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력
전류
전원
전자
결정적 단계
장편소설
장편물
뉴스
"
전기
"(으)로 총 6,060건 검색되었습니다.
혹한에도 끄떡없는 이차전지용 하이브리드 전극 소재
동아사이언스
l
2024.08.13
개발했다. 상온에서만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기존 이차전지의 단점을 극복해
전기
차, 드론, 초소형 전자기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은 유정준 책임연구원 연구팀이 영하 20도의 혹한에서도 안정적으로 작동하는 이차전지용 금속-유기 하이브리드 ... ...
인터넷 커뮤니티 '짤방', 전력 낭비 주범 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8.12
배출된다. 인터넷 커뮤니티에 글을 올리거나 재밌는 이미지를 저장하기 위해 스마트폰을
전기
로 충전하는 행위 등이 모두 탄소 배출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개인이 생성하는 디지털 데이터 양이 쌓이면 상당한 수준의 에너지 소모 요인이 될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꼬집었다. 호지킨슨 교수는 ... ...
'해수전지' 속 이산화탄소, 유용한 알코올 만드는 데 활용
동아사이언스
l
2024.08.12
바꾸는 기술의 모식도. 한국화학연구원 제공 해수전지는 바닷물에 있는 나트륨 이온으로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장치다. 국내 연구팀이 해수전지 속 이산화탄소를 에탄올 등 유용 화학물질로 전환할 수 있는 촉매를 개발했다. 한국화학연구원은 김현탁 화학공정연구본부 선임연구원팀이 ... ...
"로봇·AI가 일할 때 사람은 쉬어야 할까"…서울로봇인공지능과학관 20일 개관
동아사이언스
l
2024.08.12
마련했다. 온 앤 오프(ON & OFF)는 중의적인 의미를 담았다. 로봇과 AI를 작동시키려면
전기
를 켜고 꺼야 한다는 의미와 함께 로봇 및 AI가 작동(on)하면 사람은 일을 쉰다는(off) 뜻을 담았다. 온 앤 오프 전시관에는 4족 보행을 하는 로봇들이 있다. 동물의 다리를 모방해 설계한 4개의 다리가 있으며 3D ... ...
뜨거워지지 않는 '스마트워치' 나올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4.08.10
작동합니다. 액체 금속은 상온인 15℃~25℃에서 액체 상태인 금속으로 모양이 변형돼도
전기
가 잘 통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연구팀이 야외에서 생체 신호를 측정한 결과 기존 웨어러블 기기는 약 39.6℃까지 올라간 반면 이번 연구에서 만든 기기는 35.4℃로 온도 변화가 거의 없었어요. 또한 피부가 ... ...
[과기원NOW] GIST, 3초 내 900도 치솟는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8.08
필요한 발전장치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권지민
전기
전자공학과 교수와 정성준 포스텍 신소재공학과 교수 공동 연구팀이 무선통신과 에너지 하베스팅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폴리머 쇼트키 다이오드의 안정성을 오래 확보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8일 밝혔다. ... ...
심장·뇌심부 생체 전자소자, 3D 프린팅으로 자유롭게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8.07
같은 복잡한 구조도 만들 수 있다. KAIST 제공 연구팀이 개발한 소재는 이전 연구 대비
전기
전도도가 약 1.5배 높고 고해상도 3D 패터닝이 가능했다. 에펠탑이나 다리 같은 복잡한 구조물까지 만들어 내는 수준이다. 물성도 생체조직과 비슷해 생체조직 접촉 시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으로 ... ...
뇌
전기
자극으로 식욕 억제 가능성…비만 치료 새 길 열릴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8.07
힘들거나 스트레스를 받으면 많은 사람들이 감정적인 배고픔을 느껴 음식을 먹는데
전기
자극 치료와 운동치료를 병행하는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을 도입하면 건강 관리에도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연구팀은 후속 연구를 통해 개발 기술을 검증하고 기업체 기술이전을 추진할 ... ...
폭발·화재 없는 전고체전지 상용화 앞당길 '설계 도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8.06
6일 밝혔다. 연구결과는 지난달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공개됐다.
전기
차를 포함한 전자기기에 널리 쓰이는 배터리인 리튬이온 이차전지는 인화성 액체 전해질이 들어 있어 본질적으로 화재에 취약하다. 전고체전지는 비인화성 고체 전해질을 활용해 화재 위험을 억제한 이차전지다. ... ...
배터리 화재 키우는 '열폭주' 억제 방법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8.05
핵심적으로 사용하는 하이니켈(High-Nickel) 양극재는 용량이 크지만 열 안정성이 낮다.
전기
차 시대에 앞서 안전 문제를 먼저 해결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 이유다. 짧은 시간에 일어나는 열폭주는 메커니즘 분석 난이도가 높고 배터리의 단위인 셀(cell)이 밀폐되어 있어 안쪽의 물질이 ... ...
이전
48
49
50
51
52
53
54
55
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