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기
전류
전심
전념
용병술
전압
전원
뉴스
"
전력
"(으)로 총 2,289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용시간 100배 늘린 가스센서 개발...정확도는 99.3%
동아사이언스
l
2023.02.14
아세톤과 메탄올, 이산화질소 등 5가지 가스에 대한 센서 성능을 시험한 결과, 총 소모
전력
이 기존의 가열방식의 가스센서에 비해 100분의 1 수준으로 준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간 가스 종류 판별 정확도 99.3%, 농도 값 예측 오차 13.8%의 높은 정확도도 보였다. 박인규 교수는 “개발한 가스센서는 상온 ... ...
반도체 변압기 활용 전기차 급속 충전기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2.13
추진할 계획이다. 백주원 책임연구원은 "반도체 변압기는 기존에 활용되던
전력
변환장치와 관련한 모든 응용 분야에 적용할 수 있다"며 "반도체 변압기의 절연 능력 향상 및 가격 경쟁력 확보, 활용성 제고를 위해 연구개발에 계속 힘쓰겠다"고 밝혔다. 전기차 대용량 급속 충전을 지원하는 반도체 ... ...
집적도 올려 정보 처리·저장 동시 수행 뉴로모픽 반도체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2.08
컴퓨팅 성능은 높인 차세대 반도체 소자로 이번에 개발한 소자는 시각 센서 등 여러 저
전력
인공지능(AI) 장치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재료연구원은 김용훈 나노표면재료연구본부 선임연구원과 권정대 책임연구원팀이 기존 폰노이만 방식의 정보처리장치인 CPU와 정보저장장치인 메모리가 ... ...
버려지는 바닷물에서 고순도 리튬 얻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2.07
있다. 3개를 연결하면 1.5V 건전지 한 개에 해당하는
전력
량이다. 증산발전 소자 한 개의
전력
은 크지 않지만 소자를 직·병렬로 연결해 모듈화하고 이를 적층해 발전량을 조절할 수 있다. 적층 방식은 거대한 설비나 넓은 부지가 필요없다는 장점이 있다. 또 물을 활용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이산화탄소 ... ...
오·폐수에서 전기와 식수 동시에 생산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2.07
문제 해결과 친환경 에너지 생산이 동시에 가능한 신기술로 수질 관리시스템 및 비상
전력
시스템으로 응용 가능성이 매우 크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윤태광 명지대 교수팀과 함께 수행됐으며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 지난해 12월 9일자에 발표됐다. ... ...
"착용하면 눈앞에 내비게이션"…AR 스마트 콘택트렌즈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2.06
높아 상용화까지 많은 난관이 예상된다. 스마트 콘택트렌즈로 AR을 구현하려면 낮은
전력
으로도 구동이 가능한 전기변색 디스플레이를 활용해야 한다. 디스플레이 소재로는 가격 경쟁력이 높고 색상 간 대비와 전환이 빠른 '청색 안료인 '프러시안 블루'가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전기 도금 ... ...
고병원성 AI·돼지열병 난리통에 3년째 잠잠한 구제역
동아사이언스
l
2023.02.06
구제역 바이러스를 다루려면 생물안전 3등급(BL3) 시설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BL3는
전력
이상 등으로 병원체가 외부로 노출되는 비상상황에서도 상시 음압을 유지해야 한다. 구제역 바이러스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을 유발하는 사스코로나바이러스-2(SARS-CoV-2)와 같은 등급으로 ... ...
우주식량·인공장기 만드는 3D프린터...우주 개척에 날개 단다
과학동아
l
2023.02.04
부품을 생산하는 SLM(Selective Laser Melting) 방식이다. 이 기술은 장비의 규모가 매우 크고
전력
요구 사항이 높다. 또 가연성 있는 금속 분말을 사용하기 때문에 호흡기에 좋지 않으며 미세중력 환경에서 제어하기 어렵다는 한계도 극복해야 한다. 모의 화성 거주지 ‘마스 듄 알파’를 3D 프린팅으로 ... ...
하수 속 암모니아, 유용한 자원으로 '탈바꿈'
동아사이언스
l
2023.02.01
관점에서 개선의 여지가 컸다"며 "개발한 흡착제가 하수처리장에 상용화돼 보급되면
전력
소비량과 온실가스 배출량을 획기적으로 저감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 ...
연구용 원자로' 하나로' 재가동 하루 만에 멈춰
동아사이언스
l
2023.02.01
원자로 자체와 냉각시스템 등 중요설비에 직접
전력
을 공급하는 안전계통과 이외 기관에
전력
을 공급하는 비안전계통으로 나뉜다. 기존에 빈번하게 문제가 된 냉중성자원 설비가 아닌 다른 설비에 문제가 생긴 것이다. 냉중성자원 설비는 2018년 7월 이후 7번의 가동 중단 중 5번의 원인이었다. ... ...
이전
48
49
50
51
52
53
54
55
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