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립
구성
복합
혼합
동화
합성염료
염료
d라이브러리
"
합성
"(으)로 총 2,349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화학반응 중간에 보는 현미경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관찰하는 데 성공했다. 안젤 루비오 막스플랑크 물질구조역학연구소장은 “화학
합성
분야의 거대한 진전”이라면서도 “은의 표면에서 중간생성물이 안정화되는 원리에 대해서는 추가연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연구결과는 ‘네이처 케미스트리’ 5월 2일자에 실렸다 ... ...
[Knowledge] 중이온가속기, 펨토 사이언스의 문을 연다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찾는 연구는 시간이 오래 걸린다. 그래서 처음에는 우주에 존재하는 원소의 기원과
합성
과정에 핵심이 되는 핵반응을 확인하는 연구를 할 것이다. 신성(nova)이 폭발하면서 가속된 입자들이 충돌해 무거운 원소가 탄생하는 과정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Q : 가속기로 다룰 펨토 과학이 무엇인가.A : ... ...
[숲이야기] 두 생물이 합쳐 강해진 지의류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5호
때문에 대기의 오염에 굉장히 민감하게 반응하지요. 특히 조류는 대기가 더러워지면 광
합성
을 하지 못해 결국 죽고 말아요. 그럼 영양분을 더 얻지 못한 곰팡이도 함께 죽어 버린답니다.과학자들은 지의류의 이런 특성을 이용해 대기오염을 연구하고 있어요. 지의류의 수가 급격히 줄어들거나, 다른 ... ...
Intro. 미지의 생명을 설계하다, 디자인 생물학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생물을 디자인한다.’ 이 발칙한 상상은 DNA가 유전물질임이 밝혀지던 1940년대부터 시작됐다. 다수의 사람들은 이를 인간의 지나친 욕심으로 바라봤고, 프랑켄슈타인, 가 ... 디자인대회 ‘아이젬(iGEM)’Part 3. 아슬아슬하고 위태위태한 논란들Part 4. 숨을 불어 넣어 다시 태어난
합성
생물 ... ...
Part 2. 기자가 도전해 본 디지털 생물학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크레이그 벤터 박사의 논문(1파트 참조)이 발표된 지 일주일 뒤인 2010년 4월 1일, 사이언스에는 또 한편의
합성
생물학 논문1)이 실렸다. 궁금한 마음에 논문을 찾아본 기자는 눈을 의심 ... ‘아이젬(iGEM)’Part 3. 아슬아슬하고 위태위태한 논란들Part 4. 숨을 불어 넣어 다시 태어난
합성
생물 ... ...
Part 3. 아슬아슬하고 위태위태한 논란들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합성
생물학이 주목 받는 이유는 간단하다. 우리가 원하는 그 어떤 생명체도 창조할 수 있는 시대를 열어줄 열쇠기 때문이다.
합성
생물학은 이론적으로 인간이 필요로 하는 모든 분야 ... ‘아이젬(iGEM)’Part 3. 아슬아슬하고 위태위태한 논란들Part 4. 숨을 불어 넣어 다시 태어난
합성
생물 ... ...
Part 1. 최소유전자로 디자인 생물학 문 열다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2010년 5월 ‘사이언스’에는 최초의 인공생명체가 태어났다는 충격적인 논문이 발표됐다. 미국의
합성
생물학자인 크레이그 벤터 연구팀의 성과였다. 연구진은 마이코플라스마 마이 ... ‘아이젬(iGEM)’Part 3. 아슬아슬하고 위태위태한 논란들Part 4. 숨을 불어 넣어 다시 태어난
합성
생물 ... ...
Part 4. 숨을 불어 넣어 다시 태어난
합성
생물들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논란도 있고 우려도 많지만,
합성
생물학의 시장 규모는 점점 거대해지고 있다. 미국 시장조사업체 얼라이드마켓 리서치는 2012년 30억 달러의 가치가 있던
합성
생물학 시장이 2020년에 ... ‘아이젬(iGEM)’Part 3. 아슬아슬하고 위태위태한 논란들Part 4. 숨을 불어 넣어 다시 태어난
합성
생물 ... ...
[Tech & Fun] Science Fiction_K박사의 섬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안에서는 결코 조달될 수 없게 되어버린 거지요. (1킬로칼로리의 섭취 가능한 식량을
합성
하기 위해서는 도대체 얼마만큼의 에너지가 필요할까요?)이 숲이 그 해답이에요. K박사와 그 추종자들… 기자님의 누님도 모두 이렇게 나무가 되어버린 거예요. 겉보기에는 나무지만 분석해보면 아마 경화된 ... ...
[과학뉴스] 호암재단, 6월에 노벨상 수상자 초청 강연회 열어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단백질을 연구했다.복잡한 구조의 단백질이 어떻게 조립되는지 밝히는 단백질
합성
연구는 세포생물학계에서 가장 관심이 높은 분야다. 그러나 이런 단백질이 어떻게 분해되는지에 대해서는 연구가 미흡하다. 치에하노베르 박사는 단백질 분해의 첫 단추인 유비퀴틴을 발견해 연구의 문을 열었다. ... ...
이전
48
49
50
51
52
53
54
55
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