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위해"(으)로 총 16,956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생체열쇠 - 셋] 얼굴 & 걸음걸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특징으로 범인을 정확하게 찾아낼 수 있었지요.현재 과학자들은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사람들의 걸음걸이 정보를 모으고 있어요. 그리고 신체 특징에 따라 걸음걸이를 구분할 수 있는지 분석하고 있지요. 반상우 명지대학교 산업경영공학과 교수는 “그동안 걸음걸이는 질병이 있거나 걸음걸이가 ... ...
- INTRO. 거꾸로 보면 작아 보인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사물이 달라 보인다는 것을 증명한 공로를 인정받았죠.히가시야마 교수팀은 이 연구를 위해 우선 다른 크기의 직사각형 모형들을 준비했어요. 그리고 15명은 똑바로 서서, 다른 15명은 허리를 앞으로 굽힌 채 다리 사이로 이 모형들을 보게 했죠. 2.5m, 15m, 45m 등 다양한 거리에 모형을 놓고 크기와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비밀과학집단의 반격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돌아오는 데 걸리는 시간을 재고 있어요. 지구와 달 사이의 거리를 정확히 측정하기 위해서지요. 그 결과 달이 지구로부터 조금씩 멀어지고 있다는 놀라운 사실이 밝혀졌답니다.# “저기가 출구 같아!”비밀과학수사대 친구들이 거울미로 안에서 한데 모여 빛의 성질에 대해 연구한 결과 미로를 ... ...
- [퍼즐탐정 썰렁홈즈] 악어농장 주인 ‘ 아거테 가나올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했다.“헉…! 이것은 아…, 악어 보트?!”썰렁홈즈는 악어 등에 타고는 두려움을 잊기 위해 노래를 부르기 시작했다.“정글 숲을 지나서 가자…. 훌쩍 ♪ 엉금엉금 기어서 가자…. 엄마야! ♬ 늪지대가 나타나면은…. 아이고…. 악어 떼가 나올라! 악어 ...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 과학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두 팔을 벌리고 서 있는 모양을 본떠 만들었지요. 그러다가 ‘사람 인(人)’과 구별하기 위해 ‘훌륭한 사람, 큰 사람’이라는 의미가 더해져 ‘크다’라는 뜻이 됐답니다.‘뭍 륙(陸)’은 ‘언덕 부(阝)’ 뒤에 ‘언덕 륙(坴)’이 붙어있어요. ‘언덕 륙(坴)’은 ‘흙 토(土)’ 사이에 ‘어진 사람 인 ... ...
- [도전! 코드마스터] 내 컴퓨터로 복잡한 뇌 구조를 밝힐 수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뇌는 생각이나 기억에 한계가 있어요. 하지만 큰 집단에 속한 개인들이 집단의 목표를 위해 각각 알고 있는 지식이나 갖고 있는 능력을 모으면 어떻게 될까요? 마치 개인이 하나의 뉴런이고, 이 뉴런이 네트워크로 연결된 집단이 거대한 하나의 뇌처럼 움직이지 않을까요?집단지성을 가장 잘 보여 ... ...
- [퍼즐탐정 썰렁홈즈] 나무 도둑 ‘ 트리나 베버리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0호
- 가을을 만끽하기 위해 단풍놀이를 가기로 한 썰렁홈즈. 배낭에 맛있는 김밥과 시원한 음료수까지 챙겨서 북한산을 한참올라가고 있는데…. 갑자기 산허리가 휑~ 하니 나무들이 마구 베어져 있는 게 아닌가! 그때 어디선가 메아리가 울려퍼지기 시작했다. “우헤헤(헤헤)~, 나는(나는) 나무 도둑(도둑) ... ...
- Part 5. 안전하게 타는 방법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0호
- 사람의 88.6%는 헬멧을 쓰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어요. 그러니까 어른의 경우라도 안전을 위해 헬멧을 쓰는 게 좋아요.전기자전거의 경우에는 일반 자전거처럼 면허가 없어도 탈 수 있게 하는 법이 만들어지고 있어요. 하지만 13세 미만의 어린이가 전기자전거를 타는 것은 불법이랍니다. 타기 전에 ... ...
- [현장취재] 민물고기 탐사대 출동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0호
- 납지리, 꾸구리 등 사라져가는 우리나라 민물고기를 지키기 위해 지구사랑탐사대원들과 성무성, 김정훈 어벤저스가 모였어요. 지난 달 경기도 금당천과 섬강에서 장장 4시간에 걸쳐 진행된 민물고기 탐사 현장으로 함께 가 볼까요?“으아! 가슴장화 입으니까 너무 더워요! 얼른 물속으로 들어갈래요 ... ...
- Part 2. 복잡하고 큰 집이 좋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0호
- 몸의 앞부분만 쏙 내밀고 갯벌 표면에 있는 유기물을 걸러 먹어요. 포식자를 피하기 위해서죠. 만약 먹이를 먹던 중에 포식자에게 잡혔다면 방속에 있는 수많은 다리들이 방벽을 꽉 붙잡고 버틸 수도 있어요. 한편 배설을 할 때는 방 속에서 몸을 돌려 몸의 뒷부분을 굴밖으로 내민답니다 ... ...
이전5305315325335345355365375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