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지구"(으)로 총 7,265건 검색되었습니다.
- “먼 곳의 중성자별 관측 가능해져” - 김정리 한국천문연구원 리더급우수과학자 인터뷰동아사이언스 l2017.10.17
- [우주 기원 밝히는 신호 찾았다! 중성자별 충돌로 발생한 중력파 첫 발견] ☞ 지구로 중력파 보낸 천체 위치, 처음으로 확인됐다 ☞ [연구의 의미] 우주 보는 ‘중력의 눈’ 위력 확인해... 중성자별 세밀하게 밝힌 것도 의의 ☞ [중력파, 그것이 알고 싶다] 5학년도 이해할 수 있는 중력파.. ... ...
- 우주 보는 ‘중력의 눈’ 위력 확인해... 중성자별 세밀하게 밝힌 것도 의의동아사이언스 l2017.10.17
- - NASA 제공 [우주 기원 밝히는 신호 찾았다! 중성자별 충돌로 발생한 중력파 첫 발견] ☞ 지구로 중력파 보낸 천체 위치, 처음으로 확인됐다 ☞ [참여 연구자가 말한다] “멀리 떨어진 중성자별 관측 가능해져” - 김정리 한국천문연구원 리더급우수과학자 ☞ [중력파, 그것이 알고 싶다] 5학년도 ... ...
- 지구로 중력파 보낸 천체 위치, 처음으로 확인됐다동아사이언스 l2017.10.17
- 해당 위치를 바라볼 수 있게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중성자별 충돌을 관측함으로써 지구에 카드뮴, 납과 같은 무거운 원소가 생겨난 원인이 이론대로 우주에서 일어난 핵융합에 의한 것인지 확인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또 다른 은하에 속한 먼 거리의 위치를 알게 됨으로써 우주의 팽창 정도를 ... ...
- 5학년도 이해할 수 있는 중력파...쉽게 풀어낸 중력파 Q&A동아사이언스 l2017.10.17
- 없다. [우주 기원 밝히는 신호 찾았다! 중성자별 충돌로 발생한 중력파 첫 발견] ☞ 지구로 중력파 보낸 천체 위치, 처음으로 확인됐다 ☞ [연구의 의미] 우주 보는 ‘중력의 눈’ 위력 확인해... 중성자별 세밀하게 밝힌 것도 의의 ☞ [참여 연구자가 말한다] “멀리 떨어진 중성자별 관측 ... ...
- 지구온난화 주범, 우주에서 찍은 대기 속 CO2 분포도동아사이언스 l2017.10.15
- 자료를 거의 얻기 힘들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NASA는 2014년 7월 OCO-2위성을 발사해 지구 밖에서 전 세계의 CO2 농도 변화를 측정하기 시작했다. OCO-2 위성은 지상 관측소와 달리 대기 속 CO2양을 직접 측정하지 않는다. 대기 중의 CO2분자에 반사되는 태양빛을 계산한 값(XCO2)과 식물에서 ...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17) 공생, 기생 혹은 악의2017.10.15
- 목적이죠. 하지만 닭도 덕분에 사료를 얻어먹으며 크게 번성했습니다. 사실 지구 상에 살고 있는 닭의 숫자는 190억마리에 이릅니다. 인간의 수보다 더 많습니다. 인간은 닭을 키워 잡아 먹으니, 닭이 희생되는 것에 불과한 것이라고 할 수도 있겠죠. 하지만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닭을 키우기 위해서 ... ...
- [돈테크무비] 궁지에 몰린 일론 머스크, 오버테크놀러지로 뚫고 나가나? 2017.10.15
- 재생 가능한 거대 로켓(BFR은 Big F**king Rocket의 약자)을 활용하여 100여명의 승객을 지구상의 어느 도시건 1시간 이내에 이동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뉴욕에서 런던까지 29분, 시드니에서 도쿄까지 35분, 시드니에서 취리히까지 50분만에 승객을 실어 나르겠다는 것이다. ▲ 스페이스X가 ... ...
- 왜행성 ‘세레스’ 지명에 한국 神 이름 붙인다과학동아 l2017.10.13
- 덧붙였다. 2007년 발사된 돈은 2015년 세레스에 도착해 현재 상공 약 3만8000㎞를 돌며 지구로 자료를 보내고 있다. 자청비를 포함해 지금까지 세레스에서 지명이 확정된 크레이터는 115개다. IAU는 절벽, 작은 돔 형태의 화산 등 세레스에서 발견된 다른 지형에도 이름을 붙여가고 있다. 슈뢰더 박사는 ... ...
- 우라늄, 뇌, 종자…인류 미래 저축하는 ‘과학 은행’동아사이언스 l2017.10.13
- 3243종 45만92점의 씨앗이 보관돼 있다. 국립백두대간수목원 측은 “식량 종자 보존보다는 지구온난화나 환경오염 때문에 사라져가는 식물 종자를 보존해 산림유전자원을 확보하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 ... ...
- 부산 떨게한 붉은불개미…곤충 세계선 전투력 ‘하수’동아사이언스 l2017.10.13
- 8mg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붉은불개미는 300번 이상 쥐를 찔러야 한다. 현재까지 밝혀진 지구상에서 가장 강력한 독을 가진 곤충은 노란수확기개미(yellow harvest ant)로 반수치사량은 0.12mg이다. 붉은불개미보다 66배가량 강한 독을 가진 것으로, 1㎏짜리 쥐를 6번 쏘는 것만으로 죽게 할 수 있다. ... ...
이전53253353453553653753853954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