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사
공부
탐구
학습
학업
탐사
면학
d라이브러리
"
연구
"(으)로 총 22,88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4. 극한 농업, 사막에서 성공하면 기후변화도 거뜬!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22호
만들었습니다!” 2010년 남극의 세종과학기지에 식물공장을 처음으로 만든 임정한
연구
원을 만나 보세요! Q 남극에 농장을 왜 만드셨나요?수송기가 못 들어올 정도로 추운 월동 기간에는 채소를 못 받아요. 그러면 변비가 생기는 등 여러 문제를 겪지요. 이를 해결하는 게 주된 목적이었고 ... ...
[가상인터뷰] 혹등고래가 세레나데를 멈춘 이유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22호
멈췄다고 해. 노래를 멈췄던 혹등고래는 30분이 지나서야 노래를 다시 불렀지. 앞으로
연구
진은 배의 저주파 소리가 우리에게 어떤 스트레스를 주는지, 다른 소음은 어떻게 반응하는지 조사할 예정이야 ... ...
Part 3. “다음 정거장은 달입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22호
다시 이 자리를 메울 거랍니다. ISS 이후 논의되고 있는 우주정거장으로는 국제
연구
팀의 ‘딥 스페이스 게이트웨이’와 중국의 ‘거대 모듈 우주정거장’ 등이 있지요 딥 스페이스 게이트웨이는 달 궤도를 도는 우주정거장이에요. 이 우주정거장의 궁극적인 목표는 유인 화성 탐사의 베이스캠프가 ... ...
[가상인터뷰] 네안데르탈인은 면역의 조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21호
네안데르탈인이 함께 생활한 지역과 시기가 다양하기 때문이지.
연구
팀은 이번
연구
를 통해 유전자로 바이러스의 역사를 유추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밝혀냈어. 앞으로는 사라진 고대 질병까지 찾아낼 수 있을 거라 기대하고 있지. 우리 몸에 바이러스의 기록이 남아 있다는 게 신기하지 않니 ... ...
노벨화학상, 생물로 단백질 공장을 만들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21호
기술이 더욱 빛을 발한 건 그레고리 윈터
연구
원이 다르게 활용하면서 부터였지요. 윈터
연구
원은 특정 단백질에만 결합하는 항체를 찾는 데 박테리오파지 기술을 썼어요. 다양한 항체들이 섞여있을 때, 이들 중 특정 단백질과 잘 붙는 항체들을 골라내기 위해 이 기술을 쓴 거예요. 덕분에 ... ...
[실전!반려동물] 어린 댕댕이는 사회에 적응 중?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21호
열한 번째 사연이 도착했네요.“처음으로 어린 강아지 ‘댕댕이’를 키우게 됐어요. 강아지에게 줘야 하는먹이나 똥오줌을 가리는 방법과 같은 기본적인 것들에 대해선 익히 들었어요.혹시 저희 강아지가 어린 시기에 꼭 배워야 하는 것들이 또 있나요?” 강아지에겐 낯선 대상이 필수!갓 태어난 ... ...
우리가 몰랐던 여성 과학자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21호
핵분열의 원리를 발견했어요. 그는 독일의 화학자 오토 한, 프리츠 슈트라스만과 함께
연구
하던 도중 최초로 핵분열의 원리를 이해했지요. 그러나 핵분열을 발견한 업적으로 주어진 노벨상은 오토 한만 받았어요.비록 노벨상을 받지 못했지만, 독일의 화학자들은 리제 마이트너의 업적을 기리기 ... ...
[과학뉴스] 인공지능의 퀴즈 : 어떤 사진이 진짜 일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21호
사진은 모두 가짜 사진이에요. 영국 헤리엇와트대학교
연구
팀이 ‘생성적 적대 신경망(GAN)’ 기술을 통해 만든 거지요. GAN은 두 인공지능이 대결을 하듯 하나는 끊임없이 가짜 사진을 만들고 다른 하나는 이것이 진짜인지 가려요. 이 둘은 경쟁을 통해 배우고 발전해 결국 진짜 같은 가짜 사진을 ... ...
우주쓰레기 청소 위성 작동 성공!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21호
다음 목표는 작살을 발사해 10m 앞에 있는 물체를 포획하는 거죠. 청소 위성
연구
를 주도한 서리대학교 구글리엘모 아글리에띠 박사는 “겉으로 보기엔 간단해 보이는 과정이지만, 청소 위성이 지구에서 시험했던 것 같이 우주에서도 움직이는 것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결과”라고 ... ...
노벨 생리의학상, 암 정복의 길을 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21호
암 환자를 치료하는 데 쓰였어요. 노벨 위원회는 “앨리슨 교수와 혼조 교수는 면역학
연구
를 통해 암 치료 방법을 근본적으로 변화시켰다”며 “이를 통해 새로운 항암 치료 시대를 열었다”고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로 선정한 이유를 밝혔어요 ... ...
이전
535
536
537
538
539
540
541
542
5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