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체학
항해천문학
항해
익살 점성학
천체지학
d라이브러리
"
천문학
"(으)로 총 1,635건 검색되었습니다.
一石二鳥(일석이조)란 이런 것!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1년 만에 15만 명이 참가해 5000만 회의 분류 작업을 해냈다. 누군가 특이한 점을 발견하면
천문학
자들이 따로 조사하기도 한다. 이 프로젝트를 업그레이드한 ‘갤럭시 주2’도 2009년에 문을 열었다.과학자들이 감당할 수 없을 정도로 정보의 양이 늘어나고 인터넷과 같은 일반인 참여 수단이 ... ...
지구과학 - 망원경으로 본
천문학
의 발전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망원경 400년의 역사를 통해 망원경의 발전이
천문학
에 어떻게 기여했는지 살펴본다. 망원경의 발전은 때로 한계에 다다랐지만 과학자들은 새로운 기술을 이용해 한계를 극복했다. 오늘날 망원경에는 어떠한 기술이 사용되는지 살펴보고
천문학
발전의 전망을 살펴보자. ...
내가 제안한 실험을 진짜 우주에서?!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등 대전에 있는 첨단 시설을 이용해 천문 우주과학을 즐겨 보자.신청은 한국아마추어
천문학
회 홈페이지(www.kaas.or.kr)에서 한다. 11월 26(토)~27일(일)까지 열리는 17기 캠프의 참가자를 캠프 시작 전까지 모집한다. ... ...
불굴의 탐사선 하야부사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이름이 붙은 O-콘드라이트 운석과 S-형 소행성의 화학 조성이 비슷할 거라고 오래 전부터
천문학
자들이 예상했다. 지구 궤도에 가장 가까이 있는 소행성이 지구에 떨어지는 운석의 주요 공급원일 텐데, 이들이 대부분 S-형 행성이기 때문이다. 즉, O-콘드라이트 운석은 S-형 소행성에서 왔다는 것이다 ... ...
PART 2. 노벨상을 부르는 수학의 힘
수학동아
l
2011년 11호
전립선이나 자궁,난소 등을 촬영할 때 많이 이용된다. 그는 음악을 즐기면서 좋아하는
천문학
을 잘 알려는 욕심으로 혼자서 수학과 물리학을 공부했다. 이때 익힌 수학이 컴퓨터 단층촬영기술의 원리를 밝히는 데 큰 도움이 됐다고 한다.한편 수학책이 노벨상의 길로 인도하기도 했다. 1995년 ... ...
별 삼키는 블랙홀 봤다!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보현산천문대 망원경이 관측에 기여한, 거대질량 블랙홀이 별을 집어삼키는 장면은
천문학
사에서 흔치 않은 사건이다. 거대질량 블랙홀이란 태양보다 100만~10억 배 com더 무거운 블랙홀로 은하 대부분의 중심에 존재한다고 믿고 있다. 우리은하에도 태양질량의 460만 배가 되는 거대질량 블랙홀 ... ...
[재미있는 숫자 이야기]
천문학
적 수의 해결사 10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많이 불편하고 비효율적일 것이다.특히 16세기 이후에 상업과 과학, 항해, 지리학,
천문학
이 발달하면서 다루게 된 수는 그 크기가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커지거나 작아졌다. 이에 따라 무척 큰 숫자와 작은 숫자를 더 간단하게 나타내는 방법을 고민하게 됐다. 이렇게 해서 등장한 해결책이 바로 ... ...
‘월하정인’에 뜬 눈썹 달의 비밀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너무 낮게 떠 있다”는 식의 의문을 제기했다.일부 전문가들도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천문학
을 전공한 한 전문가는 “신윤복이 달을 똑같이 그렸다는 전제부터가 오류”라며 “실제처럼 그림을 그리는 사람이었다면 그림 속 남자도 집보다 훨씬 작아야 할 것”이라고 꼬집었다. 그림 4점에 나와 ... ...
별과 생명체의 씨앗 우주먼지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남을 양이다.연구를 이끈 미국 우주망원경과학연구소(STSI) 마가렛 마익스너 박사는 “
천문학
의 스케일에서는 눈 깜짝할 순간에 불과한 20여 년 사이에 이정도 먼지가 생겨났다는 건 전혀 예상하지 못했던 일”이라며 대마젤란은하에서 보이는 먼지의 상당부분도 초신성 폭발에서 기원했을 것으로 ... ...
과학동아가 추천하는 논구술 책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우주론의 화두가 무엇인지를 대중과 공유하기 위한 이석영 교수의 저서다. 우주에 관한
천문학
적 성과에 대한 이야기를 풀어가는 중에는 저자가 만나본 석학들과 유명 연구기관 및 대학에 관한 이야기도 등장한다. 쉽고 재미있는 이야기에 흠뻑 빠져들며 책을 놓기 어렵게 만든다. 융합형 과학 ... ...
이전
49
50
51
52
53
54
55
56
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