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체적
크기
용적
입방적
사이즈
양
수량
뉴스
"
부피
"(으)로 총 686건 검색되었습니다.
여성 필즈상 수상자 ‘마리암 미르자카니’ 미국 스탠퍼드대 교수 별세
동아사이언스
l
2017.07.16
연구 분야는 곡선과 곡선이 만드는 공간이다. 특히 곡선이 만드는 공간인 모듈라 공간의
부피
를 구하는 방법을 알아냈다. 마크 테시어-라비네 스탠퍼드대 대변인은 “미르자카니 교수는 지나치게 일찍 세상을 떴지만 이미 수많은 여성 수학자와 과학자들에게 영향을 미쳤다”며 “학자이면서도 ... ...
환상적인 3D 아트 작품들 ‘인기’
팝뉴스
l
2017.07.04
제공 연필로 그린 평면 그림이다. 그런데 마치
부피
를 가진 물체나 생명체가 눈앞에 있는 것처럼 보인다. 이 신기한 3D 작품들은 최근 해외 언론과 네티즌들의 뜨거운 주목을 받았다. 아티스트는 니콜라 쿨리이크. 31살의 세르비아인으로 독학으로 그림을 배웠다고 한다. 최근 그는 3D 작품 그리기에 ... ...
1m의 새로운 정의는?...국제단위계, 발전된 과학기술로 새롭게 정의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6.30
문제인데, 현실에 존재하는 물질인 이상 주변과 반응해 변하기 마련이다. 온도에 따라
부피
가 변하기도 하고, 주변 물질과 반응해 새로운 화합물도 만들어진다. 단위를 제정하는 기준이 되는 도구가 변한다면 기준으로써 이용할 수 없다. 매우 간단하게는 탐관오리가 ‘척’을 악용했던 것처럼 ... ...
언어능력 결정짓는 유전적 요인, 뇌신경세포 밖에도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6.28
결과, 아쿠아포린4 유전자가 많이 발현된 사람은 학습에 따라 왼쪽 하후측 측두피질의
부피
가 약 6% 커졌다. 왼쪽 하후측 측두피질은 단어 철자를 암기하고 복잡한 단어의 자소를 구분하는 능력 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부위다. 또 아쿠아포린4 유전자는 사람마다 C변이, T변이로 일부 ... ...
행성이 증발한다...뜨거운 중심별 때문에
동아사이언스
l
2017.06.25
WASP-33b는 켈트-9b 다음으로 뜨거운 외계행성으로, 표면온도가 약 3300K다. 켈트-9b는
부피
가 목성의 약 3배지만, 가스의 밀도는 절반 수준인 것으로 확인됐다. 중심별과 매우 가까워 중심별 주변을 한 바퀴 공전하는 데 1.48일 걸린다. 중심별로부터 자외선을 많이 받아 밝게 빛나고, 혜성처럼 꼬리도 ... ...
박혁거세가 태어난 알은 완벽한 원형이었을지도 모른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6.25
갖춰가며 수반된 진화적 현상이라고 설명했다. 알의 최대 폭은 증가시키지 않으며
부피
는 키워 큰 날개를 담기 위해서란 의미다. 요셉 토바이스 임페리얼컬리지런던대(ICL) 교수는 “알의 크기와 모양은 무작위하게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각 종의 능률적 비행을 위한 최적의 설계에 따른 ... ...
계란이 타원형인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17.06.23
굴러간다. 원추형 알은 굴러가다 제자리로 돌아올 수도 있는 형태다. 둥지 크기와 알의
부피
균형을 맞추는 과정에서 타원형 알로 진화했다는 가설도 있다. 둥지 크기에 비해 알 개수가 적으면 알이 둥지 안에 흩어져 부딪혀 깨질 수 있다. 반면 알 개수가 많으면 부모가 새끼들을 다 돌보지 못할 수도 ... ...
고산병 치료제로 암세포 찾아가는 근적외선 광역학치료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7.06.18
세포를 가진 동물 모델에게 실험한 결과는 놀라웠다. 기존 광역학치료제에 비해 종양
부피
가 4분의 1 가량으로 줄어들었다. 게다가 아세타졸아미드가 혈관이 잘 생기지 않도록 만든다는 사실도 알아냈다. 암 조직은 크게 자랄수록 더 많은 혈관을 만들어 영양분을 공급받아 조직을 키운다. 즉 혈관이 ... ...
갓 태어난 쌍둥인데 키 차이 나는 이유는?
동아사이언스
l
2017.06.16
데 걸리는 시간 등을 측정했다. 그 결과 TTP가 긴 쌍둥이 태아가 태어났을 때 뇌와 간의
부피
등 신체 기관의 크기가 작아 몸무게가 덜 나가며 키도 작다는 것을 확인했다. 엘렌 그렌트 보스턴아동병원 태아신경영상및발달과학 센터장은 “태반의 산소 수송량 속도 차이가 뇌나 간 등 신진 대사 ... ...
뭉게뭉게 구름을 만들어 날려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7.06.14
원리는 공기의 상승이에요. 한 예로 지표면의 일부가 가열되면 근처의 공기가 열을 받아
부피
가 늘어나면서 가벼워져요. 그럼 위로 올라가지요. 이렇게 높이 올라간 공기는 온도가 떨어져요. 그러면 기체였던 수증기들이 응결해서 물방울이나 얼음 알갱이로 변하죠. 구름이 한 덩이의 물체처럼 ... ...
이전
48
49
50
51
52
53
54
55
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