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재료
원료
원재료
설비
시설
농업경제학
경제학
d라이브러리
"
자재
"(으)로 총 783건 검색되었습니다.
① 화면에 옮겨놓은 축소된 현실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무녀를 위한 스케치’(13)를 보자. 미켈란젤로는 어느 위치, 어느 각도에서나 자유
자재
로 인체를 묘사할 수 있었다. 다 빈치는 한술 더 떠서 뼈가 어떻게 이루어져 있는지, 근육이 어떻게 붙어 있는지, 동맥이 어디에 위치하는지를 직접 자기 손으로 인체를 해부해 인체의 구조를 확인하기도 했다(14) ... ...
Ⅳ. 중세의 천장은 왜 고딕식인가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때문에 전주파수대에 걸쳐서 고른 음압과 잔향을 얻기가 어렵다. 반면에 목재는 인공
자재
에 비해 전주파수대에 걸쳐서 흡음율이 일정한 편이며, 시간의 경과에 따른 흡음율의 변화가 적은 편이다. 유명한 지휘자 게오르그 솔티는 그가 상임지휘자로 내정된 콘서트홀을 설계하는 건축가에게 매달 ... ...
자연의 일부 생태건축 그린빌딩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아니라 사용된 재료에 들어간 에너지, 해체시 재활용되는 재료에 이전된 에너지 등 건축
자재
의 일생을 통틀어 에너지 효율을 평가한다는 개념이다.또한 재료의 환경친화성이 중요한 기준이다. 유기합성페인트의 경우 휘발성용제가 증발하면서 실내환경을 오염시키고 작업능률을 떨어뜨릴 것은 ... ...
밀레니엄 버그 ABC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날짜보다 ‘99년의 첫번째 날’이라는 식으로 날짜를 처리하는 것들이 있다. 예컨대 원
자재
를 수입한 날부터 1백일째 되는 날에 제품을 출고한다는 식으로 프로그램을 작성하려면 절대적인 날짜보다 상대적인 계산 방법이 더 유리하기 때문이다.그런데 99년 4월 9일이 되면 이러한 프로그램에서는 9 ... ...
현대판 '열려라 참깨' 염력은 존재하는가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있는 물건을 응시하여 여러 방향으로 이동시켰다. 예컨대 성냥개비나 담배갑을 자유
자재
로 움직이는 장면이 필름으로 공개되었다. 쿨라기나는 물체를 공중으로 부양시킬 뿐만 아니라 개구리에서 떼어낸 심장의 고동을 조절하는 능력을 가졌던 것으로 알려진다.1970년대에 초능력으로 선풍적 인기를 ... ...
① 생명의 으뜸원소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잡고 있지 않으면 물분자들은 단숨에 뿔뿔이 흩어져 기체로 날아 가버릴 것이다.자유
자재
로 떼었다 붙였다생명 현상에서 핵심적인 기능을 담당하는 생체 고분자를 든다면 DNA와 단백질을 빼어 놓을 수 없다. DNA는 염기 서열을 통해 온몸의 유전 정보를 저장하고, 이 정보는 필요에 따라 단백질의 ... ...
④ 각광받는 미래에너지 수소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대표적이다. 그러나 수소를 저장하는 합금은 매우 무겁기 때문에 수소를 저장해서 자유
자재
로 옮겨다니기가 어렵다. 이 합급은 물의 비중보다 8배 정도나 크다. 이 때문에 가능한한 가벼우면서도 수소저장능력이 높은 합금을 개발하려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우주선, 비행기, 자동차아직까지 ... ...
꿈을 표현하는 디스플레이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사용할 수 있다.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는 초경량, 초박형 디스플레이로 자유
자재
로 휘거나 접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이다. 이것은 아무데서나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장소에 디스플레이를 만들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누운 채 TV를 보고 싶은 사람은 천장에 디스플레이를 붙여 ... ...
③ 잠을 흉내내는 기술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인공동면도 가능한 일이다. 그러나 이제 겨우 1시간을 넘긴 인공동면 기술. 자유
자재
로 대사를 조절할 수 있는 날은 먼 미래일 것이다.인체냉동 - 자면서 우주여행?영화 '데몰리션 맨'은 1990년대 냉동인간으로 보존된 한 경찰(실베스타 스탤론)이 2032년에 생환해 활약하는 모습을 그리고 있다. 또 ... ...
탄소로 만들어진 꿈의 신소재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관건이다. 나노튜브의 둥근 끝끼리 연결시킬 전도체를 찾는다면 원하는 회로를 자유
자재
로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바로 KAIST 화학과의 무기화학실험실을 이끌고 있는 박준택 교수가 몰두하고 있는 분야다.박교수의 실험 재료는 나노튜브 대신 이보다 손쉽게 구할 수 있는 풀러렌 분자(${C}_{60}$)다. 198 ... ...
이전
49
50
51
52
53
54
55
56
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