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으)로 총 24,378건 검색되었습니다.
- [서울대 공대|재료공학부] 현대판 연금술사 키운다과학동아 l2019년 01호
- 데 많은 도움이 되는 것 같다“고 말했다. 반복 학습으로 우직하게 정시 도전 18학번 하대철 하대철 씨는 대구 대건고를 졸업하고 정시로 재료공학부에 입학했다. 그는 “사실 특정 학과보다는 서울대에 입학하고 싶었다”며 “처음부터 우직하게 정공법으로, 정시로 가겠다고 생각했다”고 ... ...
- [스타쌤의 수학 공부꿀팁] 부평동중학교 김정란 선생님, 새 가족이 생기는 수학 시간수학동아 l2019년 01호
- 부모도 있고, 아무리 가르쳐도 말 안 듣는 자식도 있기 마련이니까. 그런데 부평동중 1학년 3반의 가족들은 모두 화목하고 돈독해 보였다. 각각의 가족들은 어떤 사연이 있는지 궁금해 두 가족을 만나봤다. 아빠의 부재, 자식들이 힘을 합쳐 메꾼다! 공교롭게도 처음 찾아간 가족은 아빠의 ... ...
- Part 4. 태양계 밖 - 외계행성의 비밀을 풀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1호
- 발견을 주도한 스페인 카탈루냐우주과학연구소 이그나시 리바스 박사는 “20년간 모은 771개의 관측 자료를 자세히 분석해 얻어낸 결과”라며, “이 행성의 존재를 99% 확신한다”라고 말했어요. 증발하는 외계행성? 지구에서 생명체가 살 수 있는 건 ‘태양과 적당한 거리를 유지하고 있기 ... ...
- [가상인터뷰] 도시 개구리가 숲 개구리보다 인기가 많은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1호
- 결과, 숲에 사는 개구리는 1분당 24~26번 ‘크릭’ 소리를 냈고, 도시에 사는 개구리는 1분당 28~30회 ‘크릭’ 소리를 냈지. 이는 도시 자동차의 저주파 소음이 우리 노랫소리를 방해하기 때문이야. 그래서 주파수 영역이 넓은 ‘크릭’ 소리를 더 많이 내는 거지. 일리 : 다른 이유도 있니 ... ...
- Part 2. 변신 2 - 사람을 살린다! 의료용 돼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장점이 있답니다. Q 그럼 사람에게도 임상시험해 볼 계획인가요? 네. 지금까지 제1형 당뇨병을 앓고 있는 원숭이 8마리에게 돼지의 췌도를 이식하는 실험을 진행해 성공했어요. 이 결과를 바탕으로 2019년엔 임상시험을 진행하고 싶어요. 그런데 아직 우리나라에는 이종장기 이식에 관련된 규정이 ... ...
- [지구사랑탐사대] 나는야 우리 동네 생태연구자!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우수 대원들이 활동을 보고하는 시간도 있었어요. 닥터구리팀의 유다은 대원은 1기부터 6기까지 지사탐에 꾸준히 참여하며 6년 동안 익산에 있는 집 근처 논에 사는 수원청개구리를 관찰하고 기록했어요. 이 기록을 모으자 시기에 따라 개구리 개체 수의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를 만들 수 있었지요 ... ...
-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 지진계 만들기 - 흔들흔들, 진동을 기록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일어나는 화산 활동의 75%가 일어나기도 한답니다. ● 미션 1 - 흔들림을 감지하라! 132년 무렵, 중국 후한 시대 세계 최초의 지진계 ‘지동의’가 만들어졌어요. 항아리 모양으로 생긴 지동의의 위쪽엔 구슬을 물고 있는 용 8마리가 있는데, 지진이 나서 땅이 흔들리면 용이 물고 있던 구슬이 ... ...
- 슬기로운 진로 탐구생활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컨텐츠 제작을 위한 아이디어 수집 및 기획-컨텐츠 홍보를 위한 마케팅 및 영업, 1인미디어 경영 주도 뷰티 크리에이터에 대해 더 알아보고 싶다면? 추천 영상 : 예능 ‘랜선라이프’ ● 누구보다 힙하게 유행을 판매한다, ‘온라인 쇼핑몰 CEO’ 온라인 쇼핑몰의 운영, 마케팅, 고객관리 등 ... ...
- [과학뉴스] ‘인사이트’ , 화성의 소리를 담다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셀피’도 찍었다. 로봇팔이 전체 모습을 한 장에 담기에는 길이가 짧아, 11차례에 걸쳐 나눠 찍은 뒤 이를 합쳤다. 인사이트의 셀피는 화성 도착 이후 촬영한 첫 번째 ‘인증샷’이기도 하다(아래 사진). 앞으로 인사이트는 지진계와 열탐사 장비 등을 설치할 최적의 장소도 찾을 예정이다. 이를 ... ...
- [이달의 PICK] 백악기 한반도에 ‘참새 공룡’ 살았다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상대적으로 드문 반면, 발자국 화석은 200곳 이상에서 발견됐다. 지질학적 시간으로 약 1억3000만 년 전부터 약 6500만 년 전까지, 세계에서 단 하나밖에 없는 유일한 화석들이 많이 발견됐다. 이번에 발견된 진주의 소형 랩터 공룡 발자국을 비롯해 한국은 세계 유일의 두 발로 걷는 익룡의 모습을 ... ...
이전5295305315325335345355365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