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공
인조
모조
인공적임
뉴스
"
인위
"(으)로 총 611건 검색되었습니다.
日, 아시아 최초 주기율표 등재 원소 발견국 돼
2016.01.06
Bi)에 충돌시켜 113번 원소를 생성시켰다. 이 원소는 자연에는 존재하지 않고 실험실에서
인위
적으로만 만들어 낼 수 있으며 생성되더라도 매우 짧은 순간 존재한 뒤 사라져 실체를 입증하기가 쉽지 않았다. 모리타 교수는 뉴욕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2004년과 2005년 두 차례 발견했지만 1000분의 ... ...
백두산 호령하던 그때처럼… ‘大虎’ 복원 프로젝트
2015.12.20
됐다. 만주에서 사는 한국호랑이들이 ‘백두대간’을 타고 남쪽으로 이동하는데 그 길이
인위
적으로 단절되며 더 이상 내려올 수 없게 된 것이다. ●한국호랑이 한반도에서 포효하는 날 올까 “비록 한반도에서 호랑이가 사라졌지만 한국호랑이 자체가 사라진 것은 아닙니다.” 이항 교수가 ... ...
노화치료시대 열린다
2015.12.07
생각할 독자도 있겠지만 mTOR경로는 자연상태에서 최선의 상태로 설계된 것이다. 따라서
인위
적인 삶(실험동물의 환경도 마찬가지다)에서는 약물의 개입으로 mTOR경로를 살짝 억제하는 게 더 유리할 수도 있다. 아무튼 개 노화 프로젝트는 현재 10주짜리 1차 임상을 진행하고 있다. 체중 4파운드(약 ... ...
인공 태양 프로젝트 ITER, 한국 과학자가 이끈다
2015.11.27
초고온 플라스마 상태에서 가벼운 수소 원자핵들이 무거운 헬륨 원자핵으로 바뀌도록
인위
적으로 핵융합 반응을 일으키고, 이때 나오는 엄청난 양의 에너지를 얻는 장치다. 정 단장은 “새로운 기술이 나올 때마다 도입 여부를 결정하는 논의를 거치다 보니 일정이 계속 늦춰지는 경향이 있다”며 ... ...
이준식 출제위원장 “오류 재발 방지… 문항점검위 첫 가동”
동아일보
l
2015.11.13
쉬우면) 만점자가 너무 많아진다는 우려가 있다는 것을 알지만 만점자를 줄이기 위한
인위
적인 난이도 조정은 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다음은 일문일답. ―현 수능이 너무 쉬워 변별력을 상실했다는 지적이 많다. “만점자 비율이나 1등급 비율 등 최상위권 학생들에게만 적용되는 기준으로 ... ...
만성 간 질환 악화시키는 원인 찾았다
2015.11.03
일어났을 때 RNA 결합 단백질(hnRNPA1)이 줄어드는 현상을 발견했다. 이 단백질의 양을
인위
적으로 늘리자 간 성상세포 활성화가 억제돼 간 조직의 섬유화를 막을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소포체 스트레스 때문에 간 성상세포가 늘어나고 간 조직이 망가지는 일련의 과정을 밝혀낸 것이다. 한편 ... ...
동북아 초미세먼지는 주요 성분은 ‘블랙카본’
2015.10.26
1㎥당 20ng에 불과했다. 박 교수는 “블랙카본이 자동차나 공장에서 배출되는
인위
적인 초미세먼지라는 점에서 동북아시아 근해에서는 인간 활동이 초미세먼지 농도를 증가시키는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북극해에서는 바다 속 생물의 활동이 많을수록 초미세먼지가 많이 만들어지는 것으로 ... ...
복잡한 림프절, 광음향으로 꿰뚫어본다
2015.10.01
조영법은 림프관과 림프절에 약품을 주입해 각 조직을 뚜렷하게 구별할 수 있게
인위
적으로 방사선 흡수차를 크게 만든 뒤 촬영한다. 하지만 복잡한 림프절을 정확히 탐지하기에는 부족했다. 연구팀은 광음향 촬영 장치와 광파장이 다른 두 가지 나노 물질을 사용해 서로 떨어져 있는 두 ... ...
화성에도 여름엔 물 흐른다
2015.09.30
헤일(Hale) 크레이터 지역에서 발견된 RSL 지형에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인위
적으로 색을 입힌 모습. 검은색으로 칠해진 경사면이 염분을 머금은 물이 흐르는 것으로 확인된 지역이다. - 미국항공우주국 제공 화성 표면에 액체상태의 물이 흐르고 있다는 사실이 최초로 밝혀졌다. 미국항공우주국 ... ...
최초의 인류진화 역사 바뀔까
과학동아
l
2015.09.27
같은 기준을 적용했다. 이렇게 분석한 뼈 화석 속 홈은 V자형으로, 석기를 이용한
인위
적인 도축의 흔적일 가능성이 높았다. 당시에 이미 사냥 및 고기 손질 도구로서의 석기가 만들어졌다는 뜻이다. 연구 결과는 ‘인류진화저널’ 8월 13일자에 실렸다. ※ 더 많은 과학기사를 2015년 10월호 ... ...
이전
49
50
51
52
53
54
55
56
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