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하기시간"(으)로 총 541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달의 역사]마흔 살의 어린 아이, 휴대전화KISTI l2013.05.08
- 지금으로부터 40년 전인 1973년 4월 3일, 미국 통신회사 AT&T가 설립한 벨연구소에 전화벨이 울렸다. 조엘 엥겔(Joel Engel) 소장이 직접 받았다. “여보세요, 엥겔 소장입니다.” “조엘? 나 마틴일세. 지금 이 통화 말이지. 새로 개발한 휴대전화로 거는 거야.” “.....” “여보세요, 조엘?” 충격을 받은 ... ...
- 우주 과학을 탄생시킨 사상 최대의 기술이전KOITA l2013.05.06
- 세 번의 시도 끝에 나로호가 비로소 발사에 성공했다. 비록 두 번의 실패가 있었지만 이에 굴하지 않고 끈질기게 도전한 끝에 낳은 값진 성과다. 일부 여론에서는 난항을 겪던 나로호 프로젝트 자체에 대한 회의론도 만만치 않았지만 따지고 보면 세 번 만의 성공은 나름 준수한 성적이다. 우주강국 ... ...
- 창과 방패의 대결...컴퓨터 보안의 역사KOITA l2013.05.03
- 얼마 전 동시다발적으로 금융기관과 방송사가 일제히 멈춰버렸다. 크래커들의 공격으로 서버가 다운되어버린 것이다. 이전에는 국내 공공기관이나 금융기관에서 보안용으로 사용하는 웹용 프로그램, ‘제큐어웹’이 크래킹에 노출된 일도 있었다. 크래킹의 위협에 전전긍긍하는 것은 한국만의 일 ... ...
- [KAIST 상담센터] 이성교제 문제 이렇게 해결하자KAIST l2013.05.03
- KAIST 캠퍼스에도 봄이 찾아왔다. 활짝 핀 벚꽃은 보는 사람의 마음을 싱숭생숭하게 만들고 풋풋한 신입생들은 캠퍼스의 분위기를 한껏 띄어놓고있다. 이 들뜬 분위기는 자연스럽게 대학생활의 꽃이라 불리는‘ 이성 교제’를 생각나게 한다. 이번‘ KAIST 상담센터’에 서는 봄을 맞이하여 모든 학우 ... ...
- [인물]영화 탄생의 숨은 공로자, 마이브리지KISTI l2013.05.02
- 1872년 어느 날, 경주마에 관심이 많은 사람들 사이에서 논쟁이 벌어졌다. “말이 속보와 습보로 달릴 때 네 발굽이 모두 땅에서 떨어지는 순간이 있는가?” 라는 질문 때문이었다. 말의 걸음걸이는 속도에 따라 크게 평보, 속보, 구보, 습보의 네 가지로 나뉜다. 평상시 ‘터덜터덜’ 걸어가면 평보 ... ...
- “‘내셔널 아젠다’ 집중하면 한국 BT 미래 밝아”동아사이언스 l2013.04.30
- ▲ 박영훈 생명연 원장 전승민 동아사이언스 기자 “세계는 지금 융합으로 가고 있습니다.” 박영훈 한국생명공학연구원장(58)은 지금의 생명공학계를 이렇게 표현했다. 융합 연구가 세계적인 추세이긴 하지만 생명공학 분야에서는 이런 움직임이 더욱 두드러진다. 박 원장은 “2003년 인간게놈 ... ...
- 2012년 하늘나라로 간 과학계의 별들동아사이언스 l2013.04.25
- 자유로운 사람은 죽음을 생각하지 않는다. 그의 지혜는 죽음이 아니라 삶의 숙고에 있다. - 바뤼흐 스피노자, ‘에티카’ 수 주 전 필자는 문득 2012년 마지막 과학카페 주제로 올해 타계한 과학자들의 삶과 업적을 다뤄보는 게 어떨까 하는 생각이 떠올랐다. 과학저널 ‘네이처’와 ‘사이언스’에 ... ...
- [웹툰]별 헤는 밤KOITA l2013.04.23
- [웹툰]별 헤는 밤 - KOITA IN 제공 제가 다니던 대학 내 연구실은 꽤 낭만적인 연구실이었습니다. 언제나 밤하늘에 총총 떠있는 별을 가슴에 품고 생활을 하며 길을 걷다가도 밤하늘을 쳐다보며 이 별은 무슨 별 저 별은 무슨 별 담소를 나누던 우리는, 천문우주학과의 ‘대중 천문 연구실!!’ 이었습니 ... ...
- “미래창조과학부 핵심은 ICT아닌 BMT돼야”동아사이언스 l2013.02.25
- 박노현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본부장. 서울대 제공 “융합과학의 핵심은 ICT(정보통신기술)가 아니라 BMT(생명의료기술)입니다. ICT는 현재와 가까운 미래에 중요한 역할을 하겠지만 더 먼 미래에는 BMT가 중심이 될 거란 말입니다. 연구중심병원을 통해 BT와 IT, NT와 함께 가는(GO) ‘융·복합 HT연구단지’ ... ...
- “바이오 강국 위해선 아시아 똘똘 뭉쳐야”동아사이언스 l2012.07.03
- 6월 20일 미국 뉴욕 록펠러의대 세미나실에서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와 NYKB의 좌담회가 열렸다. 대덕넷 제공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가 지난달 20일 미국 뉴욕 록펠러의대 세미나실에서 뉴욕한인생명과학자협회(NYKB·New York Korean Biologists) 연구자와 ‘바이오강국을 향한 과제’를 주제로 좌담회를 ... ...
이전4950515253545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