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으)로 총 24,378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2억 개의 흰개미 언덕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알아냈어요. 흰개미 언덕은 흰개미가 사는 집이에요. 흰개미는 0.5cm 정도의 작은 몸으로 1m에서 최대 8m에 달하는 집을 지어 자연의 건축가라 불리지요. 이번에 발견된 흰개미 언덕은 약 18m 간격으로 23만km2에 걸쳐 펼쳐져 있었어요. 이는 22만km2인 한반도 면적보다 넓답니다. 가장 오래된 흰개미 ... ...
- [엉뚱발랄 생각실험실] 빨간 장미가 있다면, 모든 까마귀는 검은색일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정말 장미를 본 경험은 ‘모든 까마귀가 검다’는 제 가설과 무관할까요? 가설 1 빨간 장미는 ‘모든 까마귀는 검다’와 무관하다! 검은 까마귀 사례는 당연히 ‘모든 까마귀는 검다’가 참일 가능성을 높여줘요. 반면 흰 까마귀를 본 사례는 ‘모든 까마귀는 검다’가 거짓이라는 것을 ... ...
- [과학뉴스] 역사상 처음! 4개 기본단위 바뀐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A는 전자 1개가 가진 전기의 양을 의미하는 ‘기본전하’ 값을 기준으로, 온도의 단위인 1K는 에너지와 온도를 연결하는 기본상수 ‘볼츠만 상수’를 기준으로 재정의됐답니다 ... ...
- 레이저 쏘아 외계인 찾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떨어진 ‘트라피스트-1’ 항성계에서 보인다고 밝혔답니다. 프록시마-b와 트라피스트-1는 생명체 존재 가능성이 있다고 밝혀진 곳이에요. 만약 이곳에 지적 외계 생명체가 있다면 지구에서 쏜 레이저를 보고 우리 지구인의 존재를 알게 될 거예요. 또, 이 두 레이저는 모두 최대 2만 광년 떨어진 ... ...
- Intro. 새로운 별자리가 떴다! 헐크와 고질라가 밤하늘에?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나는 사냥꾼 오리온이야! 1등성을 두 개나 가지고 있는 밝은 별자리로, 발밑의 큰개자리와 함께 겨울 밤하늘을 지키고 있지. 그런데 얼마 전에 새로운 별자리 친구들이 하늘로 이사 온다는 이야기를 들었어. 이름이 헐…크라던가? 고질라, 어린 왕자라는 친구도 온다던데, 어떻게 된 일일까? Intro. ... ...
- Part 2.지금의 별자리는 누가 정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공기가 건조하고 밝은 별이 많아 별을 관찰하기 가장 좋은 계절이에요. 밝게 빛나는 1등성을 무려 7개나 볼 수 있죠. 겨울밤의 대표적인 별자리는 남쪽 하늘의 오리온자리예요. 중앙에 별 세 개(삼태성)가 나란히 놓여있고, 위로는 주황빛의 ‘베텔게우스’, 아래엔 청백색의 ‘리겔’이라는 밝은 ... ...
- [현장취재] 미래 과학자를 꿈꿔라! 해외 탐방 체험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지난 11월 2일, 전세계 메이커들이 모이는 대만 메이커 페어 현장에 한국 어린이들이 등장했어요! ‘하인슈타인-소프트웨어교육’ 대회에서 우승을 거머쥔 우승팀 팀원들이지요. 탐방 대원들과 함께 대만 메이커 현장과 첨단 기술 연구소로 가 미래 기술을 만나 볼까요? 응급차를 더 빠르고 ... ...
- Part 3. 실크로드 바다 아래를 달린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최고 수심이 110m다. 10m당 1대기압만큼 압력이 세지기 때문에 수심 110m에서는 대기압의 11배만큼 버텨야 한다. → 지진을 이겨내라!유라시아 해저터널이 있는 곳은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단층인 북아나톨리안 단층에서 16km 떨어진 지역이다.이 때문에 리히터 규모 7.5의 지 ...
- Part 4. 실크로드 사람이 없어도 뱃길 OK!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2016년 10월, 선박 연료의 황산화물 함유량을 0.5% 이하로 규제하기로 결정하고, 2020년 1월 1일부터 시행하기로 했답니다. 규제가 시행될 때를 대비해 전세계는 지금 친환경 연료를 사용하면서 운항 비용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찾고 있어요. 그 중 하나가 바로 전기로 움직이는 자율운항선박 ‘야라 .. ...
-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 뚜뚜우, 비밀 신호 전송! 모스 전신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번, 한글은 단어마다 점 다섯 번에 해당하는 간격을 띄어야 한답니다. ● 미션 1 - 신호를 보내는 전신기의 비밀 모스 부호를 전송하는 ‘모스 전신기’를 발명한 건 사무엘 모스지만, 아이디어를 제공한 조지프 헨리, 통신 성능을 개선한 알프레드 베일의 도움이 없었다면 전신기를 ... ...
이전536537538539540541542543544 다음