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중풍
마취
몽혼
몽
무감각
혼수
저림
뉴스
"
마비
"(으)로 총 752건 검색되었습니다.
동맥경화 발생과정, 혈관 구조 재현한 '오간온어칩'으로 밝혀
동아사이언스
l
2018.01.03
질병 치료제를 연구하는 연구자들은 새로운 약물을 시험하기 위해 실험 동물이나 실험실에서 배양한 세포를 써야 했다. 최근 신체 장기의 기능이나 구조를 ... 인해 비정상적인 혈관 벽이 형성되는 과정을 추적하면 갑작스러운 심장
마비
발생을 막을 확률을 높일 수 있다”고 말했다 ... ...
[지뇽뇽 사회심리] 숙련 VS 성과
2017.12.16
않은 의사가 어떤 차이점을 보이는지를 살펴보았다. 의사들을 대상으로 가상의 심장
마비
환자를 치료하는 시뮬레이션을 하도록 했다. 환자의 정보를 주고 의사들로 하여금 여러 가지 약물 중 환자의 치료에 도움이 될만한 적절한 약물을 고르도록 했다. 약물을 선택하고 나면 선택의 결과로 인해 ... ...
[2017 다산 컨퍼런스] 뜻밖의 죽음, 위상수학으로 막는다
수학동아
l
2017.12.02
지었다는 목격자의 증언이나 블랙박스 영상을 바탕으로 사고의 원인이 급작스러운 심장
마비
였을 것이라고 추측하는 사람이 많았다. 실제로 심장질환은 세계적으로 주요 사망 원인으로 손꼽히고 있다. 매년 1700만 명 이상이 심혈관계 질환으로 사망한다. 정재훈 아주대 데이터사이언스학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구충제로 항암 효과도 얻는다?
2017.11.21
막에 있는 염소이온 통로단백질에 달라붙어 통로를 열어 신경신호전달을 차단해 근육을
마비
시켜 작용한다. 그런데 KPNB1 단백질에도 달라붙어 그 작용을 방해한 것이다. 다만 이버멕틴 단독으로는 항암 효과가 충분하지 않았고 택솔 같은 기존 항암제와 함께 쓸 때 시너지 효과가 큰 것으로 ... ...
[19금! 사이언스] 성관계 도중 심장
마비
, 남성이 압도적으로 많아
동아사이언스
l
2017.11.15
서밋 추 케다르-시나이 심장연구소 수석연구원팀은 “상황에 관계없이 갑작스런 심장
마비
상황에서 누구나 심폐 소생술을 시행할 수 있도록 대중교육을 강화해야 한다”고 연구 의의를 밝혔습니다. 그리고 이쯤에서 적절하게 심폐 소생술을 배울 수 있는 동영상을 하단에 링크합니다. ... ...
[카드뉴스] 살충제 잘못 쓰면 사람도 쓰러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1.02
대부분입니다. 벌레를 없앤다는 뜻의 이름을 가진 제충국(除蟲菊)에서는 곤충을
마비
시키는 피레트린(pyrethrin) 성분이 나옵니다. 이 성분을 인공적으로 합성한 것이 피레스로이드계 살충제입니다. 사람을 비롯한 포유류는 피레스로이드계 살충제 성분을 분해 할 수 있는 효소가 있습니다. 따라서 ... ...
[사이언스 지식IN] 핵폭탄 떨어졌을 때 최소 14일치 식량 챙겨야 하는 이유는?
동아사이언스
l
2017.10.25
우산 등을 구한 뒤 안전한 장소로 대피해야 해요. 핵공격으로 인한 전자장비 통신
마비
가 발생할 확률이 크기 때문에 공격 전과 마찬가지로 미리 가까운 대피소를 확인해둬야 할 것입니다 ... ...
북한의 EMP 공격 막을 수 있는 차폐소재, 어디까지 왔나
동아사이언스
l
2017.10.20
회로가 타버려 쓸 수 없게 되는 것과 비슷한 원리다. 통신시설이 파괴되고 금융망이
마비
되는 혼란이 올 수도 있다. 과학자들은 전자파를 흩뜨려 EMP 공격을 무력화하는 방안을 연구하고 있다. 방호 방법은 크게 두 가지다. 전자파를 반사하는 재료로 회로 등을 코팅해 전자기기 자체를 보호하는 ... ...
경직된 국방 R&D, 미래 원천기술 확보에 주력해야… 출연연·대학 등 민간 협력이 관건
동아사이언스
l
2017.10.16
이전되지 않기 때문에 원천기술 확보가 매우 중요하다. 게다가 대부분 기술은 신체
마비
환자의 재활 치료나 빅데이터 기반 지능형 정보분석 서비스, 재난·재해 대응 등 민간에서도 활용 가치가 높다. 국방 연구개발(R&D)이 군사력 강화뿐만 아니라 과학기술의 진보까지 이끌어내는 셈이다. 최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017 노벨상 발표를 지켜보며 떠오른 두 명의 로널드
2017.10.10
이견이 없을 것이다. 2015년 2월 14일 코놉카가 자택에서 숨진 채 발견된 뒤(사인은 심장
마비
로 추정된다) 로스배시 교수는 학술지 ‘셀’ 4월 9일자에 그를 기리는 부고를 썼다. 벤저야 한 세대 위 사람이지만 코놉카는 세 살 연하인 동년배로 1980년대 잠깐 공동연구를 하기도 했다. 부고를 읽어보니 ... ...
이전
48
49
50
51
52
53
54
55
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