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밀"(으)로 총 2,040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텔 ISEF2014 한국대표 동행기 “도전정신은 우리가 세계 최고”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손목 부분의 근력부터 위축되기 시작한다는 데서 착안한 장비다. 이 군은 “센서를 좀 더 정밀하게 만들고, 다양한 데이터를 축적해 파킨슨병을 더 정확하게 진단하고 싶다”고 포부를 말했다.고든무어상은 미국 보스턴의 네이슨 한에게 돌아갔다. 네이슨 한은 유방암과 관련된 유전자 변형을 ... ...
- 화성 동토층에도 미생물이 살고 있을까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있다고 알려왔기 때문이다. 생명체가 존재할 수도 있다는 신호였다. 큐리오시티의 초정밀 분석 장비는 이런 가능성을 충분히 확인해줄 수 있었다. 하지만 의외의 결과가 나왔다. 화성의 대기에 메탄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사실이 확인된 것이다. 화성에서 생명체를 찾을 가능성은 물거품으로 ... ...
- Part 1 - 난 오늘밤도 삐딱하게 뜬다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이상한 궤적을 보이는 위성이 발견됐다. 삐딱 위성의 절정은 20세기 말 이후였다. 초정밀 관측 기술 이 발달하면서, 작은 위성 발견이 폭발적으로 늘었다. 현재 이런 ‘천방지축’ 위성은 100개가 훌쩍 넘는다(5월 15일 국제천문연맹 왜소행성센터 자료 기준 목성 59개, 토성 39개, 천왕성 9개, 해왕성 6개) ... ...
- 대국민 토크쇼! 안녕하시렵니까? 게임의 법칙, 수학으로 만든다!수학동아 l2014년 05호
- 그대로 이용하는 경우가 드물어요. 개체의 모양이 제멋대로인데다가 2차원 게임보다 더 정밀해야 하잖아요. 따라서 기존의 공식을 응용해서 사용해야 하는데, 수학적 사고력이 없이 수학 공식만 외워서 답을 내는 사람은 이런 프로그래밍을 할 수 없어요. 수학 공식을 스스로 다 유도할 수 있어야 ... ...
- 우주 급팽창 첫 증거 발견, 그 이후 - 초끈이론이 흔들린다?과학동아 l2014년 05호
- 의심할 만한 부분도 존재한다. 그럼에도 실험 데이터를 해석하는 과정에서 오차는 정밀하게 걸러졌고, 바이셉2가 중력파의 흔적을 보았다는 사실에 대부분 수긍하는 것이 학계의 분위기다.표준모형과 초끈이론이 틀렸을까지금부터는 바이셉2의 실험이 온전히 맞다는 전제하에 이야기하자. 앞에서 ... ...
- 갑상샘암 검사 할까 말까과학동아 l2014년 05호
- 찾으면 양성(단순한 혹)인지 악성(암)인지 구분하기 위해 정밀검사를 받게 된다. 그런데 정밀검사를 해도 구분이 잘 안 가는 결절이 있다. 결절이 작을수록 정확도는 더 떨어진다.대한갑상선학회도 5mm 이하의 작은 갑상샘 결절은 양성과 악성을 진단하기 어렵고, 암이라고 하더라도 생명에 문제가 ... ...
- 4개의 쿼크+반쿼크 ‘Z-입자’ 첫 확인과학동아 l2014년 05호
- CERN)는 4월 9일, 기존의 이론을 만족시키지 않는 새로운 형태의 강입자(하드론)를 높은 정밀도로 관측하는 데 성공했다고 발표했다.강입자는 물질을 이루는 기본입자(쿼크)가 서로 결합해 만들어진 입자로, 쿼크 세 개가 결합해 만들어지는 ‘바리온(양성자나 중성자 등)’과 쿼크와 반(反)쿼크가 ... ...
- Part 3. 잡음없이 깨끗한 중력파를 발견하라!과학동아 l2014년 04호
- 지름의 2∼10배 정도 되는 범위)에 이르는 부분을 관측했다. 초전도현상을 이용하는 극정밀 탐지기 512개를 동원해서 2010년 1월부터 2012년 12월까지 측정한 데이터를 분석했다. 탐지기가 작동하는 온도가 0.25K일정도로 예민하기 때문에 이들이 남극까지 간 것이다. 남극은 온도와 습도가 낮고 대기가 ... ...
- 대한민국을 덮친 AI의 정체는? AI 바이러스 수사 파일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4호
- 큰기러기와 쇠기러기 7마리, 큰고니 1마리, 물닭 1마리였다. 검역본부는 이 중 25마리를 정밀 조사해 모두 AI(H5N8형)에 감염된 것으로 판정했다. 농림축산검역본부는 철새 사체를 발견한 곳이 AI가 발생한 농가에서 약 5㎞ 떨어진 동림저수지라며, 이번 AI 바이러스는 철새가 우리나라로 옮겼을 가능성이 ... ...
- Part 4. “정확도 99.999999636%”과학동아 l2014년 04호
- 우주초기 중력파만이 아니고, 우주먼지에서 나오는 편광도 있기 때문에 이러한 노이즈가 정밀하게 제거가 된 것인지 검증해야 한다. 이 작업은 우주배경복사 관측위성 ‘플랑크’에서 나온 자료를 이용할 것이다. 플랑크는 지구 대기권 밖에 있기 때문에 노이즈의 영향이 현저히 적다. 그 때까지는 ... ...
이전49505152535455565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