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류
날짐승
새짐승
겨를
틈
짬
사이
뉴스
"
새
"(으)로 총 4,363건 검색되었습니다.
수소경제 위한 그린암모니아 생산, '황'에서
새
가능성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3.12.01
용기중 포스텍 교수. 포스텍 제공 국내 연구진이 수소 전달체인 암모니아 생산 반응 효율을 높였다. 암모니아는 수소 함량과 에너지 밀도가 높아 친환경 수소 에너지 기술 분야에서 수소를 저장하고 운반하는 전달체로 주목받고 있다. 포스텍은 용기중 화학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황(S)을 사용해 ... ...
우주항공업계 "뉴스페이스 위한 우주청 설립·인력난 해소 시급"
동아사이언스
l
2023.11.29
거버넌스로는 뉴 에어로스페이스로 가기에는 한계가 크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정부의
새
우주항공 컨트롤타워가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지홍 KAI 미래융합기술원 원장은 "큰 규모의 개발비용이 드는 우주산업에서 민간 우주기업에게 중요한 것은 정책을 예측하고 활용하는 것"이라며 "정책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물리학은 생명을 이해할 수 있을까
2023.11.29
분명 무언가 전적으로 더욱 심오한 것이 필요하다”며 “물리법칙 자체의 본성을
새
로 고쳐 써야 하는 것이다”라고 결론지었다. 이런 맥락에서 조립이 나름 심오한 개념으로 인정돼 널리 쓰일지 지켜볼 일이다.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고 2 ... ...
[나는1저자다] ⑤"인력 유입 끊기면 세계 최고 수준 연구경쟁력 잃어"
동아사이언스
l
2023.11.28
둘 사이에 겹치는 시기가 없어 생기는 불편을 경험한 적이 있다. 인턴이 들어올 때마다
새
로 알려줘야 한다는 점에 많은 시간을 쏟게 된다. 이런 부분이 좀 더 효율적으로 이뤄질 수 있도록 개선됐으면 한다. Q. 네이처 편집장이 대중의 과학 불신에 우려를 표한 적이 있다. 자신의 연구 분야에서도 ... ...
뇌 시상하부 기능 조절해 살 뺀다
연합뉴스
l
2023.11.27
않은 HMBA의 효능과 신경세포 내에서의 조절 기전을 규명해 비만과 당뇨 등의 치료에
새
로운 단서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박석재 연구원이 논문 제1 저자로 참여한 이번 연구 성과는 의학 분야 국제학술지 'EMBO Molecular Medicine'에 지난 20일 게재됐다. ... ...
'7번째' 크리스퍼 유형 발견…"
새
유전자 교정 활용 가능성 열려"
동아사이언스
l
2023.11.24
코드를
새
로운 크리스퍼 유형인 ‘제7형’으로 분류했다. 연구팀은 이번에 발견된
새
로운 크리스퍼 유형에서 유전자 교정 등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몇 가지 특성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예를 들어 유전물질을 세포에 전달하는 바이러스 벡터에 쉽게 침입할 수 있는 성질 등이다. 다만 이 ... ...
오픈AI 직원들,
새
AI 모델 안전성 우려...“인간 통제 넘어설 것”
동아사이언스
l
2023.11.24
연구원은 23일 가디언을 통해 “수학을 수행하는 대형언어모델(LLM)의 등장은 AI가 완전히
새
로운 분석 능력을 갖도록 만드는 주요한 진전이 이뤄졌음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오픈AI가 AI 모델에서 약진에 약진을 거듭하는 행보를 보이고 있음을 시사하는 부분이다. 딥러닝 선구자인 제프리 힌턴 ... ...
[나는1저자다] ④"화학 연구에서 시간은 '금'…지원 끊기면 도태"
동아사이언스
l
2023.11.24
그 연구 결과의 명성이 높아지는 식이다. 교수님도 우리에게 자신만의 길을 만들어서
새
로운 연구를 하라고 조언하신다. 그런 사람들이 계속 나타나면 우리나라에서도 노벨상 수상자가 나오지 않을까. 이, 류=노벨상은 몰라도, '정회민 리액션'은 나올 것이다. '뉴턴 법칙'처럼 어떤 현상을 처음 ... ...
이창근 에너지기술硏 원장 "대형 연구 추진"…구체성은 부족
동아사이언스
l
2023.11.23
3일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에너지연의
새
프로젝트에 대해 설명하는 이창근 신임 원장. 에너지연 제공 이창근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에기연) 신임 원장은 5년 이내에 해외 진출이 가능하며 연 10억 원의 기술료를 얻을 수 있는 대형 협력 연구 프로젝트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어떤 연구 ... ...
"신생 바이오 기술 사장시키지 않는 정책 고민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3.11.22
산업계 제언이 나왔다.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임상승인 관문조차 넘지 못한 채 묵혀지는
새
기술이 적잖다는 지적이다. 상용화까지 오랜 시간과 비용이 필요한 바이오기업 성장을 위해선 신생 기업이 보유한 기술에 대해 때로는 과감한 투자가 이뤄져야 한다는 주장이다. 조석구 루카스바이오 대표 ... ...
이전
49
50
51
52
53
54
55
56
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