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월
일개월
계월
현토
글월
문장
한달
d라이브러리
"
달
"(으)로 총 3,688건 검색되었습니다.
[시사] 반 고흐 위대한 유산의 비밀
수학동아
l
201411
생각나는 그림으로는 이 있다. 밤하늘의 거대한 소용돌이 구름과 밝은
달
빛이 신비롭고도 몽환적인 느낌을 준다.그런데 이 그림의 소용돌이에 ‘유체역학’이 담겨 있다는 놀라운 연구 결과가 있다. 2006년 멕시코국립대의 물리학자 호세 루이스 아라곤 박사팀은 ...
INTERVIEW 1. 올해 노벨상 수상자들
과학동아
l
201411
FET)가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전에는 실험장비가 너무 커서 동물 머리 위에 직접
달
수 없었다. 장비가 작아진 덕분에 살아있는 동물의 뇌에 직접 미세전극을 삽입할 수 있었다. 덕분에 해마에서 장소세포를 찾아낼 수 있었다. 본인의 연구에 집중하면서도 최신 기술 경향을 놓치지 않는 것이 ... ...
EPILOGUE 이그노벨상
과학동아
l
201411
인정받으려면 여러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우선 위산과 담즙산에서 살아남아 소장까지 도
달
할수 있어야 하고, 장에서 증식하며 정착할 수 있어야 한다. 독성이 없고 비병원성이여야 함은 물론이고 건강에 좋은 효과까지 발휘해야 한다. 이렇게 인정받은 유산균을 ‘프로바이오틱스’라고 부른다. ... ...
[과학뉴스] ‘다단계 점프’로 화성에 간 인도
과학동아
l
201411
망갈리안의 성공요인으로 꼽은 최 실장의 답변은 새겨봄직하다. 정부는 6년 후인 2020년
달
탐사선을 보내겠다는 청사진을 그렸다. ‘안 되면 되게 하라’보다는 ‘천리 길도 한 걸음부터’라는 속담이 더 필요할 때다 ... ...
[knowledge] 우주멀미는 괴로워
과학동아
l
201411
잡으려다 헛손질을 해 주변 사람을 웃기곤 했다. 물론 다 지나간 추억이다.이런 몇
달
간의 여행을 마치고 드디어 화성에 도착했을 때가 기억난다. 불편한 멀미와 착시에서 벗어났다고 기뻐할 겨를도 없이 또 여러 가지 문제들이 발생했다. 그 동안 무중력에 적응돼 있던 몸이 갑자기 다시 화성의 ... ...
닥터 그랜마, 전자파에 가로막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411
연구팀은 건강한 사람과 뇌종양에 걸린 환자 400명을 비교했어요. 그 결과 휴대전화를 한
달
에 15시간 이상 사용한 사람들이 그보다 적게 사용한 사람들보다 뇌종양에 걸릴 확률이 2배가 높았답니다. 전자파가 동물뿐 아니라 사람에게도 나쁜 영향을 미친다는 뜻이지요. 연구팀은 전화 통화는 물론, ... ...
명예기자와 기자단이 만나 제주에서 우주로~!
어린이과학동아
l
201411
친구들이 쑥쑥 자라 어른이 될 때쯤에는 지금 비행기를 타고 다른 나라를 오가는 것처럼
달
이나 화성에도 자유로이 오갈 수 있을지 몰라요. 오늘은 한번 큰 꿈을 품고 하늘을 올려다 보세요. 하늘과 우주를 향한 꿈이 인류를 먼 곳으로 보내 준 것처럼, 우리 친구들의 미래도 이끌어 줄 거예요 ... ...
홈즈의 체육 선생님 ‘캡틴 어무셔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410
”썰렁홈즈는 선생님께 감사의 인사를 드리고 가슴에 카네이션도
달
아드렸다. 그리고 한
달
뒤, 선생님이 홈즈에게 다시 전화했다.“홈즈야, 이번에도 도와줄 수 있겠니?”썰렁홈즈는 지금 새로 산 역기를 450개 째 20층까지 계단으로 나르고 있다 ... ...
5th 마틴 가드너의 퍼즐 캠프
수학동아
l
201410
간단하면 승리 비법을 어렵지 않게 계산할 수 있다. 하지만, 게임판이 커지면 이야기는
달
라진다. 위와 같은 게임판에서는 승리 비법을 쉽게 찾아내기 어렵다. 도미니어링 게임에서 이길 수 있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서로 놓을 수 있는 경우의 수를 전부 계산하는 것이다. 하지만 게임의 흐름이 ... ...
PART 2. 신종헌터 블루오션국
과학동아
l
201410
살짝 찌푸리며 눈앞에 밤하늘을 상상하는 모습이 영락없는 천문학자다. 1969년 인간은
달
에 발을 디딘다. 박테리아는 그로부터 8년이 지나서야 개수를 셀 수 있게 됐다. 밤하늘 은하수의 별들에는 하나하나 이름이 붙어있지만, 박테리아는 아직도 태반이 이름이 없다. 우주보다도 미지의 세계다. "왜 ... ...
이전
49
50
51
52
53
54
55
56
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