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기"(으)로 총 3,322건 검색되었습니다.
- 블랙홀을 찾아낸 사람들에게 묻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0호
- 또한, 남극은 일 년에 밤과 낮이 한 번만 바뀌니 겨울에는 태양의 영 향 없이 안정된 대기 상태에서 관측을 진행할 수 있어요. Q 남극점 망원경이 EHT 프로젝트에서 맡은 역할은 무엇이었나요? EHT 프로젝트의 핵심은 망원경 사이의 거리예요. 망원경끼리 최대한 멀리 떨어져야 큰 망원경을 만든 ... ...
- [섭섭박사의 메이커스쿨] 미세먼지 측정기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9호
- 후, 컴퓨터에서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면 LED의 색으로 미세먼지 농도를 알 수 있어요. 대기 상태가 좋은 0~30μm/m³일 때는 파랑, 31~80μm/m³으로 보통일 때는 초록, 81~150μm/m³로 나쁠 때는 노랑, 151μm/m³ 이상으로 매우 나쁠 때는 빨간 빛이 나타나지요. 컴퓨터로 아두이노에 정보를 입력한 후에 보조 ... ...
- 인류 발전의 원동력, 탄소 생명과 문명 만든 ‘만능열쇠’과학동아 l2019년 09호
- 심각하게 위협하는 부작용이 나타났다.하지만 탄소가 꼭 부정적인 것만은 절대 아니다. 대기 중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지나치게 낮아져도 문제가 되기 때문이다. 이는 사막 등 건조지역의 기후를 보면 알 수 있는데, 이산화탄소와 더불어 온실가스 중 하나인 수증기가 부족한 건조지역의 기후는 ...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암석에 새겨진 한반도 지각의 역사과학동아 l2019년 09호
- PDF 파일에서 고화질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지구는 살아 숨 쉬는 행성입니다. 지각과 대기 등 지구의 모든 구성 성분은 끊임없이 움직입니다. 이때 생긴 에너지가 쌓여 때때로 화산이나 지진 등을 일으킵니다. 흔히 지구의 지질 활동을 설명할 때 거론되는 판구조론은 독자 여러분도 한번쯤 들어봤을 ... ...
- 우주에 돛을 펼쳐라 '라이트세일 2호' 나가신다과학동아 l2019년 09호
- 돛을 이용해 우주를 항해한다는 개념은 과학적으로 실현 가능할까. 천문학자들은 지구의 대기(바람)를 대신할 물질을 태양에서 찾아냈다. 태양계 전역에는 밀도는 다르지만 태양에서 나온 입자의 소용돌이, 바로 태양풍이 존재한다. 우주 돛단배의 동력으로 태양풍을 이용하면 된다는 것이다.우주 ... ...
- 산불이 매년 찾아오는 이유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9호
- 과학자도 있어요. 작년 전남대학교 정지훈 교수팀은 아시아 주변의 해양 온도, 대기 온도, 기압 등 여러 요인과 36년 동안의 산불 발생량을 비교해 봤어요. 그 결과 서태평양과 인도양 지역의 해수면 온도 차이가 크고, 남중국 지역 1500m 고도에서 바람이 거의 없었던 겨울의 다음 해에 산불이 많이 ... ...
- 질소, 질식 기체 오명 벗고 인류 책임진 슈퍼 히어로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일은 굉장히 까다롭다. 질소 분자(N2)가 화학적으로 워낙 안정하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대기의 대부분이 질소로 이뤄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과거에는 이를 제대로 사용할 수 없었다. 이 문제를 해결한 주인공이 독일의 화학자 프리츠 하버와 카를 보슈다. 공기 중 질소로 암모니아를 만드는 특별한 ... ...
- [과학뉴스] 토성 위성 타이탄에 ‘드래건플라이’ 보낸다과학동아 l2019년 08호
- 큰 타이탄은 지름이 약 5150km로 태양에서 14억km가량 떨어져 있다. 질소와 메탄으로 이뤄진 대기 등 초기 지구와 비슷한 환경을 갖고 있어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추정된다. 드래건플라이는 8개의 회전 날개를 갖춘 드론 형태의 탐사 로봇으로 타이탄 표면에 착륙해 날씨, 지형, 화학 조성 ... ...
- 모두의 N-S 방정식수학동아 l2019년 07호
- 문제에서는 경계면에서의 값을 생각하지 않지만 비행기 설계처럼 실제로 쓰일 때는 대기와 닿는 모든 면의 각 점에서의 값을 일일이 알아야 한다. 어떤 방법을 쓰는 걸까?해답은 빼곡히 채워진 연속한 값을 셀 수 있는 점으로 나눠서 계산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물 덩어리가 있으면 N-S 방정식을 ... ...
- 탐험┃러시아, 혼자서 할 수 없다, 협력하라과학동아 l2019년 07호
- 착륙선 루나 27호의 이상적인 착륙 지점을 찾기 위해서다. 루나 27호는 달의 토양과 대기를 관측해 인간의 거주 가능성을 조사한다. 또 루나 28호는 27호가 발견하거나 채집한 표본을 지구로 가져오는 임무를 수행한다. 러시아는 향후 미국 등과 달 궤도 우주 정거장을 마련하면, 2030년까지 ... ...
이전49505152535455565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