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으)로 총 24,378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NASA ‘인사이트호’ 화성 착륙 성공!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탐사선을 보호해주던 막을 분리했어요. 그리고 착륙용 다리를 꺼냈지요. 마지막 1분 30초 동안에는 12개의 역추진 로켓을 이용해 천천히 내려갔어요. 인사이트호가 땅에 착륙하는 데 걸린 시간은 총 6분 35초랍니다. 앞으로 인사이트호는 약 2년 동안 다양한 임무를 수행할 거예요. 지진계를 이용해 ... ...
- [기획] 2018 어과동 어워드 당신의 기자에게 투표하세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준비했습니다. 가장 재미있는 기사를 쓴 당신의 기자에게 투표하세요! ● 후보 1 신수빈 기자 - 충격! 산타, 관심받으려 빨간 옷 입어 어과동의 루돌프 신수빈 기자입니다. 연말이라 자꾸 코가 빨개지기도 하고(부끄) 제가 산타 할아버지랑 좀 친하거든요. 참! 여러분, 그거 알아요? 산타 ... ...
- [과학뉴스] 역사상 처음! 4개 기본단위 바뀐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A는 전자 1개가 가진 전기의 양을 의미하는 ‘기본전하’ 값을 기준으로, 온도의 단위인 1K는 에너지와 온도를 연결하는 기본상수 ‘볼츠만 상수’를 기준으로 재정의됐답니다 ... ...
- Intro. 새로운 별자리가 떴다! 헐크와 고질라가 밤하늘에?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나는 사냥꾼 오리온이야! 1등성을 두 개나 가지고 있는 밝은 별자리로, 발밑의 큰개자리와 함께 겨울 밤하늘을 지키고 있지. 그런데 얼마 전에 새로운 별자리 친구들이 하늘로 이사 온다는 이야기를 들었어. 이름이 헐…크라던가? 고질라, 어린 왕자라는 친구도 온다던데, 어떻게 된 일일까? Intro. ... ...
- [퍼즐탐정 썰렁홈즈 4] 방 탈출 카페 주인 ‘세다리가도 몬나가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겨울비가 주룩 주룩 내리는 어느 날, 썰렁홈즈와 다무러는 서울에 있는 어느 건물의 문 앞에 섰다. “여기가 그 악명 높다는 방 탈출 카페 ‘미궁’인가….” 그동안 여행을 다니느라 날카로운 추리력이 무뎌진 썰렁홈즈와 다무러는 잃었던 감을 되찾기 위해 방 탈출 카페를 찾았다. 절대 일이 한 ... ...
- [통합과학 교과서] 아저씨의 탈출을 막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관심을 샀어요. 행성 연구로 유명한 독일의 천문학자 ‘요하네스 케플러’는 1611년에 쓴 논문에서 ‘눈송이가 육각형인 것은 눈송이를 이루는 원자의 배열과 관련이 있을 것이다’라는 추측을 남겼답니다. 300년 뒤, 과학자들은 엑스선 분석을 통해 실제로 물 분자가 육각형을 이루며 결합해서 ... ...
-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 뚜뚜우, 비밀 신호 전송! 모스 전신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번, 한글은 단어마다 점 다섯 번에 해당하는 간격을 띄어야 한답니다. ● 미션 1 - 신호를 보내는 전신기의 비밀 모스 부호를 전송하는 ‘모스 전신기’를 발명한 건 사무엘 모스지만, 아이디어를 제공한 조지프 헨리, 통신 성능을 개선한 알프레드 베일의 도움이 없었다면 전신기를 ... ...
- [JOB터뷰] 곤충 덕후, 만화가 되다! 갈로아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걸 그리고 싶다고 생각했어요. 고등학교 때는 언젠가 데뷔를 해야겠다는 생각에 1권부터 10권까지 전투 장면을 다 따라 그렸어요. 제가 보기에 작화가 가장 완벽해 보였거든요. “와, 이런 구도도 있네”하고 감탄하면서 연습했죠. 제 만화는 열혈물이 아니라서 그 수련의 흔적은 찾기 힘들 ... ...
- 레이저 쏘아 외계인 찾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떨어진 ‘트라피스트-1’ 항성계에서 보인다고 밝혔답니다. 프록시마-b와 트라피스트-1는 생명체 존재 가능성이 있다고 밝혀진 곳이에요. 만약 이곳에 지적 외계 생명체가 있다면 지구에서 쏜 레이저를 보고 우리 지구인의 존재를 알게 될 거예요. 또, 이 두 레이저는 모두 최대 2만 광년 떨어진 ... ...
- Part 2.지금의 별자리는 누가 정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공기가 건조하고 밝은 별이 많아 별을 관찰하기 가장 좋은 계절이에요. 밝게 빛나는 1등성을 무려 7개나 볼 수 있죠. 겨울밤의 대표적인 별자리는 남쪽 하늘의 오리온자리예요. 중앙에 별 세 개(삼태성)가 나란히 놓여있고, 위로는 주황빛의 ‘베텔게우스’, 아래엔 청백색의 ‘리겔’이라는 밝은 ... ...
이전5365375385395405415425435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