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모략
지략
음모
모방
모해
모함
복사
뉴스
"
모사
"(으)로 총 578건 검색되었습니다.
유도만능줄기세포 10주년을 맞이하며
2016.06.19
이용해 만든 뇌 오가노이드가 이용되기도 했다. 오가노이드란 신체 장기를
모사
해 만든 ‘미니 장기’로 볼 수 있다. 재생의료 분야도 완전히 멈췄다고는 볼 수 없다. 미국 아스텔라스재생의료연구소는 유도만능줄기세포를 이용해 녹내장을 비롯한 각막 질환을 치료하는 세포 치료제를 만들기 위한 ... ...
뇌 신경망 그대로 모방한 인공 시냅스 소자 나왔다
2016.06.18
이렇게 만든 인공 시냅스 소자로 생체 시냅스가 기억을 형성하는 과정을 그대로
모사
하는 데도 성공했다. 이 교수는 “생체를 모방한 시스템의 난제였던 메모리 밀도와 소비 전력을 크게 개선한 만큼 인공지능 시스템 개발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사이언스’ 자매지 ... ...
생활의 적 습기, 자연
모사
기술로 잡는다
2016.06.17
공작이끼가 안개 포집에는 가장 뛰어나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임현의 기계연 나노자연
모사
연구실장은 “외국에서는 안개를 포집하기 위해 폴리올레핀 소재로 된 특수 그물망을 설치하기도 한다”며 “공작이끼는 자기 몸무게의 830%가 넘는 수분을 흡수하는 만큼 폴리올레핀보다 제습 효과가 ... ...
질병 연구 핵심기법 ‘인공 세포막’ 설계방법 찾았다
2016.05.30
개발한 인공 세포막의 제작 과정. 단일층-이중층이 끊김없이 연결된 세포막을 그대로
모사
했다(E). - 서울대 공대 제공 국내 연구진이 ‘체외 세포막’을 설계하는 새로운 방법을 찾아냈다. 약물 시험, 질병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할 수 있어 생명과학 연구에 큰 보탬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
[과학동아 6월호] ‘인체 플랫폼’ 기술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2016.05.27
성능이 인공 망막이나 인공 와우의 성능을 좌우한다. 허신 한국기계연구원 나노자연
모사
연구실 책임연구원은 “인공 와우는 청신경을 자극하는 2만여 개의 유모세포를 20여 개의 전극으로 대신하고 있어 아직은 청력이 떨어지는 편”이라며 “작고 인체 친화적인 새로운 전극을 개발하는 게 ... ...
스트레스 해소에 딱 맞는 우아한 그림 생활
2016.05.17
스트레스 받는 내면을 표현하는 뭉크의 절규를 좋아할 수도 있지요. 이런 작품을
모사
해 보고 싶은 마음이 있지만 결코 쉽지 않습니다. DIY 명화 그리기 키트는 그림을 그려보고 싶지만 엄두가 나지 않는 분을 위한 물품입니다. 밑그림이 그려진 고급 캔버스 화판에 종이 도안을 이용해 표시된 ... ...
악성 뇌종양, 약물에 내성 생기는 원리 밝혀
2016.05.11
만들었다. 특히 종양이 주변으로 침윤해 들어가는 성질을 알아보기 위해 주변 미세환경
모사
에 집중했다. 이 기술을 이용해 뇌종양이 주변 세포에 침윤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히알루론산’이라는 합성 단백질을 억제하는 약물을 투입한 결과, 뇌종양이 내성이 생기는 현상을 찾아내는 데 ... ...
강도 50% 높인 탄소섬유 개발
2016.05.11
강도가 높아진다는 사실이 입증됐다. -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제공 연구팀은 전산
모사
를 통해 화학 원소의 함량을 바꾸는 화학적 처리를 통해서 탄소섬유의 강도를 변화시킬 수 있음을 세계 최초로 증명했다. 열처리 최종 온도에 따라 탄소섬유 내 질소 원소의 결합형태가 달라지는데, 질소 ... ...
서울대 연구진, 소프트로봇 대회 우승…비결은 아르마딜로와 종이접기
2016.05.05
본떠 만든 스누맥스(SNUMAX)와 달팽이처럼 더듬이가 늘어나는 S.I.R.(Snail Inspired Robot·달팽이
모사
로봇) 등 로봇 두 대를 들고 출전했다. 대회 규정상 무게가 20㎏으로 제한돼 있어 이들은 가벼운 폴리머와 천, 플라스틱 스프링 등으로 만들어졌다. 스누맥스는 서울대의 영문 머리글자와 영화 ... ...
나노 기술 이용해 당뇨 치료 돕는다
2016.04.05
생명공학부 교수팀은 김동성 포항공대 기계공학과 교수팀과 공동으로 체내 환경을
모사
한 나노 구조를 이용해 줄기세포를 췌장베타세포로 분화시키는 효율을 4배 높였다고 5일 밝혔다. 연구팀은 구멍의 크기가 다양한 나노 표면을 만든 뒤 그 위에서 줄기세포가 췌장베타세포로 분화하는 효율을 ... ...
이전
49
50
51
52
53
54
55
56
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