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억제
통제
콘트롤
처리
조작
조치
자제
뉴스
"
제어
"(으)로 총 2,624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원NOW] KAIST, 유전자가위 광유전학으로 조절하는 기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2.07
후 환자가 시력을 유지할 수 있다. 또 점탄성이 있어 안구 내부 유체 이동을 효과적으로
제어
함으로써 망막을 안정적으로 고정하고 내부에 생긴 공기 방울을 제거할 수 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바이오머티리얼스' 온라인판에 최근 게재됐다. ■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기술경영아카데미 ... ...
'혈관 구멍' 형성 메커니즘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2.07
교수(왼쪽)가 연구팀과 함께 현미경 관찰을 하고 있다. DGIST 제공. 혈관 투과성을
제어
하는 구멍의 형성 메커니즘이 규명됐다. 혈관 질병을 이해하는 데 새로운 관점을 제시한 연구다.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서대하 화학물리학과 교수팀이 모세혈관 세포에서 물질 수송이 이뤄지는 유창 ... ...
[과기원NOW] KAIST, 암과 루게릭병 등 난치성 질환 새로운 발병 메커니즘 규명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2.06
메타표면 디스플레이 기술을 개발했다고 6일 밝혔다. 연구팀은 빛의 특성을 자유롭게
제어
하는 인공 나노 구조체인 메타표면을 사용해 빛이 특정 각도에서 하나의 위상 정보만 나타내도록 했다. 입사각에 따라 다양한 이미지가 구현됐다. 실험 결과 연구팀의 메타표면은 좌원편광에 대해 '+35도'와 '- ... ...
두개골 안 뚫고 파킨슨병 완화…자기장 치료법 제시
동아사이언스
l
2024.02.01
나노-자기유전학은 자기장을 이용해 뇌의 특정 신경세포를 무선으로 활성화해 뇌 기능을
제어
하는 기술이다. 뇌 심부에 자성을 띠는 나노 크기 입자를 주입하면 특정 자기장에 감응해 자성나노입자가 약 2 pN(피코 뉴턴, 1pN=1조분의 1N) 크기의 힘을 발생시킨다. 자기유전학 장치를 이용해 자기장 ... ...
카카오헬스케어, 실시간 혈당 관리 앱 '파스타' 공식 출시
동아사이언스
l
2024.02.01
보호자 모니터 기능 때문이다. 황 대표는 “초등학생 아이들은 스스로 먹는 음식 등을
제어
하기 쉽지 않다”며 “아이가 학교에 있는 동안 부모가 아이의 혈당을 모니터링하면 인슐린 주사 등이 필요한 순간을 잡아내 학교 선생님에게 이야기할 수 있다”고 말했다. 병원에서는 전자의무기록 ... ...
[과기원NOW] 인력 투입 없이 태양전지 먼지 제거 기술 나왔다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2.01
작은 부품이나 센서를 제작하는 공정이다. 금속 같은 무기 소재는 미세한 나노입자를
제어
하기 어려워 3D 마이크로프린팅 후 구조 유지가 어려웠다. 연구팀은 3D 마이크로프린팅 기술로 무기 나노입자를 링커 이온이 녹아있는 용액 수조에서 프린팅해 분산된 무기 나노입자 간 다중 네트워크를 ... ...
인간 추론 능력 극대화하는 AI
동아사이언스
l
2024.01.31
추론 과정에 맞게 최적화해 몰입도를 높일 수 있고, 반대로 몰입도를 적절한 수준에서
제어
할 경우 중독을 완화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ˮ라고 말했다. 관련 기술은 국내 및 해외에 특허 출원된 상태다. 연구팀은 원천기술의 파급력을 높이기 위해 2019년 KAIST 신경과학-인공지능 융합연구센터를 ... ...
[과기원NOW] 포스텍,100배 저렴한 센서로 자율주행차 대중화 이끈다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1.31
상태의 물질에서 전자와 격자진동 간 상호작용으로 나타나는 새로운 전자인 '폴라론'을
제어
해 단파 적외선을 분석하는 유기 광소자(OPD) 센서를 개발해 국제 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즈'에 지난해 11월 발표했다고 30일 밝혔다. 라이다(LiDAR)는 ‘자율주행 자동차의 눈’으로 불린다. 빛을 사용해 ... ...
일론 머스크의 '뉴럴링크', 인간 뇌에 칩 이식 최초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4.01.30
머스크 CEO는 자신의 X 계정에 "휴대폰과 컴퓨터를 통해 거의 모든 장치를 생각만으로
제어
할 수 있다"며 "스티븐 호킹 박사가 타자기보다 더 빠르게 의사소통할 수 있다고 상상해보라"고 언급했다. 뉴럴링크는 앞서 2021년엔 실험용 붉은털원숭이 뇌에 칩을 이식하는 데 성공한 바 있다. 이어 칩을 ... ...
[인사] 한국원자력연구원
동아사이언스
l
2024.01.30
▽부장·센터장급 △기기안전진단연구부장 박태진 △선진계측
제어
연구부장 최종균 △경수로핵연료기술연구부장 김동주 △인사혁신부장 염정선 △과확산부장 이영철 △디지털원자로·AI연구센터장 조윤제 ▽팀장급 △보건팀장 정영석 △노사협력팀장 박중승 △인사기획팀장 최원준 ... ...
이전
48
49
50
51
52
53
54
55
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