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용
사용
응용
굴절
적용
끝바꿈
어미변화
뉴스
"
활용
"(으)로 총 15,535건 검색되었습니다.
최고 과학기술훈장 '창조장'에 이상엽·황규영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25.04.22
표창 27명 등 총 84명에게 정부포상이 수여됐다. 올해 과학기술 창조장은 미생물을
활용
해 다양한 산업 원료를 만드는 ‘미생물 공장’ 기술인 시스템대사공학을 창시한 이상엽 KAIST 연구부총장(국가바이오위원회 부위원장)과 국내 IT 소프트웨어 산업 발전과 인터넷 정보문화 시대를 이끈 황규영 ... ...
인간 뇌처럼 중요 정보만 선별…AI 이미지 인식 능력 향상
동아사이언스
l
2025.04.22
파악하듯 Lp-컨볼루션은 뇌의 정보 처리 방식에서 착안해 AI가 연산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
하면서도 더 정확한 분석이 가능하도록 돕는다"고 설명했다. 살아있는 쥐의 시각 피질에서 측정한 뉴런의 반응 패턴(오른쪽 위)과 연구팀이 개발한 AI 모델에서 예측 패턴(오른쪽 아래)을 비교한 결과. ... ...
위암 수술 후 심박수, 생존율·합병증 위험 알려준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4.22
잘 반영했다”며 “이는 일반적인 퇴원 시점과 일치하며 예후 예측의 최적 시점으로
활용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고심박수가 암 환자의 예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생물학적 메커니즘으로 자율신경계의 불균형(특히 교감신경의 과활성화), 신체활동 저하에 따른 체력 저하와 염증 반응 ... ...
"GPU만 사면 AI 경쟁력 커지나…인재 레벨 달라져야"
동아사이언스
l
2025.04.22
있는 초당적 협력 기구인 'AI전환연대회의'와 연계해 정책 오픈소스화하고 어느 당이든
활용
할 수 있도록 공유한다는 방침이다. 이 의원은 "제가 정치는 초보지만 AI 분야에서는 시조새"라며 "AI 관련 사안은 너무 급하고 여든 야든 상관없다"고 말했다. 이어 "지금처럼 과학기술이 모든 아젠다의 ... ...
[사이언스게시판] 2025년 과학·정보통신의 날 기념식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4.21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21일 서울 강남구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열린 '2025년 과학·정보통신의 날 기념식'에서 기념사를 하고 있다. 연 ...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양 기관이 보유한 기술과 자원을 효과적으로 연계·
활용
할 수 있는 협력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추진됐다 ... ...
[의학바이오게시판] 루닛, 미국 암연구학회(AACR 2025)서 AI 기반 희귀암 면역치료 반응 예측 연구 발표
동아사이언스
l
2025.04.21
시카고에서 열리는 '미국암연구학회(AACR)'에서 AI 바이오마커 플랫폼 '루닛 스코프'를
활용
한 연구성과 7건을 공개한다고 21일 밝혔다. 주요 연구로는 제넨텍과의 면역항암제 '티센트릭' 치료 효과 검증, 아스트라제네카와의 상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EGFR) 변이 예측 등이 소개된다. ■ 이화의료원은 ... ...
텔레픽스, 세계 3대 AI 학회서 최고학술논문상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25.04.21
텔레픽스 로고. 텔레픽스 제공 위성 AI 토탈 솔루션 기업 텔레픽스가 24~28일 싱가포르에서 열리는 세계 3대 인공지능(AI) 학회인 '표현 학습 국제 학회(ICLR)'에서 ... WEF)의 인공위성 기반 지구관측
활용
사례로 선정되는 등 AI 기반 위성 데이터
활용
솔루션의 기술력과 혁신성을 인정받고 있다 ... ...
사람 움직임 예측하는 인공지능 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25.04.21
한계가 있다. 공동연구팀은 모션 캡처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관성 측정 장치(IMU)를
활용
해 새로운 동작 추정 알고리즘을 개발했다. 특히 사용자의 특정 행동 패턴을 식별하고 분류한 데이터인 ‘활동 인식 정보’를 기반으로 동작 예측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행동 제약 기반 AI 알고리즘(AIL-KE ... ...
50억년전 은하단 충돌, 韓 연구팀이 첫 규명…정설 뒤집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4.21
망원경의 심층 관측 데이터로 암흑물질의 분포를 직접 파악했다. 중력렌즈 현상을
활용
한 기술이다. 중력렌즈는 질량이 큰 천체가 시공간을 휘어 반대편에 있는 은하의 빛이 휘어지는 현상이다. 중력렌즈 현상으로 눈에 보이지 않지만 질량을 가지고 있는 암흑물질의 분포를 파악하는 원리다. 분석 ... ...
'NGC7331과 외로운 은하들의 춤'…천체사진공모전 수상작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25.04.21
성운(NGC 1499). 그 모양이 캘리포니아주를 닮아 이름 붙여졌다. 허블 팔레트 기법을
활용
해 성운의 다채로운 색감을 강조하며 주변을 감싸는 어두운 우주 먼지의 신비로운 모습도 담았다. 천문연 제공 제33회 천체사진공모전 심우주 부문 지구와우주 부문 금상 수상작 이미영 씨의 '천년의 꿈' ... ...
이전
48
49
50
51
52
53
54
55
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