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형상
형태
생김새
꼴
외형
모습
모양새
d라이브러리
"
모양
"(으)로 총 6,048건 검색되었습니다.
마우스가 펼쳐내는 마술의 창(窓)
과학동아
l
199203
글자의 크기도 마음대로 선택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글자
모양
이 커져도 자연스러운
모양
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것은 이제 개인용 컴퓨터가 전문 탁상출판시스템에 버금가는 능력을 발휘할 수 있게 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글처럼 아름답지만 복잡한 구조를 가진 글자를 위해서는 이런 기능이 ... ...
렌즈지름 10m벽 돌파하는 세계 최대 망원경 선보인다
과학동아
l
199203
MTV(Multi-Mirror Telescope)라고도 불린다. 박(薄)형메니스커스라는 것은 얇은 두께의 초승달
모양
의 단면을 가진 반사경을 뜻하며 허니컴은 반사경의 유리를 벌집구조로 만들어 중량을 격감시킨 형태를 말한다. 석유왕 케크의 이름을 따이중 가장 큰 지름의 망원경은 케크(Keck) 망원경. 석유왕 케크의 ... ...
${10}^{-29}$㎝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199203
GUT를 재미있는 퍼즐로 생각한다면 퍼즐의 어떤 일부분은 색깔과 구성이 풍성하거나
모양
이 이해하기 쉬워서 쉽게 맞출 수 있다. 1970년초 입자물리학이 바로 이러한 상태에 놓여 있었다. 그 때는 경이로운 눈으로 환호성을 올렸다. 그러나 그것은 어디까지나 퍼즐의 쉬운 일부분이었다. 채워야 될 ... ...
신안 해저유물선 인양, 그후 8년
과학동아
l
199203
자문을 구해 1/5 축소모형과 1/10 축소모형을 만든 것이다. 이 두척의 모형배는
모양
이 조금 다르다. 특히 사라져버린 선실과 갑판의 형태는 제각각이다.물론 이 모형에 이의를 제기하는 학자도 있다. 원로 조선공학자인 김재근박사는 "배의 길이에 비해 폭이 너무 넓고, 폭에 비해 깊이가 너무 낮게 ... ...
이빨이 말해주는 것
과학동아
l
199202
발전하기도 했다. 코끼리에겐 상아, 해마에겐 긴 송곳니가 있으며 일각고래에겐 나사
모양
의 송곳니가 하나 있다. 독사는 상대방을 쉽게 치명적인 상황으로 만들 수 있는 독을 송곳니를 통해 뿜는다. 그러나 이 모든 동물의 이중에서 인간의 치아가 가장 유용할는지 모른다.이빨로부터 정보를 쥐어 ... ...
해외 과학기술자 유치작전
과학동아
l
199202
장관으로 임명된 것 같았다. 이제 KIST에는 더이상 내가 관여하지 않아도 된다고 생각하신
모양
이었다.그러나 나는 장관으로 임명된 후에도 약속된 행사가 있어 즉시 귀국하지 못하고 6월 14일까지 미국에 머물러야 했다. 이 회의에는 기술이전을 받는 당사자로 윤용구 박사(현 KAIST 교수, 금속재료)와 ... ...
1 에스컬레이터도 일종의 도르래
과학동아
l
199202
경사면이 물체를 밀어올리는 역할을 한다. 경사면이 원통형 주위로 말아올라가 있는
모양
을 한 나사도 이와같은 원리로 회전해 물체 속으로 들어가게 된다.용수철도 그 기원이 아주 오래된 도구의 하나로 원시적인 열쇠에 사용되고 있었다. 금속 용수철이 만들어진 것은 1500년대에 마차의 승차감을 ... ...
만약 은하와 은하가 맞부딪친다면…
과학동아
l
199202
분열되며 결국에는 수억년에 걸쳐 은하들끼리 서로 잡아먹고 먹히게 되면서 서로의
모양
이 변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은하들의 상호작용이 중력에 의해 지배된다는 사실을 반영하는 것이다. 쉽게 말해 두 은하간의 충돌이 느리면 느릴수록 결국 서로가 느끼는 충격이 커진다.잡아먹고 잡아먹히는 ... ...
큰 글씨도 매끄럽게 찍어낸다
과학동아
l
199202
때문에 이것이 가능하다. 흔히 쓰이는 도트프린터로 큰 글씨를 인쇄하면 외곽선이 계단
모양
으로 거칠게 나타난다. 그러나 프린터마당을 이용하면 포스터나 작은 현수막에 쓰이는 큰 글씨도 레이저프린터로 찍은 것처럼 깨끗하게 표현된다.다만 기존 워드프로세서로 작성한 파일을 불러내 ... ...
4 피뢰침에서 로봇까지
과학동아
l
199202
르네 데카르트는 1644년에 자기가 있는 곳에 종이를 두고 그 위에 철분말을 뿌리면 자장의
모양
이 눈에 보인다는 사실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방위를 측정하는 컴퍼스 외에 전동모터가 발명되기까지는 자석의 실제적인 사용법은 알려지지 않았다. 18세기에는 프란츠 안톤 메스멜이라는 별난 ... ...
이전
530
531
532
533
534
535
536
537
5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