계획이다. 신 선임연구원은 “2020년 완공하면 LSST를 통해 찾아낸 천체를 2021년 가동 예정인 거대마젤란망원경(GMT)으로 후속 ... ...
- [Knowledge] 사람은 이름을 남기고, 명견은 명견을 남긴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경호원이 붙어 화제가 됐다. 그만큼 뛰어난 능력을 가진 특수목적견이 드물다는 얘기다. 전세계적으로 뛰어난 특수목적견의 수요는 꾸준히 늘고 있다. 시각장애인 안내견이나 암 세포 냄새를 맡는 암 탐지견 등 민간 수요까지 고려하면 그 수는 더 늘어난다.서울대 수의과대에서는 지금까지 총 2 ... ...
- 붉은 원숭이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몰랐던 원숭이 이야기원숭이는 영장류에 속하는 동물로, 전세계에 약 430종이 살고 있어. 다른 동물에 비해 생김새가 인간과 가까워 ‘사람과 가장 비슷한 동물’로 알려져 있지. 그런데 사람과 전혀 닮지 않은 원숭이도 많다지 뭐야? 그렇다면 어떻게 수많은 포유류 중에서 원숭이를 구별할 수 있지? ... ...
- Part 3. 55년의 도전 새 시대를 열었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됐다. 1년 뒤 웨버의 결과를 검증하기 위한 중력파 실험실이 10개 이상 꾸려졌다. 전세계의 연구진은 중력파 천문학을 시작할 수 있다는 흥분과 기대감으로 새로운 투자를 아끼지 않았다. 각자 웨버의 방식대로 상온 막대(바) 검출기를 제작해서 신호 검출에 들어갔다. 연구진들은 웨버가 주장하는, ... ...
이전4849505152535455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