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람"(으)로 총 19,299건 검색되었습니다.
- [알쏭달쏭 논리 동화] 두 공주가 확률에 갇혔다!수학동아 l2017년 03호
- /2이어야 해. 공주에게 아직 증명해야 할 부분이 남아있다는 말씀이야!다음 이야기확률을 사람만큼 계산할 수 있는 인공지능, 시리가 있습니다. 일요일까지 시리는 하나뿐입니다. 일요일 저녁에 멀쩡한 동전을 던져 뒷면이 나오면 월요일에 이 시리를 복제해 인공지능을 하나 더 만들기로 했습니다. ... ...
- [포커스 뉴스] 돼지의 수정란에서 자란 인간세포, 키메라 연구 불 붙나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모습은 관찰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로스 교수 역시 영국 BBC와의 인터뷰에서 “사람의 뇌로 자라날 가능성은 극히 낮다고 생각하지만, 반드시 조사해 봐야 할 부분”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키메라 연구의 성공 사례가 늘어남에 따라 정부기관들의 입장도 달라지고 있다. 2015년 9월, 인간 줄기세포를 ... ...
- [Issue] 쓸모없다 해서 미안했다 충수의 재발견과학동아 l2017년 03호
- 급성 충수염에 걸리지 않는 방법은 없는 걸까. 파커 교수는 “충수가 있는 다른 동물들은 사람처럼 급성 충수염에 쉽게 걸리지 않는다”면서 “급성 충수염은 알레르기나 자가면역질환과 같은 서구화에 의한 현대병”이라고 지목했다. 실내에서 일하기 때문에 생기는 비타민D 결핍이나, 섬유소는 ... ...
- [Origin] 강아지 고민상담소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맡게 한 결과, 운동피질과 측두엽 부위가 꾸준히 활성화되는 것을 관찰했습니다. 친숙한 사람이 보내는 감정을 느끼고 반응할 때 활성화되는 부위입니다. 세번째 사연의 주인공이 키우는 두 살 된 베들링턴테리어 ‘베리’(왼쪽), 그레고리 번즈 교수의 반려견으로자기공명영상(MRI)을 찍고 있는 ... ...
- [Future] 가장 품위 있는 죽음? 웰빙 위한 웰다잉 시대과학동아 l2017년 03호
- “2045년이 되면 인류는 죽음을 초월하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 근거로 “미래에는 사람과 기계가 항상 연결돼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과학자들은 과학기술을 통해 인류의 수명을 연장할 거라고 본다. 줄기세포로 바이오프린팅한 인공장기나, 유전자 가위인 크리스퍼를 이용해 유전자를 ... ...
- [도전! 코드마스터] 이제 운전도 SW에게 맡겨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3호
- SW 기술이 한자리에 모인 셈이에요. 자율주행 자동차는 SW가 운전을 도맡아 하기 때문에 사람이 차 안에서 할 수 있는 일이 그만큼 늘어나요. 운전하면서 휴대 기기를 통해 영화를 보거나, 자리에 편히 앉아 책을 읽는 것도 가능하다는 이야기예요. 실제로 이번 전시에 나온 BMW의 자동차는 인조 ... ...
-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 ‘가상현실’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이때 스마트폰을 VR 헤드셋에 끼워서 보면 가상공간의 입체감을 느낄 수 있어요.사람의 양쪽 눈은 약간 다른 시점에서 물체를 보기 때문에 뇌로 전달되는 이미지가 조금씩 달라요. 뇌는 들어온 두 이미지의 차이를 인식해 입체감과 거리 감각을 만들어내지요. VR 헤드셋도 이 원리를 이용해요. 앱에서 ... ...
- Part 3. 때 이른 겨울이 독감 불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3호
- 교수팀은 왜 체온이 낮을 때 면역력이 떨어지는지 알아보는 실험을 해 봤어요. 연구팀은 사람의 ●기도세포를 추운 환경과 따뜻한 환경에서 키운 뒤, 감기 바이러스 중 하나인 리노바이러스를 감염시켜 봤죠. 그러자 추운 환경에서 자란 기도세포에 리노바이러스가 더 잘 감염됐답니다.이와사키 ... ...
- 2017 태국 탐사대 달콤한 맛과 향의 도시 지난 2월수학동아 l2017년 03호
- 제재가 강했다. 예의를 갖 춰야 하기 때문에 무릎을 덮지 않는 반바지나 치마를 입은 사람은 출입할 수 없 었다. 반바지를 입은 탐사 대원 들은 직접 만든 스카프를 다리 에 두르고 무사히 왕궁에 들어 갈 수 있었다. 태국은 다양한 문화의 융합 을 좋아하는 나라다. 그래서 태국 왕궁에서는 ... ...
- [게임카페] 휙, 휙~ 요리조리 피한다! 피하기 게임 디자인 上수학동아 l2017년 03호
- 전에 흥미를 잃고 게임을 그만두게 되니까 이 점을 고려해서 규칙을 정해야 하지요. 많은 사람이 이미 알고 있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도 한 방법이에요. 예를 들어 사칙연산이나 생태계 먹이사슬 관계처럼 초등학교만 졸업하면 누구나 알 수 있는 원리를 게임의 규칙으로 정하는 거예요. 중독성 있는 ... ...
이전5295305315325335345355365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