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화
흡수작용
작용
통합
동화
흡수 장치
흡입
d라이브러리
"
흡수
"(으)로 총 2,779건 검색되었습니다.
[Origin] 미래를 비추는 빛, LED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굴절률 차이도 문제입니다. 많은 양의 빛이 LED 소자 외부로 나가지 못하고 소자 내에서
흡수
돼 손실되기 때문입니다. 필자가 속한 윤의준 서울대 재료공학부 교수팀은 수십 나노미터 두께의 얇은 알루미나 박막을 활용해 속이 비어 있는 구조물을 삽입한 사파이어 기판을 개발했습니다. 이를 통해 ... ...
[이투스교육] 경이로운 생명 시스템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모든 화학반응을 ‘물질대사’라고 한다. 음식물에서 얻은 크기가 큰 영양소를 체내에서
흡수
할 수 있도록 크기가 작은 영양소로 분해하는 과정인 ‘이화작용’, 크기가 작은 영양소를 생명활동에 필요한 물질로 합성하는 과정인 ‘동화작용’이 모두 물질대사에 해당한다. 포도당을 이용해 ... ...
Part 3. [스마트 바퀴2] 스스로 치료하고, 전기 만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7호
실제로 자동차 250만 대에 사용될 경우 연간 3000t의 산소를 생산하고 4000t의 이산화탄소를
흡수
하는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어요. 구멍이 나면 스스로 봉합하는 바퀴!스스로 구멍을 메울 수 있는 바퀴가 있어요. 바퀴의 고무 안쪽에 점성이 강한 젤리 형태의 특수 봉합제 ‘실란트’가 ... ...
[Issue] ‘제주 보육교사 살인 사건’의 진실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오래 유지된 것이다. 또 다른 이유로는 배수로의 콘크리트가 있다. 콘크리트는 태양광을
흡수
해 복사열을 일정 시간 방출한다. 이때는 배수로 온도가 대기보다 더 높아서 직장 온도의 하강도 상대적으로 느려진 것이다. 배수로 내부 온도가 높아질 때, 무스탕 안피부 온도는 1~3시간, 직장 온도는 4~ ... ...
[인터뷰] “꿈을 향한 3년 고교생활 일관되게 드러내야”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결과를 만들어야 한다. 서 씨는 어떤 식물이 공기 중 휘발성유기화합물(VOCs)을 가장 잘
흡수
하는지 실험을 통해 분석했다. 이를 위해 농촌진흥청 산하 연구소를 방문해 1박 2일간 직접 실험을 진행했다. 서 씨는 “실험 중 왜 오차가 발생하는지 깊이 고민했다”며 “이런 고민들을 자기소개서에 ... ...
내가 제일 잘 나가, ‘과일의 제왕’ 딸기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당분을 확인한다. 과당은 700~2500nm(나노미터·1nm는 10억 분의 1m) 사이의 근적외선을
흡수
하는 성질이 있다. 그래서 과일에 빛을 쪼인 뒤 반사돼 나온 빛에 포함된 근적외선이 줄어든 만큼 과일 안에 당이 들어있다는 뜻이다. 딸기의 경우 다른 과일에 비해 육질이 약한 데다 손이 닿으면 쉽게 물러져 ... ...
Part 2. 우주 기원부터 암 치료까지 라온이 이끌 연구 4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특수약물을 섭취한 뒤 진행해야 하는 양전자단층촬영(PET)과 달리 체내에는 에너지만
흡수
됐다 사라지기 때문에 부작용이 적다”고 설명했다. 라온으로 생성한 다양한 희귀동위원소 빔의 분자생물학적 영향이 규명되면, 향후 이들 빔을 한 데 모아 치료에 활용하는 ‘콤비네이션 세러피(Combination ... ...
[Origin] 이산화탄소를 연료로, 인공광합성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개발해 2006년 국제학술지 ‘네이처 머티리얼스’에 발표했습니다. 이 시스템은 빛
흡수
과정이 두 번 연속 일어나 효율이 높습니다. 반도체 물질 하나만 사용했을 때보다 광합성 효율이 약 2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doi:10.1038/nmat1734 필자가 속한 남기태 서울대 재료공학부 교수팀은 201 ... ...
[시사기획 Part 1] “진원이 시추공 깊이와 거의 같아”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다른 곳으로 흘러가지 못하기 때문에 지하에 물이 이동하거나 머무르면서 주위의 지열을
흡수
하는 지하공간을 인공적으로 만들어 줘야 한다. 이렇게 만든 지하공간을 ‘인공지열저류층(EGS·Enhanced Geothermal System)’이라 부른다. 인공지열저류층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지하의 암석을 깨트리기 위해 ... ...
[이투스교육] 살아 움직이는 지구 시스템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석회암을 만든다(지권). 대기중(기권)에 있던 이산화탄소는 광합성에 의해 생물체에
흡수
돼 탄소화합물을 만든다(생물권). 식물(생물권)이 죽은 사체가 퇴적되면 화학에너지로 사용할 수 있는 화석연료가 된다(지권). 지권의 변화지구에서 지권이 가장 활발하게 변하는 곳은 지진이 활발하게 ... ...
이전
48
49
50
51
52
53
54
55
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