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구분"(으)로 총 704건 검색되었습니다.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세 살 아기도 알건 안다2019.08.03
- 있을지도 모르겠다. 인간뿐 아니라 가까운 친척인 영장류들도 선한 행동과 아닌 행동을 구분하는 모습을 보인다(Anderson et al., 2017). 원숭이들에게 뚜껑을 열지 못해 낑낑대는 사람을 보여준다. 이 때 한 조건의 원숭이들은 옆 사람이 뚜껑 여는 걸 도와주는 모습을 보았고, 다른 조건의 원숭이들은 옆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모두가 동의하는 허블상수 구할 수 있을까2019.07.30
- 변광성보다 훨씬 흔할 뿐 아니라(태양도 수십 억 년 뒤 적색거성이 될 것이다) 쉽게 구분된다. 다만 밝기의 변동 폭이 큰 게 문제인데, 수백만 년에 걸쳐 점점 밝아지다가 최대치에 도달한 뒤 뚝 떨어진다. 프리드먼 교수팀은 많은 적색거성을 관측해 밝기가 최대치에 이른 적색거성을 표준촛불로 ... ...
- [사이언스N사피엔스] 플라톤의 하늘, 아리스토텔레스의 땅2019.07.25
- 보기에도 남달랐다. 피렌체의 우피치 미술관에 갔을 때였다. 다른 여느 작품과는 확연히 구분되는 (특히 섬세함과 색감에서) 그림을 보고 이건 대체 누가 그린 걸까 감탄하면서 살펴보니 라파엘로의 그림이었다. 그러나 라파엘로가 등장인물에 대한 이해 없이 그냥 그림만 잘 그렸다면 이런 걸작이 ... ...
- [코리아 스페이스포럼] “뉴스페이스시대, 민간기업 혁신 위한 정부 지원 중요”동아사이언스 l2019.07.19
- 이 교수가 정부의 역할론을 들고 나온 것은 뉴스페이스 시대에는 정부와 민간의 역할을 구분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는 정부가 모든 것을 혼자하기보다, 정부는 무엇을 할지 결정하거나 개념적 목표를 정하는 데 집중하고, 나머지 일은 과감히 민간에 넘길 것을 주문했다. 국제협력의 중요성도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실험실 문화를 지키는 사람들2019.07.19
- 17세기 보일의 실험실처럼 기록을 남기는 과학자와 실험을 수행하는 테크니션으로 구분되지 않는다. 21세기의 실험실에선 모두가 기록을 남긴다. 따라서 22세기 실험실의 역사를 연구하는 과학사가들은 새로운 과학사관을 추구하게 될지도 모를 일이다. 실험실을 구성하는 또 다른 형태의 ... ...
- 3km이상 떨어진 초소형드론, 찰나에 알아채는 국산 레이더 나왔다동아사이언스 l2019.07.16
- 연구팀은 이 기술을 식별에 활용한 결과 수십 분의 1초 이내에 정확히 탐지한 물체를 구분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 국제학술지 ‘국제전기전자기술자협회(IEEE) 지질학및원격탐사레터스’ 6월 22일자에 발표했다. 다만 현재는 원거리 탐지 레이더 기술과 드론 신호 AI 식별 시스템이 통합되지 않은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매튜 볼턴, 과학을 미치도록 사랑한 갑부2019.07.04
- 논문도 없었다. 즉, 현대의 기준으로 과거의 누군가를 과학자나 비과학자로 구분하는 일에는 신중한 분석이 요구된다는 뜻이다. 만월회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벤자민 프랭클린도 제임스 와트와 매튜 볼턴처럼 미국 화폐에 초상화로 새겨져 있다7. 프랭클린은 번개를 연구해 피뢰침을 발명한 ... ...
- AI가 기계 고장 예측한다동아사이언스 l2019.07.02
- 영상이다. 오른쪽은 왼쪽과 다른 이상 진동이 포착된 영상이다. 육안으로는 차이를 구분할 수 없다. 머신 비전으로 두 영상을 비교하면 아래 그림처럼 진동이 강하게 나타나는 부분의 색이 바뀌어 표시된다. 기계연 제공 ... ...
- '82년생 김지영' 51년생 엄마 세대보다 "살기 더 고달파"동아사이언스 l2019.06.27
- 통계를 활용해 연령별 자살사망률에서 가장 평균인 1951년대생을 기준으로 잡고, 5년씩 구분해 자살률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알아봤다. 한국의 경우 출생연도가 비교적 최근일수록 자살사망률이 급격히 증가했다. 1956년생 여성에 비해 1970년생 여성이, 1970년생 여성에 비해 1997년생 여성의 자살률이 ... ...
- [사이언스N사피엔스] 과학은 왜 어려운가2019.05.30
- 10,000으로 적는 것이 편리하다. 쉼표 앞의 10(ten)과 쉼표 뒤의 1000(thousand)이 확연하게 구분돼 읽기가 쉽다. 천이 천 개 모이면 새로운 단위인 백만, 즉 million이 등장한다. 백만이 다시 천 개 모이면 billion(=10억)이라는 새로운 단위가 나온다. 무엇이 더 읽기 쉬운가? 반면 우리에겐 이런 표기법이 그다지 ... ...
이전4849505152535455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